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초 내단열 및 외단열, 협회의 방향성 및 조언을 구합니다.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줄기초 내단열 및 외단열, 협회의 방향성 및 조언을 구합니다.

G BASECON 6 1,049 06.26 18:02

1. 온통기초 하부(외단열) Case


기초

Pe필름 (단열재 사이의 처리가 건전하면 생략가능)

단열재

버림콘크리트 (생략가능)

Pe필름

잡석다짐 (다짐이 되어야 함)


1)Pe필름(단열재틈을 통한 열교 방지 계획수립시 생략)

단열재(Xps) / 먹줄

버림콘크리트(하부잡석층이 평활할시 생략가능)

2)pe필름(버림콘크리트 생략시 생략가능)

잡석다짐


추가사항

1)or2) pe필름중 하나는 해야함.



2. 줄기초(파일기초) 하부단열(외단열) Case


1번과 같으나 eps블럭으로 지중보 사이를 메우거나 흙을 잘다져서 매움



3. 온통기초 상부단열(내단열) Case


마감

무근콘크리트

Pe필름(얇아도 됨)

단열재

기초

버림콘크리트

Pe필름

잡석다짐



4.줄기초 상부단열(내단열) Case


마감

무근콘크리트

Pe필름

단열재

슬래브or기초

Eps블럭or지반다짐

버림콘크리트

Pe필름

잡석다짐

 

누군가 협회의 토론과 논의를 2021년도 경에 정리해주신 기초 공사 케이스입니다.

 

만약 위와 같다고 할 때 줄기초를 치고 외단열, 내단열 두 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고 할 때 

 

+ T10 강마루

+ T50 방통몰탈(15XL파이프, #8 와이어메쉬, 온수온돌축조)

+ T30 스티로폼

+ T350 철근콘크리트슬라브

+ T125 단열스티로폼(가등급)

+ T50 버림콘크리트

+ T0.03P.E필름 2겹 설치

+ T150 잡석다짐

 

설계 상 위와 같을 때 어떻게 바꿔야 할 지 알려주세요.

 

줄기초는 원지반 아래로 600mm 내려가고 콘크리트 슬라브는 300~350mm 정도 두께가 될 것 같습니다.

하부에 잡석을 잘 다지고, 측면에 아스팔트 방수 및 아이소핑크(XPS)를 화스너로 잘 고정한다는 조건입니다. 기초 측면 단열재도 요구해서 비용이 좀 더 들어도 깔려고 합니다. 배수판도 물론 설치하고 싶습니다. 다만 기초 주변으로 쇄석을 채우는 것은 어려울 것 같은 상황입니다. 이렇다고 할 때 기초 측면의 배수판 쪽에 대해서도 드레인보드나 투습방수지, 추가적인 어떤 조치가 필요한 지 협회의 시공사례 기초공사 사진으로만은 판단이 안 되어 글을 올립니다.

 

도와주세요.

Comments

M 관리자 06.26 18:21
+ T10 강마루
+ T50 방통몰탈(15XL파이프, #8 와이어메쉬, 온수온돌축조)
- PE필름 0.05mm
+ T30 스티로폼
+ T350 철근콘크리트슬라브
- PE필름 0.1mm
+ T125 단열스티로폼(가등급)
+ T50 버림콘크리트
+ T0.1 P.E필름 한겹 (200mm 겹침)
+ T150 잡석다짐

입니다.

측면에는 드레인보드만 붙이면 되는데, 흙의 표면에는 깊이 300mm 정도로 쇄석을 채우는 것을 권장합니다.
G BASECON 06.29 17:12
감사합니다, 관리자님!

혹시 T30 스티로폼 바닥에 대는 단열재를 더 두꺼운 걸 사용하면 바닥 단열과 열교 저감에 더 좋을까요? 그리고 사이사이 PE필름은 분리층으로서 구분의 역할을 하려고 까는 건가요? 아니면 여러 개의 방습층 레이어로서 까는 걸까요?

그리고 조경을 좀 내려놓고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유지 차원에서의 시간 및 비용 절감을 위해 마당 전체를 T200 무근콘크리트로 전체 포장한다고 했을 때 기초 측면 드레인보드나 배수판은 생략되어도 무방한가요?
G BASECON 06.30 00:24
+ T10 강화마루
+ T50 몰탈(15A X-L 파이프) + 엑셀고정 U핀 고정
+ T0.1 PE필름
+ T100 비드법 1종 2호 단열재
+ 콘크리트 슬라브
+ T100 압출법보온판 1호 2겹 위 T0.1 PE필름
+ T100 버림콘크리트
+ 잡석다짐 위 T0.1 PE필름

—————————————————————————————————

+ T7.5 강마루
+ T40 방통몰탈
+ T0.1 PE필름
+ T110 압출법보온판 (배수를위한 T20하부홈가공)
+ T500 철근콘크리트
+ T0.1 PE필
+ T200 압출법보온판 (2Ply 교차시공)

—————————————————————————————————

+ 포세린타일
+ T60몰탈(난방배관)
+ PE필름
+ T150 비드법1종2호
+ T400 콘크리트 기초
+ T300 비드법보온판 1종1호(토목용EPS되메우기용-에너지해석제외)
+ T150압출법 보온판 특호

협회의 시공 사례 중 바닥 구조를 보면 위와 같은데 단열재를 다 두껍게 쓰고 있네요. 방통 몰탈 아래 깔리는 단열재가 두꺼우면 실내 천고에 영향을 미치겠죠? 그래도 바닥 단열을 위해 T30 스티로폼보단 두꺼운 단열재를 쓰면 어떨까 싶은데 조언을 구합니다!
M 관리자 06.30 10:50
1. 외단열이 건전하다면 난방 하부 단열재 두께를 늘리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협회 사례에서 난방 하부 단열재가 두꺼운 경우는 목구조와 같은 건식구조일 거여요.
그리고 이런 단열재 두께는 부분적 구성으로 접근하시면 안되고, 담당 건축사가 전체의 효율을 보고 판단해 주셔야 합니다.

2. 마당 전체에 콘크리트를 깔더라도 드레인보드와 쇄석은 필요합니다.
G BASECON 06.30 18:10
정말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M 관리자 06.30 19:18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