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결로현상에 대한 TDR 측정으로 판단여부

1 강차장 1 1,142 2022.01.11 16:09

2022년 임인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공동주택 CS담당으로써 겨울철 결로에 대한 민원을 상당히 많이 받고 있습니다.

 

결로현상은 자연적인 현상으로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바 

건설사 입장은 입주민의 관리 부주의로 입주민은 단열공사 하자로 항상 부대끼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고민중 설계당시 TDR 수치에 의한 단열성능기준에 의하여 시공상 하자가 있는지 여부를 가려

성능기준에 못미친다면 벽체마감을 뜯어서 내부 단열보강을 하고 기준에 만족하면 입주민의 생활습관등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고자 하여 여쭙습니다.

 

이에 현장 실사를 토대로 가정하여 실제 현장에서 TDR 값을 적용가능한지 여러분들께 여쭙습니다.

 

가정)  내부온도                영상 23도

         적용부위 최저온도   영상 17.9도

         외부날씨               영상  3도

 

다음의 가정하에 현장에서 TDR 산식에 대입하여 0.25 라는 수치를 얻었다고 한다면 남부지방 설계기준

0.28 이하로 단열성능에는 만족할 수 있는 상황으로 입주민께 결로에 대한 관리를 조금더 추천하는 방법으로 설명을 드리는게 결로현상에 대한 대응방법이 맞는것인지 여러 고수님들께 여쭙습니다.

 

ps)  결로현상 질문시 온도/습도를 말씀하셨으나 측정하지 못하였고 단열성능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현장 실사진상으로는 창문쪽이 외창이며 벽체는 옆세대와 마주하고 T형부재 입니다

     침대가 벽체와 밀접하고 있으며 아기를 키우는 세대로 가습기 사용중이며 환기가 잘되어지지 않는

     구조로 열교환기 설치 세대이나 작동을 하지 않는점등 특이사항이 있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2.01.11 22:04
안녕하세요.

현장 측정을 TDR 과 직접 비교는 할 수 없지만, 논리는 타당합니다.
즉, TDR의 계산이 나온 취지는 설계단계에서의 검증을 위한 것이고, 현장 측정을 위한 것은 아니기에 그렇습니다. 이 말은 만약 법적으로 간다면, 엄밀히 이 계산결과가 증거로 채택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면 온도를 볼 때, 이 계산식을 편의성 측면에서 도입하는 것은 타당해 보입니다.

그리고, 첨언을 드리자면..
방사율 설정값의 기본값이 0.95 로 되어 있기에, 그 값을 그냥 사용하는데요. 비닐계벽지 이므로, 방사율은 0.85 정도로 낮추시는 것이 맞습니다. 이 부분을 기본값으로 그냥 사용하면, 전문가가 보았을 때 결과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기에 노파심에 말씀 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