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난방배관 연장 시공 및 확장공사

G 황카 28 746 2023.09.21 00:38

안녕하세요

다른 질문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아파트 리모델링을 계획하며

협회 통해 공부한 자료 토대로 조금씩 질문글을 올리다가

막상 철거가 시작되고 나니 헷갈리는것 투성이입니다 ㅠㅠ

 

첨부하는 그림에서 상단이 기존의 모습이고

원래 슬라브(?) 바닥 위로 몰탈(?)로 만든 계단을 설치하고

그 계단 속에 난방배관을 연장해놓았더라구요

아마 기존 바닥아래 XL은 끊어져 있든, 철거가 되었든 둘 중 하나일 거 같습니다

 

철거 진행하여 하단의 그림처럼 만들어진 상태입니다

파란색은 XL이구요

연결부속품으로 연결되어 있더라구요

 

[질문 1] 원래 바닥 슬라브(?) 밑으로 XL이 들어가야 할 거 같은데

1-1) 바닥을 까내서 진행해야 할까요

1-2) 기존 XL이 바닥아래 끊어진 채로 숨어 있는게 맞다면 그 구멍만 찾아서 연결해주면 될까요?

구멍만 찾아서 연결하는게 건전성 측면에서 조금 찝찝하긴 합니다

1-3) 홈파기라는 공법을 이용해서 연장을 하는게 효율적일까요?

바닥을 까뒵으면 전체를 다 뒤집어야하는지.. 이미 금액이 많이 나가서 만약 전체를 다 해야한다면 너무[ 부담됩니다

1-4) 협회에서 확장 공부하면서

바닥슬라브 - 단열재 - 테이프 - PE - XL배관 - U핀 - 수평몰탈 이렇게 기억하고 있는데요

이 방식이 아파트 실내 내부 거실이나 방의 XL배관 설치일 때도 동일할까요?

만약 그렇다면 전부 까대기 해야하는건지 ㅠㅠ

아파트 실내 내부 거실, 방의 바닥에는 자체 단열재가 내장되어 있는지.. 헷갈립니다

 

[질문 2] 그림에 보시면 발코니가 일부만 확장이 돼있고 일부는 비확장으로 돼있는데요

확장원함 부분도 마저 확장을 진행하려는 계획입니다

확장원함 부분 철거후, 방 내부의 파란 XL관을 연장하면서 발코니에도 같이 연장을 해줄 수 있을까요?

아니면 확장완료된 부분의 바닥을 조금 까내서 XL관을 찾은 후, 확장원함 부분으로 연장해줘야할까요?

 

[질문 3] 그림에서 파란색 까내어 놓은 XL배관이 약간 희끗희끗 무늬가 있더라구요

협회 보며 공부할 때 이런 균열(?)은 좋지 않다고 배운 거 같은데

XL배관을 전부 교체해야하나... 그러기엔 금액이 너무 부담 되는 거 같고 조금 고민이 됩니다

그 전에 XL배관 문제는 없었다고 들었거든요

질문1, 2의 결론이 나오면 질문3의 문제도 해결이 될 거 같긴 한데 너무 어렵습니다 ㅠㅠ 도와주십시오

 

 

Comments

M 관리자 2023.09.22 12:18
안녕하세요.

1. 주변만 조금 까보고서 배관이 나오지 까대기 시공을 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나오면 연결 하시면 되고요. 곡선구간에서만 연결을 하지 않으면 괜찮습니다.
새로 방통을 타설한다면, 거실/방 구분없이 협회에서 제시한 방식으로 하시면 되세요.

2. 각 방마다 따로 연장하시는 것이 맞는 방법입니다. 안그러면 한 배관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3. 상태를 봐야 알 수 있습니다만, 작업하시는 분들이 판단한 것을 따라도 될 것 같습니다.
G 황카 2023.09.23 10:39
답변 감사합니다

알려주신대로 배관 연결 해놓았습니다 ㅎㅎ
G 황카 2023.09.23 10:45
여기 부터는 다시 질문인데

이 곳은 거실부가 아니라 방입니다
이전에 사시던 분이 방에 화장실을 하나 더 만들어 놓으셔서
싹다 철거한 상태인데요

1. 원래 오리지널 화장실 <-> 방에 만든 화장실의 배관 연결을 위해
벽체 하단에 구멍을 내어 배관이 통과했었습니다
저는 이 방을 그냥 일반 방으로 만드려고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막아서 오리지널 화장실 내부에서 방수를 해야하는 상황인데요
방수 관련해서는 협회 덕분에 잘 알고 있는데 이 구멍을 어떤 식으로 막으면 좋을까요?
그냥 안에 폴리머 몰탈 채워넣어도 상관이 없을까요?
G 황카 2023.09.23 11:45
화장실과 연결됐던 방 부분입니다
다 철거하고 나니 난방배관이 없어서 난방배관을 새로 깔아야할 거 같아요

