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이 현상을 지금의 건축비와 자재, 그리고 공법으로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공사비가 올라가는 것 만큼 땅값이 내려가서, 정상적인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건축비가 확보되어야 하기도 하거니와, 주차장 바닥에 대한 인식도 변해야 하기에 .. 쉽지 않은 부분입니다.
현재 이 부분은 보수공사 외에 다른 방법은 없겠죠?
어느 아파트나 다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주차장 바닥에 대한 인식이 변해야된다 이 얘기는 무엇을 말씀하시는 것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주차장 바닥에 대한 올바른 시공법이나?.....혹 차선책은 없는것인지....궁금합니다
공사비도 저렴하지만, 더 지속가능한 방법이기도 하구요.
차량의 무게도 무게지만, 바퀴가 돌아가는 힘이 더해져서 그저 그런 류의 시공은 매년 같은 보수만 반복할 뿐이거든요.
무언가 독특한 방법이 있다기 보다는 콘크리트를 충분히 건조시키고, 표면의 레이턴스를 모두 제거하며, 표면 청소를 잘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면갈이와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세 번이상에 걸쳐서 최대한 동일한 두께로 맞추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공기가 너무 짧고, 그 정도의 비용을 주차장에 할애하지 않기에, 아예 불가능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만약 신축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콘크리트로 한다.....
눈에 보이는것이 실용성 보다 우선이니....
더구나 비용 및 유지보수도 적게 들겠지만 ㅋㅋ
이를 어찌하겠습니까 ㅎㅎ
사람 마음이란게 ㅜㅜ
인식에 변화 관습...애롭심더예 애로워예
표준주택이 눈에 아른거리네용 ㅎㅎ
수공하세요^^
수고하셔요~~~
감사합니다.
최하층 무근층의 상,하단 표피의 온도차로 발생하는 "컬링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최하층 무근층의 기초에 접한 표면온도와 실내에 접한 표면온도차로인한 수축률이
상이하고 이로 인해 무근층내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어 SAW-CUT부위에 턱이가 발생하게 되고 차량이 다니면서 균열이 발생하게 되죠 ..
이후 시간이 점점 경과하게 되면..
신축줄눈부를 경계로 무근층이 분절되고, 자동차등 이동하중 및 충격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분절된 무근층의 상,하진동이 지하기둥 및 벽체를 타고 지상층에 진동 및 층간소음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파트는 지상 5층까지도 영향을 받습니다)
정밀을 요하는 반도체등 플랜트 시설물에서는 이로 인한 제품 불량률을 줄이기 위해 나름
여러 방법을 설계에 반영하고 있읍니다.
주차장이나 기계실등 최하층 바닥에 에폭시코팅이 들뜨는 것은 무근의 수분함유량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보통 지하 2층 이하 최하층바닥인 경우 도장전 바닥면을 보면 작은 물방울이 보송보송 맺히는대...
무근층 표면의 수분함수량을 8%이내로 맞추기 위해 열풍기등으로 강제건조후 에폭시 코팅을 실시한다 해도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금 바닥표면결로에 의해 함수량이 증가되어 도장면 박리현상이 일어 나게 되죠..
이를 방지하기위해 지금은 주차부위는 코팅방식으로 통행부위는 라이닝방식으로 변경시공을 하거나 기존 pvc배수판 대신 단열배수판을 적용하는 추세입니다
중간층의 경우는 왜 무근을 하는가요? 바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코팅을 해도 될 것이고 투습이 조금 제한적인 제품이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인데요?
(물론 도움은 되는 것 같읍니다만..)
준공검사를 다니다 보면.지하 연결통로나 최하층 계단실에..
제습기를 고정설치하거나 검사대비 임시로 제습기를 여러대 가동을 하는 현장을 많이 보는대...
이런 경우에도 벽체와 천정은 건조한 상태나 바닥은 하부에 방수가 시공되어 있음에도 불구,
바닥 마감재(주로 화강석)가 젖어 있는 것을 많이 목격합니다.
벽체나 천정과는 달리, 최하층 바닥은 방수나 제습기만으로 표면결로를 막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근래에는 이런 부위에 바닥에 단열재를 추가로 설치하는 추세입니다
중간층 무근과 관련...
최근 설계도면을 보면 지하층 중간층은 바닥 무근층을 생략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 개인적으로는 무근층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사람중에 하나입니다..
지하 중간층 바닥에 무근층이 없는 현장(원 바닥을 제물마감으로)을 가보면...
지하외벽 콘크리트두께(800~1,200mm)와 중간층 슬라브의 두께차(250~300mm)에 의한 강성차이로 아래와 같이 지하외벽과 만나는 슬라브 모서리부위에 균열이 많이 발생 합니다..
외벽과의 조인트를 헌치보로 설계하지 않으려면 무근층을 두어 카바(보강)해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바닥 마감재(주로 화강석)가 젖어 있는 것을 많이 목격합니다..." 라고 하셨는데 방수를 어디에 무엇으로 보통 하는지요?
그리고 한국에서는 지중의 슬래브 상부에 시공되는 표면보호층은 무엇을 사용하며 중간층의 슬래브는 어떤 보호층으로 보통 시공을 하는가요? 혹, 시공되는 자재의 자재 물성중에서 투습저항에 관한 값을 혹시 알고 계신지요?
보통 바닥 보호층을 시공하는 시기가 언제인가요? 준공전까지 기다리는지 아니면 타설후 일정 기다리는 시간이 있는지요? 있다면 그 기준이 무엇인가요?
그런 기준이 있다면 한국의 지하층의 보호층을 물성치를 다루는 그런 KS같은 그런 기준이 있는가요?
최근 2020년도에는 한 콘크리트 회사에서 VAP FLOOR라는 지하주차장 바닥용 콘크리트가 있습니다. 그 제품의 특수화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수 있다고 봅니다.
좋은 품질과 관리로 인하 비싸지는 부동산 시장에 품질도 우수하길 바라는 지나가는 1인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