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일본식 베타기초의 대략적 시공비는?

G 지니맘 24 1,088 2023.08.02 09:03

일본식 베타기초를 보면서..

지을 예정인 집에 도입해보고싶습니다.

그래서..

 

그나라에서 사용하는 금속형틀 등 부자재 그리고 시멘트품질, 체계적인 시방서 등을

고려하여야 하겠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나름의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하다고 한다면..

기존에 온통기초(매트)보다 어느정도 시공비가 업될까요?

대략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추가로 

북미식 줄기초나 일본식 베타기초로 시공한 집이 국내에도 있나요?

 


베타기초 사진

img_20210921_hn_13.jpg

 

지을 예정인 집의 대략적인 평면도

줄기초.jpg


날씨 정말 덥네요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에게 

정말 고생하신다는 맘이라도 전하고 싶습니다..

 

 

Comments

7 혜성 2023.08.02 09:59
국내시공사례는이것밖에못찾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wish01/222188365973
G leeph22 2023.08.02 10:32
역시 있군요..감사합니다.
알파기초(?)...에서는
바닥단열인가요 아니면 기초단열인가요?
7 혜성 2023.08.02 10:40
외단열인거같습니다.기초하부,외부에단열재가있는걸로보입니다.
G leeph22 2023.08.02 11:04
문호리 알파기초의 사진을 보면
우리도 어느정도까지는 할 수 있다라는
생각이 들어 기쁘네요
시공사 이름도 이쁘고요..

한편 일본인들은..
기초 외단열에대해
흰개미,바닥결로와 곰팡이,시공난이도(건축비증가)
등을 단점으로 지적하네요..
더 찾아봐야겠지만..
그들은 바닥단열이거나 기초내단열인가봅니다.

https://www.intellex.co.jp/service/ecocube/study/0012.html

사진은 기초에서본 1층바닥
G 우주아빠 2023.08.02 11:38
기초를 저런식으로 시공하는 이유가 뭘까요?
매트기초와 비교해서 장점이 있는 걸까요?
8 신범석 2023.08.02 12:33
우리나라에 없는 제일 큰이유는 시공비입니다.

지하층 있는 정도는 아니겠지만, 층이 있는 개념으로 비용이 추가됩니다.
8 신범석 2023.08.02 12:36
예전에 베타기초 높이를 키워, 내부공간을 1.5미터로 적용한 프로젝트 입니다.
8 신범석 2023.08.02 12:41
내부 시공후 사진입니다.
G leeph22 2023.08.02 13:05
그렇다면
소비자 입장에서 단순하게 생각해볼때..
철콘 반층이 올라가는 거라면
원래 기초공사비에 2배 정도일까요?

그 비용이 통상적인 기초공사비의 2배이하라면
이 기초(베타)가 너무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생각나는것들은..
1  목구조와 콘기초가 떨어져있다.
2. 모든 배관을 콘에 묻지 않는다..
3. 세상의 나무집은 추운지방도 더운지방도
다 공중부양이다.
4. 조상들의 한옥도 공중부양이다.
5. 추운거보다 더운게 더 싫다.
6. 기초의 수평에서 좀더 용이하다.
7. 부동침하 대동소이하다
8 신범석 2023.08.02 13:18
기초공사로 마무리 될 공사비를
기초공사 + 베타기초콘크리트옹벽 + 1층바닥구조 로 차이가 나게 됩니다. 

비용적으로 부담하실 수 있으시다면, 베타기초는 말씀하신데로 매력적입니다.
G leeph22 2023.08.02 13:27
올리신 사진을 보니..
갑자기 1.5m 철콘 벽체를 더 올려
1층 천장슬라브까지 공사하고 싶어지네요

차라리
1층 RC조 2층 목조를 고민해볼까요

오버스펙을 짓고자 함이 아닌데
먼가 점점 탈가성비화되어 가는게 아닌가 싶어지네요
8 신범석 2023.08.02 13:55
그렇죠...
집에 구조 및 내부구성, 그리고, 패시브요소 등은 처음부터 계획하신 비용이라는 큰 틀에서
기준을 잡으시고, 접근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다시 도돌이표가 되게 되어요.
G leeph22 2023.08.02 16:49
베타기초가 어디서 온건지 알아보고 있는데..요

베타가 기초가 평평하다는 뜻에서 왔다고 하네요.
그러면 집아래 미로를 만든 일본식 기초가 아니라
정말 더 평평한 한국식 기초가
진짜 베타 아닌가요....???

