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신규 입주를 준비하면서, 다용도실(세탁실) 공사에 수도관 공사를 맡겼다가,
문제가 발생하여 질문을 드립니다.
기존 세탁기 위치에 세탁볼을 넣는 것으로 변경하여 공사를 진행했습니다.
작업 중에 매립 수도관 위치를 찾지 못 하여, 세탁실과 주방 사이의 벽을 아래처럼 뚫은 상태입니다.
벽은 콘크리트가 아닌 10cm 두께의 석고 보드 재질(업체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 그 안에는 10cm 두께 아이소핑크로 지어져 있었습니다.
석고 부분만 파냈으면 다시 메꾸면 될 것 같은데.. 아이소핑크까지 다 파낸 상태여서... 이 부분을 어떻게 보수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업체 측에서는 20cm 깊이를 모두 우레탄폼으로 전체 메꾸고, 표면만 시멘트 - 빠대 마감 순으로 작업을 해 준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처리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일까요? 혹시나 단열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시공 업체 외에 문의할 곳이 없어 여쭤봅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cm 두께 전체를 우레탄 폼으로 메꾸지 마시고 ALC블럭(10cm두께의 석고보드)을 단열재보다 조금 더 넓게 제거하고
단열재 두께인 10cm만 메꾼 후에 단열재 면에 맞춰서 잘라내고 기밀테이프로 우레탄폼 표면을 막아서 습기가 단열재 뒤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아주시는 것이 조금 더 나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그 뒤에 잘라낸 ALC블럭 부분은 시멘트 빠데 마감 순으로 채워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