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아랫집 천장 물방울 떨어짐 현상

안녕하세요. 노후 빌라(준공후 약 15년이상)에 거주중입니다.

아래집과의 누수?결로현상?으로 인하여 마찰이 발생되어 여기저기 알아보다 전문가분들의 도움을 받고자 이렇게 글 남깁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아랫집 천장 외벽 창문 위쪽에서 한방울씩 물방울 떨어짐이 있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물방울 떨어짐(누수)의 원인을 찾기위해 누수탐사업체 4곳에서 내방하여 확인하였으나, 3곳 누수는 없다는 결론을 받았으나, 1곳(유튜버)는 보일러 노후로 물방울이 베란다에 떨어져서 그게 바닥에 스며들고 그게 누적되서 아랫집 천장에서 나오는거 같다고했습니다.(누수탐사업체 4곳 모두 아랫집에서 불렀습니다. 저희는 검사할 수 있도록 협조만 해드렸고요)

그래서 문제라고 한 보일러를 교체하였고 시간이 흘렀으나, 아직도 문제해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폭설이 온 후 물방울 떨어짐이 심해졌다고하는데...그게 과연 우리집과 연관이 있는것인지...

아랫집에서는 계속 천장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거는 윗집의 문제라고만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 누수 문제가 아닌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것으로 의심되어 누수문제가 아닌 결로현상일수 있으니 그 부분도 확인해보시라고 했는데...법을 들먹이며 알아서 하겠다고합니다.

제가 결로현상을 의심하는 이유는 저희 집도 1년전 인테리어 공사(샷시까지 전부 교체)를 새로 했고 외벽쪽은 단열공사도 했으나, 단열이 미흡쪽(방과 방의 벽체)이나 외벽쪽에 결로로 인한 곰방이가 생기고, 화장실 천장도 물방울이 매치네요. 아랫집 역시 인테리어를 저희보다 1년 먼저 했고 샷시도 새로 하셨습니다.(예전엔 알루미늄 샷시였음)

이게 진짜 누수 떄문인지 아니면 결로현상 때문인지 답답하네요.

추가 사진은 아래집 천장 사진입니다.KakaoTalk_20211230_081602934.jpg KakaoTalk_20211230_081602934_01.jpg KakaoTalk_20211230_081602934_02.jpg KakaoTalk_20211230_081602934_03.jpg KakaoTalk_20211230_081602934_04.jpg

1.jpg

 

2.jpg

Comments

M 관리자 2021.12.27 19:14
저 역시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하여, 명확하게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일단은 결로로 보입니다.