헷갈리는 점은 방바닥 현재 보여지는 몰탈층(?) 아래로 아파트 건설시 깔아 둔 노랑 단열재가 있는듯 하구요
그 둘레로 측면방습테이프(?) 방습포(?) 같은게 있었던거 같은데 많이 훼손되어 있습니다

협회에서 발코니 확장부 공부한 대로라면
몰탈 -> 단열재 -> 기밀테잎 -> PE필름 -> 유핀 -> 몰탈 인데
이걸 방에 적용하려고 보니 바닥에는 이미 단열재가 있는 거 같고 측면방습테이프(?) 같은거도 있고
동시에 이 방에 붙은 발코니도 확장하려고 하는 중이라 조금 갈팡질팡 하고 있습니다

2. 방에 기포콘크리트 같은 걸 타설 안해도 될까요?
저기 있는 측면방습테이프(?) 같은 건 다시 안해줘도 될까요?

둘 다 안해도 된다면

화장실과 방 사이를 뚫은 구멍을 메쉬 + 폴리머 몰탈로 막기 -> 건조 후 프라이머 -> 도막방수 2회
건조 후에
방 바닥은 초속경 - 엑셀관 - 유핀 (이때 유핀이 박힐지...) - 초속경
동시에 발코니는 초속경 -> 단열재 -> 기밀테잎 -> PE필름 -> 유핀 -> 초속경

이렇게 진행을 하면 괜찮을까요?
건전하지 못한 부분이 있는지, 아니면 너무 과한 부분이 있는지 감이 안잡힙니다 ㅠ
G 황카 2023.09.23 11:46
아파트 만들 때 넣은 방바닥 단열재라고 보여지는 부분입니다.
G 황카 2023.09.23 11:47
측면방습테이프(?) 약간 푹신합니다 많이 훼손된거같아요
G 황카 2023.09.23 11:48
해당 방의 발코니 우수관입니다
G 황카 2023.09.23 11:48
해당 우수관 바닥 틈새입니다. 밀착되어있지 않아 보입니다. 손가락이 바닥 구멍으로 슝 들어갑니다.
M 관리자 2023.09.26 13:32
구멍은 몰탈로 메우시면 되는데.. 혹시 기밀테이프를 구매한 것이 있다면 마른 후에 표면에 붙혀 주면 좋습니다.

지금 바닥은 기포콘크리트인 것 같은데요.
요령은 같으나, 유핀을 플라스틱 제품이 아닌 "아연도음 엑셀유핀"을 사용하시면 되세요.

즉, 순서는
현재 바닥면 청소 - 측면 완충제 (기존 완충제에 연장하여 붙힘) - pe비닐 - 엑셀파이프 - 엑셀유핀 - 난방몰탈 입니다.

우수관이 확장된 공간 속 (실내)에 있다면 하부를 다 뜯어서 방수처리를 한다음 새로운 우수관을 연결하셔야 해요. 대부분의 인테리어 하시는 분들이 알아서 할 수 있는 부분이긴 하나, 하부 방수처리는 액방으로 끝내는 경우가 많아서 유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빗물의 온도에 의한 표면 결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표면에 20mm 고무발포단열재로 감싸주는 것이 좋습니다.
G 황카 2023.09.26 16:22
답변 감사합니다
관리자님 댓글을 연예인보다 더 기다린 거 같습니다 ㅋㅋㅋ

1. 구멍을 메운 후 욕실 내부, 방 내부 둘 다 기밀테이프 부착하고
욕실 내부에는 기밀테이프 위로 프라이머 - 도막방수 진행하면 될까요?
기밀테이프는 프로클리마 바나 제품으로 주문해두었는데 적절한 제품인가요?

2. 바닥면 청소라고 함은 그냥 쓸기만 하면 되나요?
아연도금 엑셀유핀은 사진의 것을 사용하면 되는거죠?
혹시 이 제품으로 발코니 확장부 EPS위에 써도 될까요?
또한 현재 방바닥에 PE비닐 깔면서 해당 발코니 부에 PE비닐 같이 깔아주면 순서상 문제 없겠죠?
(이 때 발코니부 바닥에는 초속경 + EPS 깔려있음)

