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일반 상가 벽면 막음 질문드립니다.

G 이진욱 7 559 2023.07.04 18:54

안녕하세요.. 주택이 아닌 상가입니다 현재의 유리면(통칭)을 철거후 벽체로 막으려고 

합니다. 외장재는 세라믹사이딩 입니다. 

운영하시는 유튜브를 보니 단열.방수에 대한 걱정이 늘어나서 질문 올립니다..^^

상가.jpg

 

그림 처럼 상가 외벽은 대리석+유리입니다. 상부 대리석 부분은 기와를 시공할 예정이고 

현재 통유리면을 벽체(세라믹 사이딩)로 만들고 픽스창과 출입문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향후 세라믹 사이딩의 2층 슬라브 방향 외벽 끝선이 기와 처마 안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가 됩니다)

 

방송하신 목조주택 방수편을 봤는데 ① ~ ⑧의 구성으로 시공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사항입니다..

1) 세락믹 사이딩은 클립 시공이라서 공기 흐름의 틈이 생기는데도 레인스크린 설치로 공기

흐름 통로를 더 줘야 할까요? 

2) 상가인데 투습방수지가 꼭 필요할까요? (투습방수지가 벽체가 목재일 경우 숨?을 쉬기 

때문이라면 방수처리된 목재 외벽에 둘러 주는 효과가 있는거지 해서요..)

3) 중간마감재(주택의 경우OBS 합판이 되는..)는 내수합판, 태고합판, CRC보드중 어떤것을 

쓰는게 나을지 또 1P보다는 2P로 이음매가 격자가 되게 겹쳐서 시공해야 하는지 아니면 

조인트 부분만 실리콘 처리후 방수테입 마감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4) 단열재는 두꺼우면 좋겠지만 벽면두께도 두꺼워지기 때문에 아이소핑크를 쓰고 폼으로 

밀폐 하려고 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까요?? 

5) 2)와 같은 질문인데 가변형 방습시트로 곡 필요할까요? 

6) 내부마감재도 방수를 고려해서 방수재질 1P시공후 그위에 석고보드 추가 시공이 니을까요??

 

글로 적다보니 질문양이 많네요... 물론 방송하신대로 시공하고 싶지만 비용과 구조적 상황이 

있고 거주 공간의 주택이 아닌 상가의 경우라서... 조언 부탁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07.05 02:18
안녕하세요..
혹시 상가의 용도가 정해져 있을까요? (상가에 입점하는 업종의 종류)
G 이진욱 2023.07.05 14:40
음식점(식당.밥집)입니다
G 인트루김실장 2023.07.05 14:59
모범답안은 관리자님께서 말씀해주실 예정이기에 저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만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어떤 구조의 건물인가요? 프레임은 각파이프로 잡고 내부와 마감공정은 경량목구조나 경량철골구조에서 하는것처럼 하시는것 같은데... 원래 구조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을 잡아주는게 낫지 않을까 해서요... 2. 세라믹사이딩으로 마감을 하기 위해서 해당방법을 선택하신건가요? 아니면 해당방식대로 시공을 하다보니 마감재의 선택이 좁아져서 세라믹사이딩으로 선택하신건가요? 3. 건물이 조적이나 콘크리트구조라면 그냥 조적+미장이 더 괜찮지 않나라고 생각을 해보는데요. 관리자님의 답변을 기다려봅니다.
M 관리자 2023.07.05 15:50
비주거시설은 야간에 잠을 자거나 하지 않기에 습하자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저 외부로 부터의 우수유입만 신경쓰시면 되세요.
다만 주간이라도 습기의 발생량이 많은 식당일 수 있기에, 주거시설까지는 아니더라도 느슨한 개념의 시공이 되면 무리가 없습니다.

1) 세락믹 사이딩의 클립 두께로는 원할한 통기층의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말씀드린 바와 같이 비주거라서 별도의 통기층이 없어도 괜찮아 보입니다.
2) 투습방수지는 외부의 빗물유입 방지를 위해서라도 필요합니다. 즉 통기의 개념 보다는 방수의 목적입니다. 이 것을 전문적인 방수지로 해도 되나, 가성비는 투습방수지가 훨씬 높습니다.
3) 태고합판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겹만 해도 되고, 조인트 기밀테잎을 하면 되세요.
4) 단열재는 아이소핑크를 쓰고 폼으로 밀폐 하는 방식 괜찮습니다.
5) 가변형 방습시트는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합판 위 조인트방습테잎으로 대체가능합니다.
6) 내부마감재는 일반 석고보드를 사용하셔도 되나, 무거운 물건이 달리거나 한다면, 태고합판을 한 겹대고 그 위에 석고보드를 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빗물의 유입을 막는 거라서.. 외부 투습방수지와 기존 구조체가 만나는 조인트에 방수테잎이 건전하게 시공되어야 한다는 것에 가장 중점을 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인트루김실장님...
아마도 조적+미장은 단열재를 대기에 두께가 너무 두꺼워 져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리고 비구조요소의 내진규정에 따라서 비록 비내력벽이라도 조적을 규정에 맞게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너무 어렵기도 합니다.
G 인트루김실장 2023.07.05 16:00
감사합니다~
G 이진욱 2023.07.05 20:03
관리자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23.07.06 13:57
감사합니다.
다만 한가지 더 추가 하자면...
투습방수지 위에 직접 사이딩 클립을 고정하면 피스 구명을 통해서 장기적으로 누수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투습방수지 위에 수직의 바탕목을 먼저 박고, 그 위에 클립을 고정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이긴 합니다. 그게 통기층의 역할까지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