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주택 1층(최하층)바닥 무근콘크리트 두께에 관하여
G | 댓글 1
제목과 같이 주택 및 근생규모의 건물의 최하층 바닥 (주차장x)기초+단열재+무근(두께?)+바닥마감재기초위 단열재를 깐후 마감전에 보통 무근콘크리트를 치는데 (와이어매쉬포함) 이때 무근콘크리트의 최소 두께가 궁금합니다.1. 주택의 경우 최소무근두께와 통상적으로 쓰는 두께?2. 근생일 경우… 더보기
지하 1층 45평 환기시설 질문
G 김홍연 | 댓글 2
안녕하십니까! 지하 1층(45평)을 셀프 인테리어하고 있는 청년입니다. 지금까지 바닥과 벽, 천장 작업을 마친상태고 환기 작업 후 전기 배선 작업은 전문가님께 맡기려 하고 있습니다. 덕트 전문가님께 여쭈어 봤더니 지하라 강제 흡, 배기가 필요하여 배기와 흡기를 같은 힘으로 하여야 한다고… 더보기
1층 지붕과 만나는 2층 벽체에 조적은 어떻게 ?
1 자연나무 | 댓글 1
경량목조주택으로 벽 외장을 조적으로 할 예정입니다.1층지붕과 만나는 2층 벽체에 조적을 위한 밑받침(턱)은 어떻게 만들고, 방수/통기 등을 위한 detail 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아이소핑크100T에 석고보드 부착은 어떻게 할까요??
G 최순규 | 댓글 3
이번에 LH 다세대임대주택 분양받았는데 샌드위치 판넬로된 옥상집입니다..ㄷ 장기미임대주택으로 가계약하고 한번 가보니.. 곰팡이 부터 시작해서 장판밑에 습기에.. 그래서 제가 직접시공으로 할려고 하는데 아이소핑크는 100T로 하고 그 위에 석고보드를 붙일려고 합니다.. 그리고 석고위에는 … 더보기
[1] 관리자님, 설계를 준비중입니다. 본인증 신청이 가능할까요?
1 따뜻한세상 | 댓글 24
1. 올해안으로 20평 + 5평(다용도실) 규모로 목조주택을 지을 예정입니다. 그동안 패시브건축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주옥 같은 글과 댓글을 읽으며 많이 배웠는데 이렇게 처음으로 글을 남기려고 하니 무엇을 질문해야 할지 머릿속이 깜깜하기도 합니다.2. 사실 표준주택으로 떡 하니 짓고 싶지… 더보기
2018년 단열재 두께에 관한 질문
G 장명찬 | 댓글 3
건축물의 단열재 규정이 강화 되면서 두께가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2018년 중부지방의 단열재 두께는 225mm로 강화 되었습니다.제가 질문 드리고 싶은 내용은 1. 고가의 단열재 성능이 좋은 제품도 무조건 225mm의 두께를 만족시켜야 하는 지요?(진공단열재 사용)
15평 건물 리모델링 관련 질문입니다.
1 자연속에서 | 댓글 5
안녕하세요?노후화된 주택을 리모델링 하기 위해 이 홈피의 게시글들을 이리 저리 읽어 보면서관리자님을 포함한 여러 조언들에 감동을 받고 기술적인 면도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저는 도시 변두리의 50년 정도된 버려지다시피한 목조건물을 사서 리모델링 하려고 합니다.대지면적 약 40평… 더보기
16d 못에 대해~
1 자연나무 | 댓글 7
경량목조 주택을 지으면서, irc 등의 문서에 따르면 일반적인 구조목 골조간의 접합으로 16d 못을 사용하게 되어있는데~ 제가 아는 일부 현장에서 83mm 못을 사용합니다. 16d는 90mm 인데 83mm 사용이 문제 없는 것인지? 90mm 사용을 해야한다면 판매처 좀 부탁드립니다~
처마가 있는 (벽체 중심에서 1m) 박공 지붕 스틸하우스를 지으려고 합니다.
G 강혜원 | 댓글 8
아무리 스틸하우스 관련 자료를 찾아 보아도 웜루프로 시공할 때 처마의 스틸 서까래 (조이스트?) 의 열교를 막을 방법을 제시한 것을 볼 수 없습니다.스틸하우스가 고단열 주택이라고 하는데 목조 주택 지붕의 외단열상세도면은 있지만 처마있는 스틸하우스 지붕의 단열상세도가 없네요.스틸로 지어진… 더보기
외기 단열재두께가 150인데 현장에서 자재가 수급이 안되어서 T90,T60으로 시공해도 무관한가요?
G 김용훈 | 댓글 2
안녕하세요.궁금해서 질문을 남깁니다.현장에서 도면의 외부직접외기면의 단열재 THK150로 기재되어있는데 현장시공 일부분이 T90,60로 150mm을 맞추었는데150일때의 열관류율과 T90,60때의 열관류율이 다른데 괜찮은지 질문합니다.
2321 질문
1 산통나무 | 댓글 3
아래 질문글 2321 번에 관리자님의 질문에 답변이 늦었습니다 다시한번 봐주시기 바랍니다 추가질문이있어 질문 드립니다1 방통시(50mm) 소음차단재를압축비드법 30mm로 시공예정입니다 이 두께면 단열채 충전없이스터드 안쪽으로 밀리지 않을까요 혹 밀린다면 대책이 있을까요? 2 수도관과 일… 더보기
플라스틱 단창 복층유리로 열관류율1.5이하 제품이 있나요?
