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기초 및 바닥 구성 몇 가지 질문드립니다.

G 마틴킴 8 583 2023.11.26 19:43

Screenshot_20231126_192757_Samsung Notes.jpg

안녕하세요. 현재 버림까지 끝내고 월요일부터 기초에 들어갑니다.

구조는 rc구조입니다.

 

몇가지 여쭤볼게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1. 기초를 칠때 날씨가 추우면 보양을 어떻게 해주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보양을 해야하는 기준온도가 궁금합니다.

 

2. 버림 위에 단열재가 없는데 단열에 크게 문제되지 않을까요?

참고로 기초 측면은 100mm 압출법단열재를 부착할 예정입니다.

 

3. 기초 측면에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칠해주는게 좋을까요.

꼭 칠해야만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기초측면 단열재는 화스너로 하는게 효과적일까요?

폼 본드로만 해도 될까요

 

4. 기초 위에 비드법단열재가 들어가는데 단열재 위에 pe필름을 까는게 좋을까요

협회 유튜브에서 필름을 까는게 좋다고 기억해서요.

또한 기초 바닥에는 휘니샤를 돌릴 예정인데 단열재를 테이핑 하면 어떤 테이프를 쓰는게 좋나요?

 

5. pe비닐을 깔면 측면쪽 방통높이까지 비닐을 올려 테이핑을 하면 될까요?

 

걱정이 많은 건축주라 기본적인 질문이 너무 많은것같아 죄송할따름입니다.

현재 시공사에서 다 알아서해주지는 않을것같아서 질문 남깁니다. 

 

감사드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11.27 06:30
1. 밤의 온도가 영하일 경우 보양을 해야 합니다. 다만 콘크리트 수화열이 있으므로, 외기의 바람만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두꺼운 비닐(주로 천막용 천)으로 전체를 다 덮어 주면 됩니다. 다만 상부층은 지금보다 더 온도가 많이 내려가는 날씨가 될 것이기에, 그럴 경우는 다 덮은 후 실내측에서 충분한 난방조치를 해야 합니다.

2. 단열의 건전성은 담당 건축사가 판단할 몫입니다. 그러므로 제가 딱히 말씀드릴 것은 없는데요. 설계 의도 자체가 기초 상부에 단열을 모두 하려는 의지로 읽힙니다.  그러므로 의도와 같게 시공이 된다면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3.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꼭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그보다는 균열 등이 생기지 않도록 타설콘크리트의 품질에 더 신경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측면 단열재는 지반의 높이에 따라 다릅니다만, 단열재의 절반 이상이 흙에 뭍힌다면 화스너는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4. 단열재 위에 비닐이 깔려야 합니다. 아래 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여요.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3118

5. 네 그렇습니다만 더 높히고, 나중에 몰탈 높이에서 잘라 내는 방식이어야 합니다.

질문이 기초적이지 않습니다.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G 마틴킴 2023.11.29 15:39
대단히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23.11.30 00:11
감사합니다.
G 마틴킴 2023.12.07 22:52
여기에 추가적인 질문을 드려야되나
새로운 글을 써서 질문을 해야하나 고민하고 올립니다.

1. 기초 외부 xps단열재 틈과 벽체 외부 eps 단열재 틈에 우레탄폼을 사용한다고 알고있는데 경질이 적절한지 연질이 적절란지 궁금합니다. 수달사에 동절기 폼이 있던데 겨울에 사용시 일반 수달 폼보다 나을지 궁금하네요.

2. rc조 외단열인데 스타코 마감 예정입니다.
eps 단열재 사이에 폼을 뿌리고 부풀어오른곳은 잘라낸 후에 기밀테이프를 시공하는것이 큰 효과가 있을까요?
테이프를 사용해야한다면 제품도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 마틴킴 2023.12.09 07:04
한 가지만 더 질문드립니다.
위와같은 도면에서 기포콘크리트가 보이지않는데
기포를 안치는 도면이 맞을까요?
M 관리자 2023.12.09 11:51
1. 경질을 사용하시면 되세요. 동절기폼이라고 해서 큰 차이는 없습니다. 그 보다는 토치로 표면에 열을 가한 후에 접착을 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2. 외단열미장마감의 단열재 틈새에 기밀테잎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효과도 없고요.

-----------
기포 타설 유무는 콘크리트바닥의 평활도에 달려 있습니다. 대부분 좋지 않기에 대부분 타설을 하고 있을 뿐이며, 그 외에 달리 기능은 없습니다.
G 마틴킴 2023.12.09 12:13
매번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23.12.09 14:0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