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66 페이지 >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역전지 비드법 단열재 사용해도될까요?
G 정건우 | 댓글 4
안녕하세요. 더운데 고생하십니다. 역전지붕관련 2가지 문의 드려봅니다. 1. 아이소핑크 대신 저렴한 비드법 단열재 1종이나 2종을 사용해도 될지요? 2. 석쇄대신 인조 잔디를 깔아도 괜찮을지요? 모두 몸에 좋은거 드시면서 더운 날씨 건강하게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지붕재의 수명에 관한 고민
G 나그네 | 댓글 6
안녕하세요. 항상 협회 홈페이지와 유튜브를 통해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는 예비건축주입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건축사무소를 통해 도면 설계작업을 진행중인데 지붕재 선택을 하면서 목조주택에는 아스팔트 슁글이 가성비가 좋다고 해서 일단은 슁글로 정해놓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주변의 지은지 10… 더보기
리모델링 창호 교체 시공 관련 (방수 테잎 시공)
1 선소리꾼 | 댓글 5
리모델링 창호 교체 시공 관련 (방수 테잎 시공) 관련하여 벽돌마감 안쪽 흐르는 누수가 예상 됩니다. 설계에서는 방수테잎 시공 관련하여 도면이 없는 상태입니다. 창호 재시공 시 방수테잎을 어떻게 시공해야 질문드려도 될런지요? 하부쪽도 누수가 예상됩니다. 방수테잎을 감는 방법을 시공사에 … 더보기
외단열재 최대폭 600×1200을 지켜야하는 이유?
G 덩이7029 | 댓글 3
안녕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다름이아니라 외단열재 900×1800을 붙여도 되는 환경이 있을까요? 저같은 경우는 2층 다락외벽이 바닥에서 높이가 1800정도라 900×1800을 붙이고 화스너도 박으려고 하는데요. 단열재 수수축팽창으로터질 위험이 있는건가요? 외단열재를 600×1200… 더보기
바탕면이 무엇인가요?
G 건린이 | 댓글 1
간단한 질문입니다. 건축물 보수를 하다 보면 '바탕면' 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대충 벽체 같은 면으로 된 부분 이라는 건 느낌적으로 알겠는데 굳이 '바탕'면 이라고 구분 짓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놓치는 무언가 있는건지 그냥 표현이 굳어진건지 검색해도 뾰족한 대답이 나오지 않아 … 더보기
유리지붕(?)위에 가림막 작업 조언부탁드립니다.
G 유리지붕작업 | 댓글 12
계단 지붕이 사진과 같은 구조의 유리로 되어있어 보입니다. 이 지붕 위쪽으로 가림막 설치가 필요한듯 합니다. 지붕 아래쪽 계단이 덥고, 춥고, 결로(?)로 인해 물이 떨어지고, 비가 좀 샙니다. 저는 최대한 간단하게 빛과 비를 막아주는 가림막설치를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부모님은 이왕 하… 더보기
방통 크랙에 따른 바닥마감재 하자
G 00 | 댓글 1
방통 크랙 관련 글을 보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방통에 크랙이 생겼을 때 장판, 마루, 타일별로 어떤 하자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우레탄 바닥 구배잡기
G 심플리 | 댓글 3
안녕하세요, 현재 옥상 우레탄 방수 돼있는 데 구배가 정확하지 않아 물 고인곳이 많습니다. 이 위에 그대로 구배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지 궁금합니다. 내년에 이 위에 그대로 방수작업을 한번 더 할 예정인데 구배를 어떻게 잡을지 고민중입니다.
배관 타공문의
G 신축 | 댓글 1
안녕하세요 협회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신축시 전열교환기 배관, 시스템에어컨 배관과 드레인 배관을 설치시 옹벽친후 타공하나요? 옹벽을 칠때 배관이 지나갈자리에 공배관을 미리 넣어두고 옹벽을 치나요?
창문시공순서가 궁금해요
G | 댓글 0
안녕하세요 이사진같은 경우에 통창을 시공할 경우에 시공순서가 궁금합니당! 단열이 먼저인지 창문이 먼저인지 궁금해용
조적으로 외부마감재를 사용할때, 창문 윗부분 보강관련 질문드립니다.
1 장지ㅋㄷ | 댓글 1
안녕하세요. 항상 도움을 많이 얻고 있음에 감사를 드립니다. 이번에 조적팀을 만나서 시공관련 미팅을 가졌는데, 조적오야지 께서, 창문윗부분 L형앵글 대신 오비끼로 대놓고 작업하면 된다고 하시던데 그래도상관없을까요??
이격거리와 지상권에 대한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1 뮤트빌딩 | 댓글 3
안녕하세요. 매번 이곳에 도움만 요청 드리는거 같습니다. 언제나 감사 드립니다. 건물을 신축하고, 2년이 지났습니다. 바로 옆 작은 주택을 매입한 다른 건축주가 증축을 하였습니다. 증축의 과정에서 경계담장에 크랙이 지속 발생 하였고, 해당 담장에 대한 복구에 대해서는 서로가 다 책임을 … 더보기
옥상 및 배수 트렌치 물고임 현상으로 인한 하자문제 문의드립니다
G 박진경 | 댓글 1
옥상 우레탄 방수를 건설시공사에서 하였고 만 2년이 다 되어 갑니다. 옥상바닥면 사방으로는 배수 트렌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1. 트렌치 바닥 기울기가 맞지않아 비만 오면 일부 트렌치부위에 물이 고입니다.(자연 증발할때까지 계속...) 2.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트렌치 바닥에 발청 및 바… 더보기
목조주택 지붕 천창 관련 문의드립니다.
