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방습,방수지

1 오솔길 6 4,276 2014.01.07 18:48
   안녕하십니까.
예비건축주로 귀협회의 고견을 참고한 주택구상중입니다.
 
  구조를 경량목구조로 하려는데 패시브하우스가 끌리지만 현실적인 부분에서는 좀더 대중화
된후라야  선택이 망설여 지지 아니할까 생각됩니다
 
  하여 찬지붕공법을 따뜻한 지붕으로라도 해보려합니다
 
지붕   에어가드SD5+2*10서까래와 R32그라스울+타이벡수프로+각재(벤트)*OSB+방수시트+슁글
 
외벽   석고보드2PLY+에어가드SD5+2*6와R21그라스울+OSB+하우스랩+각재(레인스크린)+시        멘트  사이딩.  창=3중로이.하우스래대신 에너코월도 생각중입니다
 
 위와같이 시공하려는데 지붕이 모임지붕이고 칼라타이등이 있다보니 방습지 취부가 어려울거
같습니다(지붕경사도=약30도,다락없는 단층구조)
 
  지붕의천정부분에 취부하지않고 장선에 취부하고 석고보드2PLY후 벽지등으로 실링마감하면
어떤지요
 아울러 천정속의 벤트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나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단열은 중부지방기준으로 나등급으로 계획중입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4.01.07 21:56
안녕하세요...

항상 비슷한 이야기를 먼저 드리고 시작을 하는데... 올려 주신 정보만으로 제대로된 조언을 드릴 수만 있다면 저희도 한없이 기쁠 듯 합니다. 그러나.. 건축이란 것은 건축주,설계사,시공사의 협연이기 때문에 이 외벽과 지붕의 구성만으로써 저희가 드리는 조언은 극히 일반적 사항만을 담고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집이 완성되기 까지 이 글로 확인할 수 없는 나머지 약 99% 는 규정을 지켜가며 무리없이 잘 진행된다는 전제하게 말씀을 드리는 것임을 인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기밀층의 형성을 박공지붕면에 설치하는 것은 지붕 속에서 천장을 지나서 나오는 것 (전등, 환기구, 점검구 등...)이 의외로 많기 때문에.. 기밀성을 좋은 방향으로 이끄는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지붕속을 보수하는 것도 거의 어렵구요.. 그럴 일은 거의 없겠으나...

기타 여러가지 생각이 스쳐 지나가긴 하지만.. 결론적으로 저희는 그렇게 시공을 한 경험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저희가 크게 도움을 드릴 만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는 못합니다.

그저 직감적으로... "하기 쉽지 않겠다" 라는 생각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다른 분들께서 이런 형식의 지붕에 대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공유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 우드진 2014.01.08 23:49
계획하시는 실링높이보다 벽체와 장선높이를 더 높이고 설비시설을 위한 공간층을 형성하여 반자를 내려서 계획하시면 어떨까요? 물론 시설보수에 대비해 점검구 계획도 잘하시구요?
M 관리자 2014.01.08 23:52
네.. 설비층을 두기도 합니다만.. 환기장치 때문에 만만치 않더라구요..
그래도.. 가장 접근 가능한 안이 아닐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1 우드진 2014.01.08 23:52
그래도 따뜻한 지붕구조가 여러모로 나을듯 하지만 ... 시공하시는분이 인내력 가지고 꼼꼼히 하연 될테지만요..^^
1 오솔길 2014.01.09 11:13
고견 감사드립니다
천정속에는 난로의 연통이나 별도의 환기장치가 없이 전선만 들어갈것같읍니다
거까래위의 투습방수지를 처마방향으로는 외벽부분으로 내려서 하우스랩과 겹치게해야 되는지요
M 관리자 2014.01.09 12:20
네 겹쳐야 합니다.
다만 레인스크린이고 이야기하는 통기층은 이으시면 좋지 않습니다.
벽체상부에서 나갈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