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잘 지어진 해외 주택 사진들을 인터넷에서 쭉 구경을 해보니 거의가 다 모던홈이고 거의가 철근 콘크리트 주택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시멘트가 발암물질 범벅이잖아요.
그래서 철근 콘크리트로 짓더라도 콘크리트의 노출 부위가 없게끔 철저히 차단하여 고밀도 목재판넬이라는 것으로 외부마감을 쓰면 어떨까 싶은데요.
(1) 이처럼 콘크리트의 완전 차단은 가능한지요? 그리고 마감재로 차단했다고 해서 유해성분으로부터 철저히 미세하게 차단이 되는 것인지요? (미세한 수많은 틈을 통해서 육가크롬 등 발암물질들이 공기중으로 흘러나오는 것은 아닌지...)
(2) 고밀도 목재 판넬이라는 것의 성분도 원목은 아닐테고, 그렇다면 결국 그 발암물질도 많고 인체에 유해하다는 MDF 아닌지요?
(3) 만약 MDF라면 E0 등급의 고밀도 목재 판넬이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또는 수입되고 있는지요?
(4) 고밀도 목재 판넬이라는 것이 아닌 다른 추천 마감재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특히 지붕까지 다 고밀도 목재 판넬이라는 것을 써도 되나 싶기도 해서 말입니다.
질문 내용 중 많은 부분이 저희가 답변 드릴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선 듯 합니다. 저희가 중금속 전문가가 아니어서요..
답변을 드릴 수 있는 부분에 한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널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1. 마감재는 마감재 사이에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기를 통해서 움직이는 물질을 차단할 수는 없습니다.
2. 고밀도 목재판넬은 MDF와는 다릅니다.
3. MDF가 아니므로, 분리되어 판단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E 등급체계는 실내에 사용되는 마감재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확인해 보지는 않았으나, 고밀도목재판넬도 실내용은 E 등급을 받았겠지만, 외부용 고밀도목재판넬은 등급 취득 대상이 아니므로 등급 자체가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고밀도목재판넬은 이른바 "관리되고 있는" 국가에서 생산하므로 실내용/실외용 등의 용도에 맞게 적합판정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4. 목적하신 바를 이룰 수 있는 마감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추천드릴 수 있는 자재는 없을 듯 싶습니다. 그리고 그걸 떠나서 지붕에 고밀도목재판넬은 사용할 수도 있지만 디테일이 매우 복잡해 지므로 결국 공사비 부담으로 사용하실 수 없으실 것 입니다.
** 번외의 이야기입니다만,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유해성 논란은 아마도 끝없이 지속될 것입니다. 지속된다는 뜻은 유해성 여부를 떠나서 인류가 콘크리트를 포기하기에는 아직 대체할 것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저희가 그 쪽 분야 전문가는 아니라서 무어라 단정지을 수는 없겠습니다만, 아마도 예상컨데 콘크리트의 육가크롬보다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한 발암 가능성이 월등히 높고, 미세먼지보다 흡연으로 인한 악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논란이 수그러들지는 않겠지만, 아시다시피 콘크리트는 로마도시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 재료였습니다. 즉, 인류가 도시라는 것을 이루면서 부터 시작된 논쟁이라는 의미입니다. 아마도 콘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을 인류가 개발해 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긴 하지만, 대체한다고 해도 그 재료 역시 유해성 논란으로부터 자유스럽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모든 인공재 (자연재를 소재로 하더라도 인위적으로 가공한...)의 숙명인 듯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시간내 주셔서 찾아와 주시니.. 항상 감사드립니다.
시멘트제품에 대한 인식 말씀입니다.
아니면 쓰지 않음 될 것을 두고 이러쿵 저러쿵 하능 거...
관리자님이 아부(?)를 받으셨군요...ㅎ
웃자고 드린 말씀입니다.
늘 고생만 하시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