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건축계획 및 시공관련 문의 드립니다.

1 개구쟁이 8 307 2023.11.20 15:12

1. 환기장치 설치 공간

 환기장치는 컴포벤트의 DOMECKT 450 V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내측크기 폭 1000 X 길이 2000 에 가스 보일러와 환기장치를 마주보게 설치 할려고 합니다

공간의 길이는 조금 더 키울 수도 있습니다만, 이 공간의 크기가 가스보일러 운영 및 관리 그리고

환기장치 설치 및 유지관리를 동시에 진행하기에 무리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2. 기초 L앙카 설치 

토대 앙카의 굵기와 깊이만 맞춰준다면 케미컬 앙카나 스크류 앙카를 써도 될 듯한데

가능여부를 판단한는 기준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인발력값 같은 수치)

L앙카를 설치 하지 않는다면 토대자리의 기초평활도를 잡기가 더 수월할듯 해서

생각해봤습니다.  협회협력사 기초 사진중에 L앙커 없이 기초를 만드신 사진을

본적이 있어서 시공하시는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3. 다락 바닥 단열재 설치

다락이 있는 경량목조 단층 주택입니다. 지붕을 포함한 외벽의 레이어 구성은 협회표준 주택을

적용하려고 합니다. 다락의 일부를 실로 사용하려고 합니다만 이경우에 다락 바닥에 단열재를

설치 하는것이 합당한지 헷갈립니다. 방음등의 이유로 다락바닥장선에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다락층은 1층의 보이드 공간 없이 계단실을 제외하곤 분리된 공간이고, 박공지붕아래 벽체에 마주보는

창이 있습니다. 하지만 난방을 하지 않는 공간이고 지붕층에 단열층이 있어 온도변화가 크지는

않을꺼 같지만 1층과의 온도차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데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4. 지붕마감을 골강판으로 하려고 합니다.

 

표준주택을 포함한 많은 주택의 지붕 레이어에 투습방수층 위로 통기층을 위한 상을 걸고

다시 합판/ 방수시트 시공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합판/ 방수 시트 층을 제외하고, 가로 상을 추가로 설치하고 바로 골강판을 설치 하려고 계획하였습니다.

지붕단열재 외부에 합판 설치후 투습방수층은 프로클리마사의 WELDANO3000을 사용할려고 합니다.

합판/방수시트층을 제외했을 경우 우천시 소음이나 바탕면 부재에 따른 시공의 어려움 등이 문제로 보이는데,

다른분들과 협회의 의견을 알고 싶습니다.

 

5. 오픈조인트 외벽 구성

 

외벽의 투습방수층까지의 시공의 건전성이 확보된다면, 외부 마감을 오픈 조인트로

하는 것에 대해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오픈조인트 용으로 나온 프로클리마사의 투습 방수지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오픈조인트로 마감을 한다면 하지 계획만 잘 세우면 작업자체는

매우 수월할듯 한데다가, 디자인적으로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기에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투습방수지의 uv저항성능이 6개월 이라고 나와있기는 합니다만, 이 6개월의

의미를 정확히 모르겠네요. 문의를 했지만 속시원한 답변은 받지 못했습니다.

아무래도 오픈 조인트로 했을때 햇빛에 의한 손상이 문제가 될듯합니다만,

여기에 대한 기준을 잡질 못하겠네요. 오픈조인트로 했을때 마감재의 적정 간격이라든지

하는 기준이 있다면 좋을텐데요.  

관련 정보나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9 잡자재 2023.11.20 22:26
제가 아는 부분만 답변드리자면...
1. 네 충분합니다. 조금 더 줄이셔도 됩니다. 1000*1700까지 가능합니다. (만약 분배기가 설치된다면 30cm 안쪽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출입문은 1700중 보일러가 설치되는 날개벽 300을 빼고 900사이즈의 문을 설치하면 사용이 편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2. 제가 잘 모르는 부분입니다만 케미컬 앙카를 사용해서 J앙카 만큼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깊이를 30cm정도 뚫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방음의 목적으로 단열재를 장선 사이에 넣는 것은 소음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단열재 안이라도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공간이라면 엑셀파이프가 도는 다른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냉난방은 별도의 설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냉방이 필요함으로 소형 히트펌프 냉난방기 정도면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4. 지붕의 구성은 외측의 투습성능이 내측보다 더 높아 내부로 습이 유입되었을 때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야 합니다. 웰다노3000의 SD 값이 0.18m로 매우 낮고, 내측 가변형 방습지의 투습성능은 습도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인 겨울철 기후에서 꽤나 좋은 성능을 갖기에 구성에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다만 습이 배출될 경우 골강판의 차가운 표면에 결로가 맺혀 하부 방수시트 위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떨어진 물이 방수시트 위를 흘러 배출되어야 하는대 가로상에 걸려 배출되지 못할 듯 싶습니다. 저는 목조를 지어본 사람이 아니어서 이에 대한 내용은 관리자님이나 다른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겠습니다.

