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외벽에 사용하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불연,준불연) 단열재 종류?

1 브로기 5 2,009 2023.07.11 10:49

 3층 이상의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불연, 준불연)을 사용해야 하므로 단열재도 불연, 준불연재를 사용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법 제52조2항, 령 제61조2항, 피난방화구조 규칙 제24조6항)

 

그래서 저는 설계할때 준불연 단열재면서 열관류율이 좋아 얇게 사용가능한

PF보드(페놀폼)을 많이 적용하였는데

최근에 우연히 2019년에 대한건축사협회의 공문을 보았습니다

내용은 페놀폼은 포름알데이드(발암물질) 방출량의 기준치가 초과하여

페놀폼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대체제품으로 준불연 비드법단열재 사용을 권장하는 내용이였습니다.

 

그런데 제 경험상 설계를 하면서 조사하고 단열재 업체들과 통화도 해보면 비드법단열재나 압출법보온판은 사실상 기준을 만족하는 준불연 시험성적서가 없기 때문에 준불연 재료로 사용할수 없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알고 있는 단열재중에 외벽에 사용할 수 있는 단열재가 

그라스울, 미네랄울, 준불연 경질우레탄 세가지만 남은거 같은데

그라스울,미네랄울은 복합자재에 많이 사용하나 습기에 약하고 열관류율값도 좋지 않아 두꺼워야 하며

준불연 경질우레탄 보드는 외단열공법으로 사용시 하자가 종종 발생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질문을 정리하자면

외벽에 사용하기 적합한 방화에 지장이 없는 단열재는 

그라스울, 미네랄울, 준불연 경질우레탄보드 말고는 없는지

그리고 정말 비드법 단열재와 압출법보온판은 준불연 시험성적서가 없어 사용을 못하는지

아니면 제가 잘못알고 있는것인지도 궁금합니다.

 

복합자재 혹은 외단열공법으로 어떤 단열재가 사용 가능한지와

어떤 공법에 어떤 단열재가 유리하고 적합하여 설계에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도 궁금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07.11 10:57
안녕하세요.

두가지로 나누어 말씀을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외벽의 마감이 외단열미장마감이라면, 페놀폼은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준불연EPS 외에는 달리 대안이 없고, 준불연EPS는 현재 충분히 사용 가능할 정도의 회사가 인증을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외벽의 마감이 석재나 금속과 같이 별도의 마감재로 형성이 된다면, 페놀폼을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PIR보드도 가능하고요.

페놀폼의 포름알데히드 이슈는 지금도 진행 중이긴 합니다. 원료가 포름알데히드라서 영원히 자유로울 수는 없는데.. 대기업에서 이를 제거하는 공정을 게을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사용을 할 수 있다라고 말씀을 드리는 것이며, 2019년 이후로는 실제 적발(?)된 예는 없습니다.
이게 제3자 검사를 하지 않는 것인지, 검사를 했는데 기준치 이하인지 저희는 알고 있지 못합니다.

압출법단열재는 그 물질 특성상 준불연성능을 가지기 불가능하고요.
1 브로기 2023.07.11 12:03
준불연 비드법단열재가 시험성적서도 있고 외단열 공법으로도 사용도 가능하다는 말씀이시군요.
왜 페놀폼은 외단열공법으로 사용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재료특성상 공법적용이 불가능해서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준불연 경질우레탄 단열재는 보통 어디에 사용하는지, 많이 사용하는지도 알 수 있을까요?
M 관리자 2023.07.11 12:26
페놀폼은 알루미늄피복을 가지고 있기에 그렇습니다.
비흡수성 표면용 몰탈을 사용하면 시공은 가능하나, 제한적이기도 하고, 더 큰 문제는.. 표면의 평활도를 잡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EPS 는 어느 정도 잡은 다음에 안되는 부분은 일부 연마를 통해서 구현이 가능한데.. 페놀폼은 단열재 그 자체로 거의 완전에 가까운 평활도를 내야 하는데.. 사람이 하는 일이라서.. 누구나 말은 쉽게 하지만 실제로는 어렵습니다.

준불연경질우레탄 역시 별도의 마감재가 있는 외벽의 단열재로 사용가능합니다.
1 브로기 2023.07.11 14:03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됐습니다!!
M 관리자 2023.07.11 14:4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