G 박일우 | 댓글 3
설계사무실에 근무하고 있습니다.외벽마감이 판넬150이라서 단창 복층유리창을 알아보고 있어요.열관류율1.5이하 제품이 있다고 이야기를 들었는데 어디제품인지 알수가 없네요.혹시 이 제품 알고계시면 소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실내에 질우레탄2종1호에 시멘트몰탈 마감 후 수성페인트만 발라도 될까요?
G 김고은 | 댓글 2
안녕하세요,내단열시 단열재 위 실내마감 관련해서 궁금증이 있습니다.지하 4층 규모의 건물인데 기계실 등 사람이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벽 마감을비용관계상 열재 경질우레탄 2종1호 바로 위에 시멘트 몰탈을 치고 수성페인트로 마감을 하려고 합니다.이 때 벽 높이가 4미터 가량 되는데 마감이 … 더보기
목조주택 실내 osb+9.5t석고한장 또는 12.5t석고한장
G 남효신 | 댓글 6
목조주택 짓고있는데요 실내에 인렝레이선 취부후 12티 석고한장만 취부할려고합니다 문제가없는지 혹은 오에스비합판 취부후 얇은 석고한장치는게 더좋은지 궁금합니다 답변부탁합니다
1인용 패시브하우스 건축하고싶습니다.
6 gklee | 댓글 15
아래글을 실수로 비밀글로 만들었는데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수정/삭제가 안되네요컨테이너를 써도 좋고 목조도 좋고 도심속 오피스텔같은 1인용 주택인데 패시브하우스로서 효율성과 환기/냉난방 시스템 등은 전부 제대로 갖춘 정육면체 원룸 주택을 짓고싶습니다. 10평 이내에서 5천만원으로 그게 가… 더보기
철콘 30평 이내 1층 신축건물 지붕 슬라브 공사
G 박장현 | 댓글 6
안녕하세요~수고 많으십니다.전남 담양 임야에 내년 2월중순경부터 철근콘크리트로 1층 신축을 위하여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정말 너무 많이 어렵네요. 그래서 문의를 드립니다.벽채는 200mm 16mm철근, 지붕슬라브는 150mm 13mm 철근을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지붕슬라브도꼭 콘크리트… 더보기
신축 2층 단독주택 내 1층 천장 얼룩이 생긴 이유는?
1 지니님 | 댓글 1
안녕하세요. 신축 2층 단독주택 입주한 지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신축 하자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이렇게 글을 씁니다. 1층 천장에 얼룩이 생긴 이유가 궁금합니다. 1층 '천장' 구조는 콘크리트->공간->나무합판(?) 입니다. 2층 '바닥' 구조는 콘크리트->자갈+보일러… 더보기
1843번 질문글에 이은 추가질문입니다.
G 평화 | 댓글 5
먼저 관리자님 이하 이 곳에 오시는 모든 분들의 행복한 새해를 기원합니다. 저는 지난 번 보유했던 상가주택에서 곰팡이문제로 시공하고 띁고 다시 시공하던 아픈경험이 있어 몇군데 인테리어와 상의했지만 열반사지 두장에 석고보드 , 아이소핑크 20mm 등 밥만 하는 늙은아줌마보다도 못한 생각을… 더보기
1819번글 답좀 주세요
G 당진 | 댓글 1
까먹으신거 같아서 한번 올려봐요ㅠ
1814 글쓴이 입니다.
G 박재영 | 댓글 1
사진올립니다. 후 확인해보니 배관 꺽어서 집어넣기도 힘들어보이네요... 외제배관으로 사용하면 꺽이더라도 크게 문제가 안되나요?
1805번 글쓴이 입니다.
G 김진아 | 댓글 3
안녕하세요. 1805번에 질문 남겼었는데. 주말에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ㅠㅠ 약속했던 업자분께서 약속을 펑크내시는 바람에 열적외선 온도계가 없어서 찍지 못했네요. 그런데 지난 일요일부터 어제까지 부산기온이 최저 8도 최고 16도 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러다보니 물이 거의 떨어지지 않고 있… 더보기
옥상 단열재+무근100 시공시 방수와 단열재 습기 문제해결을 어떻게 해야할지
1 무누무누 | 댓글 13
안녕하세요. 현재 공장을 실시설계하고 있는 건축사사무소 직원입니다. 설계하고 있는 공장은 평지붕이며 지붕 설계를 내단열(THK120 단열뿜칠)+THK250콘크리트슬래브+복합시트방수+THK10보호판+THK87무근콘크리트+THK3우레탄 라이닝 을 계획했었는데 공장이다보니 단열규정에 맞게 뿜… 더보기
KS L 9102에 제시된 미네랄울, 그라스울의 열전도율 관련해서..
1 강동화 | 댓글 3
안녕하세요 KS L 9102에서 미네랄울과 그라스울의 열전도율 부분에 관한 질문 하나만 드리겠습니다.. KS 규정에서는 보온판의 열전도율이 평균 온도 70도와 20도를 구분하여 열전도율을 표시하고 있더라구요.. 비고란을 보면 온도보정 확산 참고치라고만 나와있고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서요.… 더보기
16m 페어유리 타공
G emfla | 댓글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