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해당시공시 문제점 및 효율성 관련 조언부탁드립니다.

1 백산창호건설 4 443 2023.07.14 11:06

 외벽이 커튼월 유리로 된 건축물 입니다. 대략 18년 전에 준공되었습니다.

그동안 여름철만되면 냉방설비를 풀가동하여도 유입되는 일사열이 해소가 되지않아서

냉방비가 문제가 아니라 실내에서의 정상적인 업무가 불가능할 정도로 여름철마다

고생이 많았던 건물입니다.

실내쪽 암막브라인드를 전체 설치했으나 상당부분 개선되었으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외벽 커튼월의 유리는 22미리 일반 그린투명 복층유리입니다.

 

이번에 이 더위문제를 어떻게 조금 더 추가적으로 보완해볼까 하다가 

내부쪽에 PVC창호 유리고정테를 설치한 후에 24미리 투명로이복층유리+아르곤가스충진 유리를

실내측으로 추가 설치를 하여 (물론 실내측이 개방된부분만 설치가 가능하고 커튼월 안쪽이 막혀있는 부분은 추가설치가 불가능합니다.) 여름철 유입되는 일사에너지를 조금이라도 더 차단해보려고 계획을 세웠습니다.

 

질문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실내측에 추가로 24T투명로이(아르곤) 유리를 설치하면 기존에 비해서 일사에의한 열유입을 줄여줄 수 있는건가요?

2. 만약 로이유리를 설치하여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유리는 실내기준으로 1.2.3.4번으로 순서대로 면 을 나열하였을때  2번면과 3번면 중에서 어느위치에 적용하는것이 맞는 것 일까요? (오직 냉방효율만을 위하여 설치한다고 가정)

3. 혹시 기존유리에 새로 덧붙이는 시공을 했을시 기존유리가 열파가 일어날 수 있을까요?

기존복층유리와 신규설치 유리사이에는 대략 20~30MM정도의 공간을 두고 설치할 예정입니다.

4. 만약 큰 효과가 어렵다면 어떤 방법이 냉방효율을 올릴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23.07.14 12:23
앞선 질문글은 무시하고 이 곳에만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1. 네 충분히 줄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그리 좋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두가지 이유인데요. 기존 유리와 새로 설치하는 유리 사이의 공기층 때문에 그 속에서 오염/변색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열고임현상 때문에, 실내측 유리의 표면온도가 상당히 높게 올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일사에너지를 차단하는 것과 이 온도 상승이 서로 상쇄 되기에 그렇습니다.

2. 한다면 2번입니다.

3. 위의 1번의 이유로 열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스펜드럴구간의 유리와 유사한 상황입니다.

4. 다른 두가지 방식으로의 접근이 유효한데요..
가. 외부 수평 돌출바 앞 쪽에 알루미늄 펀칭메탈을 피스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나. 최근 인증을 받고 협회 회원사로 가입을 하려하는 블라인드 회사가 있습니다. 원천기술은 독일 것인데.. 실내 블라인드로써 자외선을 단파장 그대로 거의 대부분 반사 시키는 제품입니다.
다만 아직은 본격적인 런칭 전이라서, 설치에대한 상담과 견적을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 홈페이지의 에코블라인드라는 제품입니다.
http://heyeco.co.kr/

이 두방식 모두 (비록 외부는 장비가 들어와 하지만) 비용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
M 관리자 2023.07.14 12:29
만약 건물주가 알루미늄펀칭메탈 쪽을 고려할 의향이 있다면, 다시 말씀해 주세요.
펀칭율과 펀칭 지름 등을 계산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 hjhsabba 2023.07.14 16:08
답변 감사드립니다 관리자님. 일단 펀칭메탈 쪽이 더 좋아보입니다. 이부분은 담당자와 심도있게 상의해보고 고려해달라 요청해볼 생각입니다. 혹시 펀칭메탈에 대한 조금더 많은 자료를 볼수있는 싸이트나 관련 자료가 있을까요?
M 관리자 2023.07.14 16:48
사이트는 별도로 없을 것 같습니다.
그저 트랜섬 캡에 스텐 피스로 고정만 하면 되는 거라서요.
다만 창이 외부로 열리는 방식이라서.. 캡의 깊이와 창의 열림 길이만 잘 따져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 한기지가 더 있네요..
수평 구간이 좁아서 평판의 펀칭메탈을 그냥 고정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러면 상당히 비용이 절감되고... 이 보다 더 넓으면 평판이 휠 수 있기 때문에.. 그 경우는 알미늄 시트 접듯이 사방을 절곡해야 하는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좁은 경우에도 절곡을 하면 좀 더 이뻐 보이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건축주의 예산에 맞춰서 결정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