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목조주택 현관구성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개구쟁이 5 888 02.21 00:51

안녕하세요.

항상 적극적인 조언과 의견 감사드립니다.

 

경량목조 단측 단독주택(다락있고 지역은 경남 진주입니다)

현관구성 관련 질문드립니다.

 

우선 전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크린샷 2024-02-21 오전 12.00.40.png

 

 슬래브 두께는 150미리이고 현관은 턱다운 50있습니다. 턱다운 되는 만큼 슬래브 하부도 같이 낮춰 두께 150미리 유지하고있습니다.(구조사 조언). 현관 바닥과 실내 단차를 200미리 정도를 줄려고 하고 있습니다. 외부 입구는 두개의 콘크리트 판으로 계단을 형성하고자 합니다.

 

1. 현관문 하부 단면 상세 입니다.  실무자교육 및 게시판 내용들을 참고해 구성해 보았습니다. 아래의 번호는 단열재, 방통 등을 제외한 기밀 공사만의 순서 입니다. 도면 검토 부탁드리겠습니다. 

  1) 7번의 절곡판을 빼고 8번의 방투습층을 바로 기초측면 단열재위로 내려 붙여도 될까요? 

  2) 9번의 그리드/잔골재 와 8번의 방투습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있어야 할까요? 아래의 협회에서 다른 게시글에 협회에서  제시해주신 예시를 참고했습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어떻게 구현할지 고민이 됩니다.

 3)측면 완충재는 구조체로의 진동 및 소음을 막기 위함이기에 외벽이든 내벽이든 방통 몰탈과 구조체가 만나는 모든 부분은 설치가 되어야 하며, 방통단열재 상부의 방수층 PE 비닐은 측면 완충재를 덮은 뒤 방통이 시공되어져야 한다.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습니까?

스크린샷 2024-02-20 오후 11.54.09.png


스크린샷 2024-02-21 오전 12.16.44.png

 

 

2. 만약 제 예상되로 된다면 그림B처럼 마감이 될듯합니다. 이러기 위해 그림C와 같이 발판 하부에 테두리 보를 형성하고 내부를 쇄석으로 채운뒤 상부를 만약 콘크리트로 다시 덮어 마무리하는것이 가능할까요. 그럼 현관전면부의 물의 경로는 (그리드/잔골재 - 발판 내부 쇄석 - 되메우기 쇄석 - 지반) 입니다. 상부에 깊이 1미터의 처마가 있습니다만 삼면이 다 열린 형태라 아무래도 물이 현관전면부에 얼마든이 들이칠 수 있는 상황이고, 대지면에서 높이가 있는 만큼 계단을 형성 해야 한다는 점, 단순한 형태의 마감등을 고려 할때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발판의 크기가 크지 않아 측면 단열재에서 쇄석을 채울 수 있는 공간 (100~150미리)을 주고 되메우기 쇄석 위에 매트를 치는 방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스크린샷 2024-02-20 오후 11.55.01.png

 

스크린샷 2024-02-20 오후 11.55.16.png

 

 

3. 기초 외벽/ 현관입구/ 처마하부 단면입니다. 

1) 2의 연장입니다만, 되메우기 쇄석위에 콘크리트 계단이나 발판을 형성할 경우 충분한 다짐 후 분리층(PE비닐)만 형성 해주고 바로 시공이 가능한게 맞는지요. 

2) 처마의 물을 선홈통 없이 바로 쇄석층으로 떨어뜨릴려고 합니다. 이경우에 유공관의 위치가 터파기 상단 또는 다짐 쇄석 상단 중 어디가  맞습니까? 제 생각엔 지붕의 물을 그대로 받아내기에 터파기 상단에 설치가 효과적일듯 합니다만, 여러 자료들을 보면 바닥에 있는 것도 있고 중간에 있는것도 있어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기준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3) 되메우기 쇄석층과 마당의 흙의 분리를 우선 토목용 부직포로 하지만 최상단 지표면엔 물리적인 분리층이 있어야 할꺼 같습니다. 가격 및 시공상 가든 엣지가 유리해 보이는데 혹시 추천해주실 방법이나 재료가 있을까요?


스크린샷 2024-02-20 오후 11.54.36.png

 

 

보시고 조언 및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언제나 적극저인 도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수고하세요.

Comments

M 관리자 02.21 11:17
안녕하세요.
목구조의 외벽엔 별도의 외단열이 들어가기는 않는 거죠?
1 개구쟁이 02.21 20:08
안녕하세요.

외단열이 있습니다.
그림 B와 C에서 보면 목구조 벽에 38미리로 2겹 외단열이 있습니다.
M 관리자 02.22 21:28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1. 금속판이 있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하긴 합니다만,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단열재 위로 올리지 마시어요. 현관이 없는 다른 벽면처럼 투습방수지가 기초에 직접 접착되어 붙는 것이 더 나은 구성입니다.
1-2. 유격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현관 바로 앞에는 굳이 트랜치가 개입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쇄석 그 자체로 마감을 끝내도 되세요.
1-3. 이해하신 바가 맞습니다. 측면완충제를 설치한 다음 PE비닐이 덮어야 합니다.

2. 제가 정확히 이해를 했는지 모르겠으나, 현관 앞에 일정 크기만 높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쇄석으로 된 모든 부분이 높아지는 것인가요?
그림으로 볼 때는 현관 앞의 판석 하나 크기 만큼만 높아 지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러면 시멘트 블럭으로 낮은 턱을 만들고, 그 속에 쇄석을 채운 다음 판석을 올리시면 되세요.

3-1. 상부 쇄석과 하부 쇄석 사이에 PE필름없이 그대로 올리시면 되세요.
3-2. 유공관은 어느 높이에 있든 큰 상관은 없습니다. 그저 1% 정도의 물매를 줄 때, 시우수관과 연결에 지장이 없다면 괜찮습니다.
3-3. 판석을 세워서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드립에지가 가장 가성비가 높습니다.
1 개구쟁이 02.26 06:08
안녕하세요.

전체적으로 정리되어 방향이 잡혔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02.26 22:12
감사합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