왠지 의문의 1패네요

덧붙여.. 일본자료에서 한국식 목조기초(온통,매트)에 대해 언급된 것을 찾기 힘드네요
그들은 우리를 어떻게 보는지 궁금....
G leeph22 2023.08.02 17:57
한국 줄기초 자료를 찾고 있던중

경량목구조(북미식목조주택) 줄기초공사
라는 글에서 약간의 힌트를 얻었습니다.
https://m.blog.naver.com/aradandc/221308640562

줄기초를 한뒤 다시 줄기초 안쪽을 철근배근하고 바닥슬라브를 칩니다.
결과는...

제눈으로 보기엔 그냥 온통기초입니다..

아마도 경량목구조가 국내에 들어왔을때..
외국엔지니어는 분명 줄기초를 전수했을겁니다.

그런데..한국분들은
줄기초에 나무바닥을 제거하고
온돌에 같은 성실인 철콘슬라브을 선택합니다
지금의 온통기초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건축비가 절감되는 혁신이기도 하고
바닥통기층이 없어진 이유이기도 한듯 합니다.

주택건축에서 기초는 기회비용과 대체효율의 경제학만은 아닙니다
M 관리자 2023.08.02 20:32
일본도 지역에 따라서 이런 베타기초를 하는 곳이 있고, 우리나라와 같은 매트 기초를 하는 곳이 있습니다. 다만 맨 아래와 같이 줄기초인데 가운데가 비어 있어서 흙이 보이는 기초는 없습니다.

이런 기초 방식은 지하수위가 매우 낮고, 지반이 비교적 건조한 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과거에 돈이 없어서 이렇게 한 적은 있어도, 이 방식이 우리나라 기후에 맞아서 채택을 한 적은 없습니다.
이를 들어 한옥이 이런 형식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는데, 바닥을 띄우고, 그 하부에 통기구를 만들어야 나무가 썩지 않았습니다. 이를 현대 소재인 콘크리트로 바꾼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 여름의 습도를 고려해 볼 때, 하부에 외기가 완전히 통과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가능해 보입니다.
혹은 공장과 같은 시설에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것이 저렴하기도 하지만... 잠도 자지 않고 사람도 상주를 하지 않는 공장은 이런 방식을 택해도 무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줄기초가 아니라 SOG 방식의 변형 형태라고 부르는 것이 맞습니다.

예를 들어, 지하수위가 낮은 미국의 북부 쪽 (시카고, 뉴욕 등등)의 소규모 건축물은 모두 이 사진과 같이 흙이 보이는 기초를 택하고, 남쪽 (텍사스 등등)은 매트 기초를 채택하기도 하지만, 주거건물에서 기초의 흙이 보이는 방식은 없습니다.
물론 크롤스페이스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그 것이 주된 이유는 아닙니다.

일본을 비교해 봐도 원리는 같습니다.
비교적 지하수위 낮고, 추운 북쪽은 우리나라와 같은 매트 기초로 공사를 하고, 오사카를 중심으로 남쪽은 모두 베타 기초로 적용이 됩니다.  유튜브에서 베타 기초 공사를 하고 있는 영상의 지역을 자세히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이유는 지하 수위가 높앙서 지중의 수분이 워낙 많습니다. 그래서 이처럼 바닥을 올리는 방식이 아니면 다다미 방이 버틸 수 없는 이유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비용을 떠나서 어느 방식이 더 옳다라기 보다는, 우리나라의 기후를 기준으로 어떤 것이 합리적인 접근인가를 보셔 하는데.. 지금의 매트 기초가 딱히 단점은 없어 보입니다.

