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전열교환기 y배관 사용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G 김판솔 2 361 2023.11.13 22:09

안녕하십니까. 전열교환기 관련하여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현재 저희 아파트는 세탁실에 

전열교환기 급기 배기관과 함께 화장실 배기관까지

총 3개의 배관이 지나갑니다.

원래는 기본 전열교환기는 화장실 배기가 켜지면 전열교환기가 가동을 멈춘 후 따로 배기모터가 작동하여 배기를 하는 방식이였습니다.

하지만 고장으로 인하여 하츠 코나 s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러면서 y자 배관까지 함께 시공하였는데요.

배기 방향관련 의문이 생겨서입니다.

그림은 발로 그렸지만... 원래 제 생각대로라면 1번 그림처럼

두개의 배기가 하나로 합쳐져서 y배관의 설치방향이 그림처럼 되어야할것 같은데 2번처럼 시공이 되어있습니다. (y배관 방향 살펴주세요!!)

아무리봐도 전열교환기의 배기관이 화장실환풍기 배기관과 1자로 연결이 되어있어서 전열교환기배기가 그대로 화장실로 흘러가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어서요.... 댐퍼가 달려있다해도 화장실 환풍기가 전열교환기 배기파워를 이길지 모르겠네요.... 설치하신분에 따르면 전혀 상관없다고 하시네요.. 1번처럼 설치해도 똑같다고...여러집 해보았다고...

하지만 상식선에서 이해가 안가네요 ㅠㅠ 정말 2번처럼 설치해도 괜찮을까요!!

Comments

9 잡자재 2023.11.13 23:34
1번 구조가 환기장치와 화장실 환기팬 모두에게 압손실이 적어 유리합니다. 다만 화장실 배기팬에 역류방지댐퍼가 기밀하다면 환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EA가 화장실로 유입되지는 않습니다.
공기도 가던 차와 마찬가지로 가던 방향으로 가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차가 유턴을 해서 돌아가려면 힘들듯 공기도 꺽인 배관을 통해 배출되려면 팬이 더 열심히 일해야 합니다. 비유가 좀 너무 과한듯합니다만... 원리가 이렇다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설치하신 분이 똑같다는 것은 환기장치의 배관 설계가 일반적으로 5m/s의 저속으로 느리기 때문에 차이가 없지는 않지만 체감할 정도로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이는 풍량계를 통해 측정시 소량의 차이가 나는 구조이며 만약 2번 구조에서 외부로 연결된 구경이 더 크다면 그 차이는 더 줄어들게 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주거용 환기장치는 저속덕트설계여서 대충해도 다 나가고 들어가진다.. 입니다만 이런 작은 차이가 모여서 적지 않은 전기요금의 부담으로 돌아옵니다. 얼마가 절약된다고 장담드릴 수는 없지만 하루 24시간 365일 작동하는 환기장치이기에 가능하면 1번구조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G 김판솔 2023.11.14 08:46
답변 감사드립니다 ^^ 이제 궁금증이 해결되네요.
큰 차이는 나지 않더라도 1번으로 가는게 맞군요 ^^ 변경해놓아야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