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전면창에 유리난간 설치

G 박건주 14 932 2023.09.16 09:56

안녕하세요.

 

전원주택을 신축하고 있는 건축주입니다.

2층 전면창에 유리난간을 설치하려고 하는데요.

 

업체의 기본도면은 난간집을 앵커볼트로 골조(RC)에 고정하는 방식인데요.

외단열미장이 들어가다 보니 그림처럼 각관으로 보강한 후 앵커볼트로 골조까지 고정한다고 합니다.

 

x.jpg

 

 

열교를 얘기하였더니 각관안을 우레탄폼으로 채우겠다고 하였습니다.

열교를 확실히 제어하지 못하겠지만 베란다 같은 공간으로 안쪽에 전면창이 하나 더 있어 수용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좀 더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

Comments

14 허수할범 2023.09.16 09:50
열교차단재를 적용해보심 어떨까요?
각관 내부를 아무리 성능 좋은 폼으로 충진한다해도
단열재 충진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각관 재질 차체를 통한 열교는 피할 수 없습니다.
내부로 결로현상이 우려됩니다.
G 박정환 2023.09.16 11:23
겨울철에 난방을 몇 번 안할 공간이긴 한데 각관과 골조사이에 열교차단재가 있으면 좋겠네요.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제품이 있을까요?
M 관리자 2023.09.16 12:32
안녕하세요.

아래 사항이 궁금합니다.
1. 창문 주변 방수 처리 방법
2. 난간과 창문 사이로 떨어지는 빗물에 대한 처리 방법
3. 창문의 종류
G 박정환 2023.09.16 13:36
1. 3. 창문은 이건창호의 알루미늄 시스템창호 입니다. http://www.eagonstore.com/product/productDetail.do?productSeq=203
방수처리는 회사의 시스템창호 시방대로 했는데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지요?

2. 창호에서 후레싱까지 함께 설치하였는데 그림처럼 짧게 설치된 상태입니다. 난간업체에서 현장을 보고 갔는데 난간집에 물빠짐이 있으니 후레싱을 교체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EIFS 업체에서도 괜찮을 것 같은데 필요하면 자기들이 후레싱을 덧대겠다고 하였습니다.
M 관리자 2023.09.16 13:43
아.. 이미 창틀이 설치된 상태 같습니다.

그럼 제가 이건창호 시방 내요을 잘 몰라서요.
1. 창틀 사방 테두리와 구조체 사이에 방수테잎이라든가 실리콘 떡칠이라든가의 방수 조치는 된 상태인가요?
2. 하단의 각파이프는 설치되었나요?
G 박정환 2023.09.16 13:51
1. 네 창문과 후레싱 설치된 상태입니다. 창틀 방수조치는 제대로 되었습니다.
2. 난간업체에서 하단 각파이프를 설치하려고 하는 단계입니다. 난관의 기본도면 첨부합니다.
M 관리자 2023.09.16 15:02
알겠습니다.
제가 노파심에 여쭈어 보았습니다.

각관 내부를 폴리우레탄 폼으로 채우는 것은 그리 효용성이 있지 않습니다.
이런 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열교차단재는 폴리우레탄고강도 단열재를 각파이프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는 있는데, 소량 판매를 하지 않는 제품이라서 실제 사용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 보다는 구조적 안정성이 더 중요한 디테일 이기도 하고, 외기에 직접 닿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기에, 열교는 부차적일 것 같습니다.

제가 글라스홀더를 각파이프에 고정하는 것은 처음 보았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시공사를 통해서 재차 안정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EIFS에 유리난간은 주로 아래와 같은 설치 방법을 선택하게 되기에 그렇습니다.
M 관리자 2023.09.16 15:12
이 글을 보시는 다른 분을 위해서 첨언을 드리자면..
국내 창이 항상 크게 들어가기에 사용될 확률이 낮긴 하지만.. 최근 유럽의 창문 전면 유리 난간을 만들 때 가장 선호하는 스타일을 하나 올려 드립니다. 당장 적용은 어렵겠지만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G 박정환 2023.09.16 16:30
장문의 감사합니다. 집지으면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협회에서 항상 결론을 얻고 있습니다.

1) 참고로 제가 설치하려는 제품도 독일산이고 사이트의 첨부사진 처럼 마감이 깔끔해서 선택하였습니다. 각파이프로 보강하는 안은 국내대리점회사의 제안으로 본사에서 승인된 방식인지는 모릅니다.

2) 창문 상단에 전동어닝도 설치할 예정인데, 어닝업체에서는 그냥 긴 앙카볼트로 고정을 하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이것도 동일한 설치구조여서 같은 방식으로 각파이프 보강을 하려고 합니다.
G 박정환 2023.09.16 17:04
프로파일이 독일산이고 유리는 국산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각파이프는 보강용이고 기초도면처럼 앙카볼트가 골조에 연결되어 지지력을 받는 구조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M 관리자 2023.09.18 11:27
저는 각파이프를 대는 것이 잘 상상이 되지 않습니다.
이게 그냥 부착이면 모르겠는데, 외단열미장마감과 같이 물려야 하는데.. 그림으로 그려도 잘 전달이 될지 의문이긴 하나...

구조 안정성 관련해서는 풍압의 모멘트를 각파이프가 받아 낼 수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각파이프 철판 두께가 충분히 두껍다면 가능해 보이긴 합니다.

더 걱정되는 것은...
아래 그림을 보시면.. 각파이프 측면의 뚫린 면과 단열재가 서로 만나는 곳에 마감 방법이 마땅치 않아 보인다는 점입니다. 철판두께에 의존해서 마감을 해야 하는 형식이라 그렇습니다.
M 관리자 2023.09.18 11:30
혹시.. 해당 프로파일을 수입하는 곳에 문의를 하셔서.. 아래와 같은 제품을 같이 구입할 수 있는지 알아봐 주세요.
https://youtu.be/IRnbO-zSdL0?si=HRz0XEZitmJCkAZy

이게 시간상 구입이 어렵다면...
각파이프의 측면에 같은 크기의 철판을 대고 용접으로 막는 작업이 필요해 보입니다만, 용접을 하면 녹이 날거라서... 딱히 적당한 디테일이 머리 속에 떠오르지 않는데요..
좀 더 검색을 해보고 추가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G 박정환 2023.09.18 12:12
링크하신 제품을 사용하면 시공성도 더 좋을 것 같은데 단기간에 변경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수입사 대표님께는 좋은 정보인 것 같아 전달하겠습니다.

각파이프 사이즈를 단열재 두께에 맞춰 제작되는데 옆 단면이 막혀야 하는 지는 제가 잘 이해 못하고 있습니다. 우레탄폼 충전은 단열 목적이어서 없이도 시공하는 것으로 들었거든요.
M 관리자 2023.09.18 13:49
각파이프의 측면을 단열재가 덮는 형식인데, 철판 두께 정도의 선과 단열재의 면이 만나는 조건이기에  그 속으로 물이 들어가기 쉬운 상태이라는 의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