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구옥주택 - 외벽방수 문의드립니다.

G 질문이요 4 885 2023.07.16 08:46

적벽 캡쳐.png

 

Resized_20230714_120804.jpeg

 

 1970년대에 준공된 주택입니다.

 

 일단 며칠전에 내부 계단에 페인트 벗겨짐에 대한 문의를 드렸는데,

 

 누수의 가능성이 크다고 하셔서, 이렇게 외부 사진을 첨부합니다.

 

 일단 계단 페인트가 벗겨진 곳은 비가 많이 올 때 벽을 만져보니 축축한것을 보니,

 

 정말 누수가 의심됩니다. 다만, 옥상은 3층이라고 보면 이곳은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곳이고

 

 위의 저런 적벽으로 벽이 되어있습니다.

 

 아마 저기로 빗물이 스며들어 타고 들어가는 듯 합니다.

 

아래 사진은 안쪽 (옆집과 경계)인데 , 이 벽면은 다용도실 벽면인데, 여기도 구석에서 물이 뚝뚝

 

떨어집니다. (이번에 비많이오니 증상이 심해졌습니다.)

 

----------------------------------------------------------------------------------------------------------

 

1) 저의 현상황에서,  예산이 한정되어있고, 집과 집 사이가 틈이 좁아 이쪽으로는 단열재도 못댈 정도인데요. (위의 적벽돌 사진은 참고용입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도막방수인데, 한업체에 문의한 결과. 하도- 상도만 발라도 충부하고, 실리콘으로 

코킹할 곳은 코킹해준다고 하는데요.  옥상방수 할 때, 공부한게, 실질적으로 방수 역할을 하는 건

중도가 제일 중요하다고 알고 있는데, 중도 없이 하도-상도만 작업해도 방수 기능을 하나요?

그리고 기존의 수성페인트 발라둔 곳 위에, 작업해도 상관 없나요? 다 긁어내야 하나요?

 

2)  그렇지 않다면, 외벽 도막방수를 할경우, 어떤식으로 절차가 진행되어야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제가 알고 싶은데, 어떻게 어떻게 해달라고 해야하는것이 맞는 것인지요?

 

3) 추가로 관리자님께서 조언해주실 다른 시공방법이 있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23.07.17 20:34
안녕하세요,..
어렵게 글을 적어 주셨는데... 죄송합니다만, 제가 앞선 글과의 내용적 연관관계를 이해해야 제대로 답변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불편하시더라도 앞선 글의 댓글로 글과 사진을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 질문이요 2023.07.17 20:38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59739

제가 저번에 작성한 글입니다. 결국 핵심은. 위 사진 같은 외벽 상태의 조건에서, 외벽방수를 하고자 하는데 ,  제가 견적 맡긴 업체가 거리도 제일 가깝고, 사장님도 열의는 있어 보이는데, 작업 방식이, 크랙보수하고, 실리콘 코킹 하고, 마지막으로 도막방수를 하는데, 하도랑 상도만 칠해도 외벽은 상관없다면서, 중도는 안들어간다고 하시는데, 이게 방수 효과가 있는 것인지. 말로는 3년 보증해준다고 하는데, 과연 3년까지 갈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이외, 저런 구옥 집의 방수에 다른 방법으로 (완벽한 방법은 사실 바라지도 않는데, 그래도  가장 오래 효과가 있을 외벽 방수 방법이 다른것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M 관리자 2023.07.18 00:11
두가지로 나누어 말씀을 드려야 하는데요.
1. 중도는 필요없는 것이 아니라 벽면 시공이 불가능합니다. 다 흘러 내리거든요.
2. 외벽에는 어떠한 조치를 해도 1년 지나면 다시 누수가 됩니다. 그러므로 중도를 빼든 넣든과 무관하게 외벽 방수 작업은 하지 마시어요.

--------------
지금의 파편적 정보로는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앞선 글의 계단과 지금 외벽의 사진 간의 상관관계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므로 앞선 글에서 누수가 된 사진과 외벽의 사진이 매칭될 수 있도록 좀 더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런 이유로, 링크말고, 앞선 글의 댓글로 부탁을 드린 것인데... 이미 늦어 보입니다.
G 질문이요 2023.07.18 08:30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고 잘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