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한옥 구옥 수리 지붕 외단열 및 벽 단열시공 관련 질문드려요

1 그란튼 7 587 2023.11.20 09:39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한옥 구옥수리중에 있습니다. 토탈 인테리어 업체나 건축사무소를 안 거치고 하기에 건축주로서 혼자 시공사를 결정하고 시공방법들을 고민해야하는 상황입니다. 특정분야 시공사 (지붕공사, 전기, 목수) 분들도 본인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에 따른 견해를 저한테 제공해 주셨으나 종합적으로 보았을때 답변들의 차이가 있어 헷갈리는 상황이고요..

 

한옥은 대략 65년 정도 되었고, 기존 주인이 한번 개량을 하여 조적벽을 쌓고, 지붕은 석면으로 현재 되어 있습니다. 

 

지붕은 석면 해체 지원금을 받아 진행이 곧 될 것이고, 지붕 교체 업체도 선정하여 해체 후 바로 들어가는 상황입니다. 제가 지금 고민인 것은 첫째, 지붕 외단열의 시공 방법 입니다. 사전 조사 및 의뢰를 통해 경질 우레탄폼을 지붕틀 형성후 뿌려주는 방법과 틀 형성 후 보온 덮개를 깔고 그 위에 강판을 올리는 시공 방법중 어떤 것을 선택 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비용적인 면에선 후자가 훨씬 저렴합니다만, 단열 측면에서 충분한지, 아니면 추가적인 시공이 들어가야 하는지, 아니면 비용이 들더라도 우레탄폼을 추천 하시는지 질문 드려 봅니다. 

 

일단 지붕이 우선인지라 벽체는 사진만 일단 올려 드렸고, 관련 질문은 추가로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9 잡자재 2023.11.22 01:12
말씀하신 보온덮개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부직포류라면 경질우레탄폼으로 하는게 좋겠습니다.
M 관리자 2023.11.22 01:27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먼저 질문이 있는데요.
그려 주신 단면에서 "공기"라고 적어 놓은 부분은.. 기존 서까래 위에 무언가 각목 같은 것을 대서 비워진 공간이라는 의미신지 궁금합니다.
1 그란튼 2023.11.22 09:46
네 맞습니다. 밀폐되지 않은 공간 입니다
1 그란튼 2023.11.22 09:50
답변 감사합니다, 경질 우레탄폼이 단열성능은 최강이나 화재에 취약하다고 들어 난연성의 수성 연질폼 시공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일단 지붕교체 시기상 맞지않아 보류중이긴 한데 부직포류말고 어떤 종류면 폼시공 대채용으로 괜찮을까요?
1 그란튼 2023.11.24 10:15
계획이 바뀌어 질문 새로 드립니다, 폼시공은 일단 보류중이고, 다른 업체에서 기존 짚 위에 스티로폼 50mm 얹고 보강한 기존틀위에 pe폼이 쏘아진 칼라강판을 덮는식의 시공을 추천 합니다. 기존 짚이 오래되어 색도 어둡고 썩었을 가능성이 있다만, 지붕업체에서는 철거를 왜 하냐고 그냥 나둬서 보온재로 쓰라는 입장입니다, 그냥 놔두고 써도 되는 부분일까요? 사진도 첨부해 드립니다!
1 그란튼 2023.11.24 10:18
슬레이트 철거후 사진입니다, 철거후 비닐을 덮어놓은 상태이고요
M 관리자 2023.11.27 02:55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기존 짚 위에 EPS 단열재를 덮으면 그 속의 짚은 매우 빠른 속도로 부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EPS를 꼼꼼히 붙힐 수록 더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짚을 유지할 요량이시면, 투습성능이 높은 글라스울로 단열을 해야 합니다.
즉 지붕의 구성은
짚-글라스울(비닐로 포장되어 있지 않은 누드 단열재)-투습방수지-세로각목(통기층)-금속지붕
의 순서입니다.

폼은 지양하시는 것이 좋으며, 가격적인 면에서도 글라스울이 현저히 저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