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보통 전열교환기 배관을 pvc로만들어진 플랫덕트나 주름관(크린호스)을 사용하더라구요

천장 깊이가 여유가 되고 시공에 장애물이 없다면
아래와같이 일상에 많이 쓰이는 pvc원형파이프를 메인배관으로 사용해도 될까요?
(일부 연결부분은 주름관 사용)
왜 pvc원형파이프를 생각했냐면
1. 천장높이 및 벽과벽사이 장애물이 없어 시공에 제약이 크게 없다
2. 위의 이유로 주름관의 바람저항 보다는 매끈한 원형파이가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
3. 플랫덕트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더 두껍다
입니다..
이런 이유인데 원형파이프로 시공된 사례를 못찾다보니 배관재료로 부적절한가 싶어 이렇게 질문올려봅니다...
하셔도 되긴 하나, 기기의 접속구 지름과 디퓨저 지름 등이 상이하고, 배관을 꺾을 때마다 부속품을 사용해야 하기에 생각보다 훨씬 어려우실 확률이 있습니다.
1. 다락없는 1층 박공지붕 구조에서 지붕의 모양에 멋을 낼려다 보니 웜루프는 단열 등 손이 많이 가서 비용절감을 위해 콜드루프를 선택해 보고자 하는데 콜드루푸를 해도 패시브주택을 쉽게(매우 까다롭지 않게) 구현할 수 있나요?
2. 이때 전열교환기는 가변형투습방수지와 설비층 사이(38미리)를 통과할 수 없는데 이를 위해서 설비층을 100미리 정도로 확대해도 되나요? 아니면 콜드루프 밖으로 배관을 하고 각 룸에서 방습지들을 뚫고 들어가서 설치를 해야 하나요? 이경우는 외기에 배관이 노출되어 있어서 열을 미리 뺴앗겨서 문제가 될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이 가능하다는 것은 패시브하우스가 가능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는 의미입니다.
2. 평천장에 단열을 하고, 배관을 한 다음 다시 그 위에 단열을 덮는 식이어야 합니다. 물론 말처럼 쉽지는 않으나, 어쩔 수 없습니다.
설비층을 100mm 두는 것은 가능하지만, 환기배관만을 위해서 그 정도의 높이를 두는 것이 합리적 대안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