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공부하는 장래 건축주입니다. 협회자료에서 열공하고 있는데 궁금한 부분이 안 나와서......
1. 경량목구조 지붕외단열시 표준주택 시방서에 의하면 서까래위로(중단열 이하 내부는 생략)
서까레+OSB(그림에는 없던데)+세로각 38미리단열+가로각 38미리단열+투습방수지+레인스크린 38미리+OSB+방수지 2미리+멤브레인+알미늄징크(이건 개인사양) 이렇게 구성을하고 처마를 외벽으로부터 600미리 정도 돌출시키고자 합니다. 이경우 벽에서 올라오는 OSB와 서까래위의 OSB가 만나고 벽 투습방수지와 지붕투습방수지가 만나는 것이 맞지요? 문제는 처마부분인데요. 서까래(2X12) 위로 약 140미리 정도 공간이 생기고 지붕마감재가 내려오게 되는것 같습니다.
2. 지붕 외단열이 끝나는 처마부분에서 부터 마지막 후레싱 부위까지 서까레위에 버팀목(예 2X4 세로)을 세워서 그위로 방수지 밑의 OSB가 지나가게 하나요? 아니면 어떻게 처마를 시공할까요? 아무리 머리로 그려봐도 답이 안나오네요. 저는 꼭 처마를 길게 만들고 싶어서요
3. 외박공지붕(3조각)을 계획하고 있는데 가능하시다면 지붕 옆면은 어떻게 하는지도 알고싶습니다. 서까레를 횡으로 달아내서 옆면을 별도로 만드는 것 까지는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도 2번과 동일하게 역시 외단열로 인한 높이차가 나는데 이것은 방법이 2번 처마 부분과 다르게 시공할까요?
4, 이건 또 다른 질문입니다만 협회 시공사중 어떤분은 경량목구조 중단열을 미네랄울 분사형을 쓰시고 어떤분은 고체형? 을 2겹을 엊갈리게 붙이던데 저는 개인적으로 고체형을 붙이는게 좋아보이는데(분사형은 밀도문제 사람문제로 언젠가는 가라앉아서 상부에 공간이 생길거라고 추측) 먼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이 두가지 방법은 단열수준이 비슷하다고 보면 될까요? 미네랄울이 너무 비싸면 글라스울이라도요. 외단열에 38+38이 있다면 중단열은 어떤 것이든 별로 큰차이가 없을까요?
------------
처지는 것은. 밀도가 정상밀도보다 낮아서 그렇습니다.
단열재의 종류별 제조사의 권장 밀도가 있습니다. 그 것을 재확인하고 싶으시다면 해당 제품명과 기준 밀도를 올려 주시면 검토해 드리겠습니다.
서까레는 벽면에서 잘라내고 단열로 감싸서 숨기고 통기층 각상에 처마를 붙여서 성형하라는 거군요. 그걸 몇일을 끙끙댓네요. 지붕 옆면은 기존에 달아내는 목재 끝에 돌출부위를 위로 올려서 가로 각상과 물려서 제작 하나요?
관리자님 저는 그냥 미네랄울 고체형으로 표준주택에서 요구하는 두께 만큼 벽이든 지붕이든 붙여서 할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옆면은 말씀하신 것과 같습니다.
콜루님이 측면 돌출 사진 한 장 올려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