다만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 외벽 창문으로 폰을 내밀어서.. 아랫집과 윗집 사이의 외벽 상태를 알 수 있는 사진을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윗집의 창틀 하부의 모습과, 아래집 창틀 상부 사진이면 좋겠습니다.
G 김민제 2021.12.30 08:19
댓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
말씀하신 내용과 같이 외벽 사진을 첨부와 같이 송부 드립니다.
외벽의 상태를 확인해보니 문제가 발생한 부위로 젖은 모습이 보이네요.
참고로 해당부쪽이나 근처에는 배관이 없습니다.
M 관리자 2021.12.30 16:30
외벽의 상태로 볼 때, 누수일 가능성도 있네요.
하얀 색이 콘크리트인데, 이 것과 벽돌이 만나는 지점이 많이 노후되어 보이며 이 쪽으로의 빗물 유입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지붕이 평지붕이라면 그 쪽에서의 누수일 수도 있으므로, 개별 세대주가 해결 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만약 결로라면.. 이렇게 지붕이 열린 상태에서는 건조되는 양상이 보이게 되므로, 지붕과 함께 이 부분이 건조되는지 함께 살펴 봐 주세요.
G 김민제 2022.01.03 11:00
원인을 찾았습니다.
원인은 베란다쪽 하수구 막혀 역류되어 그 역류된 물이 베란다 바닥으로 매설된 난방배관을 타고 들어가 누수된 것으로 확인되었네요.
현재 문제가 되는 하수구는 뚫고 바닥에 매설된 난방배관 주변에 노출된 콘크리트부를 방수처리하였습니다. 아랫집 천장의 물방울 매침이 마를때까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이후 문제가 없다면 마무리 지을 예정입니다.
신경써주셔서 감사드리며, 2022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G 김민제 2022.01.03 11:04
아 그리고 위에 조언주신 내용은 원인으로 생각했던 부분으로도 해결이 안되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붕(옥상)은 언급해주신 내용과 같이 평지붕(옥상형)이며, 방수도 많이 벗겨진걸 확인하였습니다.
외벽의 경우도 단열재가 이중창이 안들어갈 정도로 폭이 좁습니다.(단열재가 있어도 얇은게 들어간거 같네요)그래서 단열의 문제로 결로로 의심했던거고요. 아무튼 답변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22.01.03 12:44
원인을 찾아서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G 김민제 2022.01.12 10:49
..다시 찾게 되었네요.
위에 언급한 내용이 원인으로 생각하였는데...위 원인 말고도 조언해주셨던 내용도 원인인지...계속 문제가 있네요. (참고로 위에 원인으로 생각되었던 부분?에서는 현재 물 사용을 안하고 있음)
또 오늘 아침부터 연락이 와서 어제(날이 갑자기 추워진 날)부터 물방울이 또 떨어진다고...
참 답답하네요...어떻게 해야할지...
M 관리자 2022.01.12 11:00
최근엔 비가 오지 않았는데요.. 혹시 그저께 눈이 왔을 때 그 지역의 적설량이 있었나요?
G 김민제 2022.01.20 11:42
정확히 기억은 아나지만..왔던걸로 기억나네요...양은 ;;;
그리고 1/19에도 물방울 떨어짐이 있다고 또 연락이 왔네요;;;뭐가 문제인지;;;
M 관리자 2022.01.20 18:46
그럼 옥상의 모서리에서 방수층 훼손이 없는지를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누수가 있다면 벽돌 뒤쪽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 건물이라서요.
6 티푸스 2022.01.20 20:10
스라브가 젖어 있는 현상으로 봐서는 결로로 보여집니다.
누수는 새는 부위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로 물 번짐이 보이는데,  위 사진 상으로는 외측부 면 전체가 습기에 젖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겨울이라 더 심할 것 같구요.

참고로 첨부 사진에 현상도 단열이 안된 평지붕 부위의 결로 현상이 보이는 걸 찍은 것입니다.

옥상의 형태로 봐서 만약 평지붕 옥상의 누수라면 최상층에서 누수 문제가 벌써 생길 구조인것 같습니다 만....
M 관리자 2022.01.20 21:24
첨언 감사합니다.

김민제님..
이와 같으므로, 최소한 비와의 연관 관계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G 김민제 2022.02.09 11:50
첨언 감사드립니다.
현재는 누수현상이 없다고하여 지켜보고 있습니다.(아랫집 천장공사를 해주워도 완전히 문제가 해결되고 해야할거 같아서...)
말씀하신 비나 눈 등 오는 날과의 연관성이 있는지 체크해보려고합니다.
비 오는 날--->누수되는 날 얼마의 간격으로 생기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또 위에 언급해주신 지붕은 옥상(평지형) 지붕 맞으며, 확인해보니 녹색 방수?도 많이 들려올라온 상태입니다.
바로 아랫집이 저희집인데..보일러실쪽이나 화장실 천장등...견노현상이 심하여 고민중이긴합니다.
건물 노후되기도 했지만 기초공사(단열, 방수)도 취약한거 같습니다. 일단 계속 지켜보는 중인데...나중에 결과 공유 드리겠습니다. 신경써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인사 드리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M 관리자 2022.02.09 12:18
네 감사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