5. 오픈 조인트용 투습방수지는 10년 혹은 그 이상의 UV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6개월은 오픈조인트용 제품이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1 개구쟁이 2023.11.21 16:35
잡자재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1. 바로 설계에 적용해보겠습니다.

2. 빌더분들께서 추가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네요.

3. 단열재 설치 하려면 냉난방기 설치가 필요하겠네요.

4.  레이어 구성을 좀 더 고민하면 그리 문제가 되진 않을꺼 같네요.
    전 개인적으로 소음이 좀 신경쓰입니다만.

  이부분도 시공하시는 전문가분들의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5. siga사의 Majvest® 700 SOB 이 제품이 여러면에서 적합한거 같은데 국내에선 취급하는 곳이 
없는거 같네요. 잡자재에서는 수입하실 계획은 없으신가요?
가격은 두배가 넘는거 같네요~ 그래도 충분히 활용도가 높을꺼 같은데요.
수입해보심이...

답변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9 잡자재 2023.11.21 17:38
넵 가격이 2배가 넘고 거의 쓰이지 않아 재고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ㅠㅠ 예상하시는 시공일정과 저희 발주일정이 맞는다면 필요하신 만큼 발주해 드릴 수는 있습니다. 고민해보시고 연락 부탁드립니다. ^^
M 관리자 2023.11.22 02:10
2. 타 앵커방식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관입깊이는 각 앵커 회사별로 정해진 규정을 따르면 되고요.
다만 더 비싸고, 시공이 까다로울 뿐입니다. 특히 드릴링 이후에 내부 잔존물을 불어서 빼내는 과정이 잘 되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3. 주로 저밀도 단열재를 사용하기에 문제는 없습니다. 지붕의 단열 성능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입니다.

4. 이 경우 골강판의 두께가 최소 0.8mm, 적정 1.0mm 를 넘어야 합니다. 안그러면 양철북 소리가 너무 커서 감당키 어렵습니다.
또한 이 두께가 넘어야 골의 상부에 피스를 박는 방식이 가능합니다. 이 보다 얇으면 골의 하부에 고정을 해야 해서 장기적인 누수의 위험이 있습니다.
지붕 구성은... 투습방수지 위에 골강판을 바로 올리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나, 투습방수지-세로바탕재-가로바탕재-골강판의 순서여야 하며, 소음을 줄이려면 가로바탕재의 간격이 450mm 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음으로 부터 자유로와 지려면, 표준주택의 구성 그대로 하고 그 위에 골강판을 얹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혹은 골강판 중에서 PE발포 코팅이 하부면에 되어 있는 제품이 있습니다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투습방수지의 개월 수 보다는 오픈조인트용 투습방수지(제품명이 검정색으로 인쇄된 투습방수지)인지만 확인을 하시면 무리가 없습니다.
1 개구쟁이 2023.11.22 19:51
관리자님 너무나 감사합니다.
정리가 되었습니다.
M 관리자 2023.11.23 11:44
감사합니다.
G 신동일 2023.11.23 22:06
투습방수지의 UV저항 성능은 제가 알기로는 2~3개월이고 오픈조인트용은 6개월 혹은 12개월 정도입니다. 대부분 검정색이고 회사로고가 잘 보이지 않도록 인쇄되어 있습니다.
 UV저항성능이3개월6개월이 필요한 이유는 두가지로 볼수 있는데,
첫 번째는 투습방수지를 시공 후 마감재로 덮어 햇빛을 막아주는데 까지의 기간을 고려해서 선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설치한 후 1년이 걸릴 것이 예상되면 그 기간동안 보증할 수 있는 제품을 선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는 오픈조인트로 할 경우 조인트로 들어오는 햇빛(자외선)을 고려하여 UV 저항기간을 선정하시면 되는데, 보통 남측벽에서 6~10mm 틈으로 들어오는 햇빛은 하루에 15분 내외이며, 깊이가 깊을수록 영향은 더 줄어들기에 UV보증기간이 6개월 정도의 성능보증 제품이라도 2~30년은 충분히 성능보존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G kaakkaak 2023.11.23 22:41
신동일님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