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시스템창호 관련 문의입니다

1 너니 11 946 2021.12.26 22:20

사진 부분에서 찬바람이 나오고 잘때 우풍이 엄청나게 느껴집니다 창호회사 측에 어떤식으로 문의를 해야하며 하자가 맞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1.12.27 12:41
손가락의 오른쪽에 있는 수직의 부재가 유리를 잡고 있는 부품인데.. 자세히 보시면 수직과 수평이 만나는 모서리가 조금 들고 일어난 것을 아실 수 있는데요..
유리를 맨 나중에 끼우기 때문에.. 끼우는 과정에서 이 부속이 제대로 물려 있지 않은 탓입니다.
혹시 집에 고무망치가 있다면 그 것으로 모서리를 팡팡 치면 들어가게 되고, 그러면 바람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을 거여요.

다만 치는 모서리만 치면 중간이 어긋날 수 있기에... 요령이..
하부 모서리부터 시작해서 수직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쳐주면 되세요...
G 최은원 2021.12.28 10:25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 부분에
바람 새는걸로 우풍이 잘때 심할수도 잇나요?
비싸게 시스템 창호로 했는데 우풍이 너무 심하네요 ㅠ
M 관리자 2021.12.28 10:44
그 부분은 창문 자체의 기밀도를 따져 봐야 하는데요.
열리는 창에 지폐를 한 장 끼워 넣고.. 창을 닫은 후 그 지폐가 쉽게 빠진다면, AS를 신청하셔야 합니다.
G 최은원 2021.12.28 21:32
답변감사드려요 커텐을 닫고 자면 결로가 생기고 저부분에서 바람이 세는거 같은데 .. 리고 as신청을 해서 전에 왓엇는데 창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이라 했고 낮에 봐서 미세한 바람은 못느낀듯 한데 다시 부르면 보통 조치를 취해줄까요? 지금도 누워 있는데 우풍이 드네요 ㅠㅠ
M 관리자 2021.12.29 11:22
커튼을 닫으면 결로현상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요.
자리를 잡는다는 것은 아닌 것 같고.. 콘크리트 건물이라면 초기 건조 수분 탓일 수도 있습니다.
우풍은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생기는 것이니...

일단 실내 온습도를 정상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하부로 결로수가 흘러 내리는 상태가 아니라면, 커튼을 쳐서 온도차를 줄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기밀과 관련된 문제는 사진으로 딱히 말씀드릴 것은 없어 보입니다만, 이 것이 창호 만의 문제가 아닐 수도 있어서 어려운 부분입니다.
창틀과 구조체가 만나는 부위의 조치 등을 알아야 하는데, 지금의 정보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G 최은원 2021.12.30 00:28
답변 감사드립니다 일단 목조 신축입니다 ㅠ 창틀과 구조체 사이가 저도 의심이 되기는 한데 그부분에 단열이 미흡하다면 뜯어서 보충을 할수 잇는것인가요? 그 부위의 조치가 무엇을 말하는건지 좀 알수 잇을까요? 단열을 무엇으로 햇나 이런거 말쑴이신가요?
G 최은원 2022.01.03 21:58
위에 댓글 답변좀 부탁드릴게요 ㅜㅜ
M 관리자 2022.01.03 22:20
죄송합니다. 글을 놓쳤습니다.
미흡한 부분은 마감을 뜯어서 조치가 가능합니다. 다만 그 보다는 뜯기 전에 공사 중 사진 등을 보면 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조치는, 창틀과 구조체 사이에 폼을 밀실하게 채우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G 최은원 2022.01.07 22:05
답변감사드려요
일단 창호업체에 문의를 하니 한기는 자기네도 어쩔수 없다 우풍인지 아닌지 초를켜두고 흔들리는지 동영상을 찍어 보내달라 하네요 그래야 조치를 취해준다고..
이사오고 우풍은 점점 심해지고 잠을 자는 밤마다 스트레스가 너무 받네요 ㅜ 만약 한기 문제라면 조치 방법이 따로 잇을까요?
매번 죄송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M 관리자 2022.01.08 15:55
올린 영상을 삭제하고 공개글로 전환하였습니다.

-------------------
올리신 영상에서는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물론 아쉬운 부분이 있기는 하나, 일반적인 목조주택에서 그리 벗어나는 품질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므로 물이 흘러 내릴 정도가 아니라면, 구조체나 마감재의 손상까지 이어지지는 않으므로, 커튼을 닫고 주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초가 흔들리지 않는다면 외기가 들어오는 것은 아니고, 지금 느끼시는 우풍은 차가운 유리표면과 공기가 만나서 생기는 기류 현상인데, 이게 꼭 유리의 온도만이 아니라 벽 전체의 성능이 포함된 것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금으로써는 딱히 조치할 것은 없으시고, 난방의 온도를 조금 더 높히시라는 것 밖에는 말씀드릴 것이 없을 것 같습니다.

뾰족한 답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G 최은원 2022.01.08 20:13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