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해결방안에 대한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님

너무나 상황이 절박하기에 이렇게 문의드리오니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아랫집 천장누수 흔적(사진참조)을 보고 대부분의 업체유관확인결과 누수로 판단하여 누수정밀탐지를 실시하였으나 누수를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벽채 콘센터에 물방울이 맺혀있는 것이 의심되어 띁어보니 콘크리트 벽체가 젖어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사진참조). 참고로 벽지는 특정 일부부위가 조금 젖어 있는 경우는 있지만 환기만 시키며 사라집니다(사진참조).

 

그래서 결로로 인한 누수에 대하여 상담을 여기저기 받은 결과 결로로 인한 누수는 거의 발생치않는다고 다른 요인일 것이라고 합니다.

 

아래에 대하여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 콘크리트가 젖는 이유

- 콘크리트가 젖을 경우 아랫집 누수로 연결될 가능성

- 만약 결로가 원인이라면 현재상황에서 공사범위와 방법

 

이건으로 지금 너무 힘들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아무쪼록 고견과 해결방안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동영상도 첨부하였습니다. 

그리고 혹시 가능하시다면 뵙고 상담을 받았으면 가능하실런지요?

 

KakaoTalk_20220127_101107130_13.jpg

 

KakaoTalk_20220127_104539445_06.jpg

 

KakaoTalk_20220127_101107130.jpg

 

KakaoTalk_20220127_101107130_05.jpg

 

KakaoTalk_20220127_101107130_07.jpg

 

KakaoTalk_20220127_101107130_08.jpg

Comments

M 관리자 2022.01.27 11:22
죄송합니다만, 비밀글은 답변을 드리지 못합니다.
내용 중 개인정보를 삭제하시고 공개글로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 이호신 2022.01.27 13:39
말씀하신데로 개인정보 삭제하고 공개글로 전환하였습니다.
G ey0001 2022.01.27 15:05
저희 집 상황이라 비슷하네요
저희 윗집은 누수탐지조차도 안하고있고 3주째 주말만 되면 천장슬라브에서 물이 떨어지는데
미치겠네요
해결되시면 참고하게 답글 부탁드리겠습니다
M 관리자 2022.01.28 00:38
답변을 오래 기다리셨을 텐데.. 죄송합니다만, 질문을 먼저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1. 누수가 인지된 시점이 얼마나 되었나요?
2. 콘센트 쪽 벽을 뜯어 보셨는데.. 그 벽은 질문 주신 분의 세대 벽인가?
3. 그 벽의 뒷쪽은 외부인가요? 즉 측벽인가요?
4. 벽을 뜯자 마자 사진 처럼 물이 보였나요? 아니면 뜯은 후에 생긴 물인가요?
5. 천장 사진은 아랫집의 천장인가요? 그리고 사진을 찍은 곳이 물이 떨어지는 곳인가요?
6. 물이 떨어지는 곳은 어느 방인가요? 그리고 화장실로 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방인가요?
7. 실내 온습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온습도계를 보유하고 계신가요?
G 이호신 2022.01.28 09:50
1. 2021년 4월 - 누수탐지결과 누수가없고 아랫집천장에 누수도 멈춰 누수량이 발생하면 다시 점검하기고 하고 아랫집과 정리
    2021년 1월 20일 다시 누수발생 - 두차례의 누수탐지결과 이상없음. 콘센트박스에 이슬맺힘발견
2. 윗집인 저희집 콘센트 박스입니다. 어제 아랫집도 콘센트박스를 열어 확인결과 안쪽에 물고임 확인
3. 벽은 외벽입니다.
4. 띁자마자 콘크리트가 젖어있고 이슬이 맺혀있음
5. 천장은 아랫집 천장이며 물떨어지는 곳입니다.
6. 첨부한 도면에서 입구 바로 앞방이며 화장실과 누수지점과 5m정도입니다. 누수탐지시 화장실도 점검하였으며 어젠 화장실 배수구을 막고 물을 바닥에 가득채우고 하루를 지켜봤으나 아랫집 누수변화없음
7. 온습도계는 없습니다. 참고로 저희방 벽지에 결로현상은 별로 없어서 저희집에는 누수도 결로도 없는 결론이 났으나 확실하게 하기위해 뜯었음.
G 이호신 2022.01.28 09:55
다른 추가사진과 점검자료가 많은데 가능하시다면 협회에 방문해서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M 관리자 2022.01.28 16:19
죄송합니다만 저희가 개별 상담을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모두 이 곳에서 상담이 이루어 져야 합니다.

마지막 질문인데요.
현관 입구와 마주보는 방(침실3)이라고 하셨는데.. 도면의 콘센트 위치는 내벽 쪽에 있고, 외벽 쪽은 침대 머리가 위치하고 있는데요..  지금 뜯은 콘센트 위치가 침실3에서 어디에 있는 것인지 알려 주시어요.
G 이호신 2022.01.28 19:08
내용 수정이 안되어서 첨부파일로 콘센트위치를 빨간색으로 표시했습니다. 침대머리쪽에서 왼쪽입니다.
M 관리자 2022.01.28 19:41
조심스러운 예측이나, 저는 결로라고 보여 집니다.
결로수라고 보기에는 물의 양이 조금 많긴 하나, 누수라고 하기에는 계절을 타고 있기에 그렇게 보았습니다.

우선 최근의 모든 아파트는 외벽 쪽에 콘센트박스를 만들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하자가 과거에 너무나 많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번외의 이야기지만 사용된 단열재도 기준 이하의 제품으로 보입니다.

대책은 조금 어려운데요.
1. 우선 온습도계를 설치하셔서 안방의 습도 체크를 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건강습도 40~60%를 벗어나고 있는지를 보셔야 하고,
2. 해당 외벽 전체 철거를 권해 드립니다. 그래야 외벽에 삽입된 전기선을 들어내어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전체가 부담된다면.. 콘센트박스 주변으로 사방 50cm 범위로 절개를 하고, 콘센트박스를 제거한 후 다시 해당 부위를 틈새없이 메워야 하는데.. 이 부분은 결심이 서시면 나중에라도 구체적으로 알려 드리겠습니다.
그 때는 콘센트 주변을 철거한 후의 여러 각도에서 찍은 사진이 필요합니다.

------------
예측컨데.. 안방 문을 닫고, 창문을 열거나 제습기를 가동하면 아랫집의 물이 줄어 드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결로라는 확신을 가져도 됩니다.
G 이호신 2022.01.29 00:18
콘센트박스를 제거한 후 사진을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구체적인 자문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G 이호신 2022.02.02 12:35
외벽에 크랙이 발견되었는데 이 크랙으로 냉기가 유입되어 벽체에 결로를 유발할수 있을까요?
이 크랙으로 계속 물이 흘러나오는 듯합니다.
위치는 저희집바닥높이인듯합니다.
M 관리자 2022.08.31 02:10
오래전 글이나, 제가 답변을 드리지 못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아파트의 층간 이어치기를 한 부분인데요. 이 균열로 물이 실내로 들어올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