G 오마추어 | 댓글 3
안녕하세요. 현재 제주도에 벽은 RC 지붕은 경량목조인 주택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근데 지붕에 5400*850 정도의 천창이 들어갑니다.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로 계획중이고 첨부한 첫번째 이미지처럼 구조목으로 방수턱을 올리고 천창을 설치 후 단열재 보강 한 뒤 후레싱으로 덮으려 합니다. … 더보기
외단열, 역전지붕 추천시공 업체 알수 있을까요?
G 호야 | 댓글 3
안녕하세요. 경남 진주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30년 넘은 적벽돌 구축 단열을 알아 보던중 역전지붕 영상을 인상깊게 보았습니다. 10년전에 누수가 염려되어 평지붕에 그냥 지붕을 덮어서 해놨는데 이번 리모델링에 집 외단열을 고민하던중 지붕단열을 어떻게 할까 생각중이었는데 대부분은 집벽들은… 더보기
현관 MDF가벽 방수
G 00 | 댓글 1
안녕하세요. 협회사이트와 유튜브보면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저는 인테리어 회사 직원입니다. 아파트 공사하면서 현관 벽을 필름으로 마감하기 위해서 mdf로 가벽을 쳤습니다. 이제 현관바닥에 타일을 깔아야하는데 현관바닥에 몰탈을 치면서 MDF가 수분을 먹게되어 하자가 발생하지 않을 지 걱… 더보기
실내습도 별다른 이유 없이 70%로 측정됩니다
G 습도 | 댓글 6
안녕하세요 다세대주택 1층이구요. 로터리식 환기장치 설치되어있고 시간당 1회로 세팅되어 가동중입니다. 잘 유지되던 습도가 며칠전부터 계속 높게 잡혀서요. 습도가 높아질만한 변화된 요인은 따로 없습니다. 지난 주 비 올 때 높아진 후 안내려가는 느낌(?)인데요, 대기중 습도량에 비해 많이… 더보기
프랑스에서 살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1 천우팍 | 댓글 3
안녕하세요. 염치없게도 또 질문만 떡하니 가져 왔습니다. 사랑합니다. 현재 작은 폐가를 구입 후 보수, 증축하면서 거주중입니다. 이러한 집을 이렇게 고쳐 쓸 예정입니다. 자금이 넉넉지 않아서 외벽과 지붕까지만 업자와 계약하고 나머지는 와이프와 함께 공부하면서 고치고 있습니다. 저희가 2… 더보기
욕실 올철거 후 타일 공사시 필요 부자재 문의
G 스크류바 | 댓글 1
600각 타일 공사 예정입니다. 욕실 두칸 철거 했습니다. 1. 공용욕실 가로 1.95 세로 1.66 높이는 대략 2.1 2. 부부욕실 가로 2.25 세로 1.62 높이는 대략 2.1 부자재의 경우 전문가가 아니기에 얼마나 들어가는지 예상되지 않아 견적에 넣은 물량이 정확한지 모르겠어서… 더보기
방통시 궁금한 점 몇가지 질문합니다.
1 품질이먼저다 | 댓글 2
안녕하세요 :) 인테리어 방통 작업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기술자료 '4-06. 바닥의 단열과 방통 미장' 을 너무 잘 참고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최근 현장들에서 작업 중 궁금했던 점 두가지 질문드리겠습니다. 1) 방통 XL배관 작업 후 차광막(차양막) 사용 검증 ▷ 참고 블로그 외 혹… 더보기
2층 마당 방수 문의드립니다.
G 노즈 | 댓글 1
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2층 마당에 기존 방수층이 있긴 합니다만 1층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뜨거나 벗겨진곳은 없는데요. 오래되다보니 파인곳있고 말끔하진 못합니다. 데크를 부분적으로 치려고 하는데요. 아덱스 제품 비흡수면 프라이머(P4k) 바르고 방수제(WPM003) … 더보기
벽 타공 문의
G fukafuka | 댓글 1
아래 평면도에서 붉은색으로 표시한 부분의 벽 아래부분에 배관(15cm정도?)사이즈 만큼 타공을 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Crc보드 시공방법문의
G 긔긔 | 댓글 5
내수합판에 crc 보드를 고정하려고 하는데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피스로 고정 -목공본드를 바르고 피스로 고정 -실리콘 바르고 피스로 고정 -우레탄실리콘 바르고 피스로 고정 -스테인리스 f30으로 고정 어떤 방법이 좋을지와 협회는 어떤방식으로 시공하는지 궁금합니다.
진동
G 모네 | 댓글 1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이사 온 지 얼마 안 되는데 벽에서 물소리가 심하게 납니다. 또한 천장에서도 소음이 심하고요. 제가 제일 궁금한 것은 바닥에서 진동? 땅이 울리는 느낌이 납니다. 이런 말 하면은 이상하게 볼 수도 있겟지만 몸이 따끔? 윙윙 이런 느낌이 납니다ㅠㅠ 혹시 이게 무슨… 더보기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