--------
그럼에도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면..
맨 처음 링크된 현장이 저희 회원사 현장이고, 인증도 받았던 현장인데..  비용은 기존 기초 방식보다 약 15% 정도 더 들어 갔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다시 시도할 마음은 없으시다는 것을 들었다는 점입니다.
G leeph22 2023.08.03 10:32
관리자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잘 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음을 알게됐습니다.

그래서
구글번역기의 도움으로
일본 주택 기초에 관하여
더 파보았습니다.

변역기의 문제인지
줄기초를 천기초(패브릭)라고 번역하는거 같습니다

일본의 줄기초와 베타기초
외관상으로는 구분이 어려운듯 합니다

줄기초는
ㅗ형태로 기초공사후
흙되메우기, 방습콘으로 바닥타설합니다.

베타기초은
철배근 콘바닥과 상승벽이 있습니다.

둘의 결과는 땅에 묻힌 기초모영과 바닥철근을 빼면
땅위 외관은 유사합니다.

1995년 고베대지진 전까지는
줄기초가 주류였으나
그후 베타기초로 크게 기울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쓰는 온통 또는 매트기초란 말은 검색할 수 없습니다. 대신
거꾸로 된 기초(逆べた基礎)
역베타기초(逆ベタ基礎) 등으로
검색하면 자주 보던 그림들이 나옵니다.

일본 사람들이 느끼는 온통기초는..
https://www.e-mansion.co.jp/bbs/thread/203284/res/1-142/

"베타 기초보다 여름 시원하고 겨울 따뜻하다."
"축열식 바닥난방에 유리하다"
"축열식 바닥난방하기 위한 기초이다"
"바닥 유지보수가 불가능하다."
"건축주보다 시공사에게 유리한 공법이다."
"화장실 위치를 바꿀 수 없다"

자료가 너무 방대해서..
나중에 더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댓글로 남깁니다
G leeph22 2023.08.03 12:30
기초관한 자료를 찾던중..
일본의 기초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가 있어 덧붙입니다.
필요하시분 있으시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기초에는, 1층의 벽하만 콘크리트를 치는 「천 기초」와,
바닥판 전체가 콘크리트가 되어 있는 「베타 기초」가 있습니다.
1990년대까지는 '천 기초'가 주류였습니다.
그것이 최근에는 '베타 기초'가 90%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베타 기초'의 비율이 95.3%에 달할 정도입니다.

https://www.housingstage.jp/topics/news-20180705
자료:주택금융지원기구 「플랫35주택사양 실태조사」
G leeph22 2023.08.03 14:25
하우스 메이커의 기초 비교 (76사)
https://iezukuri.blog/housemaker-kiso/



일본 하우스 메이커의 기초 비교 (76사)
https://iezukuri.blog/housemaker-kiso/
G 시나공 2023.08.03 15:11
이게 베타인가여
G leeph22 2023.08.03 15:35
흠..
이틀 공부한거로 비추어..
1층바닥과 콘기초가 떨어져있고
기초의 끝이 L모양인걸로 모아
전형적인 베타기초로 보입니다

나머지는 전문가님들이 ..설명해드릴겁니다
G leeph22 2023.08.03 15:41
아래 사진을 보면 측면도 이해에 도움이 될 겁니다
G leeph22 2023.08.03 16:12
일본의 하우스메이커 76사의 기초를 분석한 글을 보면서..

딱 한개 회사가 특이하게 베타기초를 안 하고
우리처럼 온수바닥난방하고 있어 댓글로 올립니다.

한국과 비슷한듯 아닌거 같기도 하고..
기초의 밑은 자갈이고..
기초와 집사이는 빈공간이 없고..
기초위에 바로 엑셀처럼 온수난방배관이 쳐지고
다시 슬라브 타설하는걸로 보아 비슷한데..
지진때문인가 기초상부에 H강이 누워있고..
기초 단면도 모양이 익숙하지 않습니다

https://www.yashima.com/
M 관리자 2023.10.30 14:53
마지막에 올려주신 사진은.. 그저 그 회사만의 독특한 케이스이고, 일반화할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1 이준노 2023.10.31 13:4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줄기초형태의 지하실구성을 원하여서 계속 미국쪽의 사례들을 보고 있었는데, 일본의 사례도 많은 참조가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