3. 우수관 하부를 다 뜯어내야 한다는 건
우수관 꼽혀있는 사각형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우수관 하부가 박힌 바닥 구멍 속에 물받이통 같은게 있던데 그것도 다 뜯어내야하나요?
G 황카 2023.09.26 16:25
4. 우수관을 고무발포단열재 말고 토이론(?) 소방배관 같은거 감싸는 은박단열재로 감싸고 소방배관처럼 마감테이프 빨간색 같은걸 둘러서 마감하면 어떨까요?
비추하신다면 그냥 고무발포단열재로 가겠습니다 (고무발포단열재를 파는 곳이 잘 없는 거 같아서 ㅠㅠ)
G 황카 2023.09.26 16:28
5. 이건 현관입구 신발 놓는 부분입니다
철거를 하고 보니 여기 부분을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경량기포콘크리트 인거 같고
윗 댓글에 측면완충제처럼 여기도 측면완충제가 있는 거 같은데요
뭔지 모를 노란 배관들과 회색 물배관 같은 것들도 조금씩 보이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측면완충제 부착 -> 경량기포콘크리트 붓기
이렇게 마감하면 될까요?
현관 입구 신발 두는 곳입니다
G 황카 2023.09.26 16:29
..
G 황카 2023.09.26 16:30
...
G 황카 2023.09.26 16:30
....
G 황카 2023.09.26 16:31
.
.
.
아연도금 유핀 사진을 깜빡해서 이거 맞나요?
M 관리자 2023.09.27 01:01
늦은 답변 죄송합니다.

1. 네 그렇게 하시면 되고, 기밀테잎도 적절합니다.
2. 진공청소기로 한번 깨끗히 청소하시면 되세요.
아연도금유핀은 맞게 찾으셨으나, EPS에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플라스틱유핀이 저렴하기는 하나 천 개씩 판매를 해서.. ㅠㅠ. 많이 버리실 것 같습니다.

3. 사각형 플라스틱까지만 뜯으시면 되세요.
4. 은박단열재로 괜찮습니다. 고무발포단열재를 언급한 것은 배관 소음까지를 고려해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무거워서 소음차단에 용이하거든요..

5. 이 작은 면적을 위해서 기포콘크리트를 주문할 수도 없고, 현관 타일을 시공하기 위해서라도 사모래를 깔아야 하니. 아무런 작업을 하지 마시고 타일을 까시는 분이 알아서 사모래를 채우도록 말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원래도 사모래로 덮혀 있었던 곳입니다.
G 황카 2023.09.27 11:44
아닙니다 전혀 죄송하실 필요 없어요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EPS 위에는 플라스틱 유핀
현재 보여지는 방의 기포콘크리트(?) 위에는 아연 유핀
이렇게 사용하라는 말씀이시죠?

그리고 우수관 하부 플라스틱 까지 제거하면
방수작업시 프라이머 + 도망방수를 바닥에 삽입된 물받이통(?) 슬리브(?)
그걸 다 덮어주면서 방수 그릇을 만들듯하면 되려나요?
M 관리자 2023.09.27 11:52
네 유핀은 그렇습니다.
우수관은 일단 분리후 새로운 우수관의 하부 부속을 보시고, 방수를 어떻게 할지 결정하시면 되는데요.
바닥에 물을 사용할 것이 아니기에, 부속끼리만 잘 연결하고 이음매만 유의하시면 되세요.
G 황카 2023.09.27 12:50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즐추석 되세요 관리자님
M 관리자 2023.09.27 13:04
감사합니다
편한 명절 되세요
G 황카 2023.09.27 15:14
관리자님 아연도금 유핀 진짜 아무데도 안팝니다 ㅠㅠ
혹시 비도금 쇠유핀 써도 되나요?
아니면 EPS에는 아예 플라스틱 유핀 못쓰나요?
플라스틱 유핀은 구했습니다
G 황카 2023.09.27 15:50
아 EPS위에가 아니라 콘크리트 위요 ㅠㅠ
아예 플라스틱 유핀 사용 불가인가요?
그리고 XPS위에 플라스틱 유핀도 사용 불가라 하셧죠?
M 관리자 2023.09.28 11:43
네 비도금 유핀도 괜찮습니다. 기포콘크리트에 플라스틱유핀은 박히지 않아서요.
XPS에는 박히긴 하나 쉽게 빠집니다.
G 황카 2023.09.28 17:46
답변 감사합니다 PE필름 사러 갔더니 두께가 엄청 다양하더라구요
마끼롤 0.08짜리로 구매했는데 괜찮으려나 모르겠네요 ㅋㅋ
측면완충재도 파는데가 진짜 없네요
업자는 측면완충재 왜하냐 그러던데 이거 꼭 재부착해줘야 하는 거죠?
M 관리자 2023.09.28 18:44
비닐 두께는 비교적 괜찮습니다.
측면 완충재 누락은 아파트 층간 소음의 주범입니다. 그러므로 아파트라면 꼭 해야 합니다.

여기서 구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m.oasis04.co.kr/goods/view?no=297
G 황카 2023.09.29 21:48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관리자님
연휴 행복하세요
M 관리자 2023.10.03 16:17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