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상하수도, 오수배관 실내 노출 시공 어떤가요?

G 돈이읎다 1 511 2023.11.29 22:20

경량목구조의 경우입니다.

 

배관의 수명이 주택의 수명보다 현저히 짧다는 걸 모두가 다 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냥 기초콘크리트에 싹 다 묻어버리는 실정입니다.

하여, 배관의 수명이 주택의 수명을 좌지우지하는 대한민국의 현실...

 

미국처럼, 크롤스페이스를 만들면야 당연히 좋겠죠. 비용이 많이 드니까 문제죠.

집은 지어보고 싶고, 그렇다고 돈은 없고, 없어도 일단은 백년만년 오래가도록 짓고 싶은 마음인데...

 

근데, 어차피 화장실하고 주방 싱크대만 노출하면 되잖아요?

 

화장실의 경우(건식화장실), 

세면대와 샤워 배수구를 같이 연결해서 하나.

(만약, 화장실에 세탁기도 같이 있으면 이것까지 같이 연결)

그리고 변기만 따로 하나.

 

이렇게 총 두 개를 외벽으로 통과시키는 거죠. 

대신, 변기는 배관의 두께(100mm)만큼 높게 설치되어야겠죠.


싱크대의 경우,

어차피 밑의 수납공간으로 안 보이게 배관이 이어지게 해서 바로 외벽으로 빠지게 하는 거죠.

 

보기에 지저분해 보일 수도 있으나, 

차후에 배관이 막히거나, 노후화되서 돈 쓰고, 스트레스 받는 것보다 나을것도 같은데요...

 

미관상의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기능상의 문제는 없겠죠??

 

 

Comments

M 관리자 2023.11.30 00:27
우선.. 구조체에 매립되는 PVC 배관이 건축물의 수명까지 유지되기 위해서 (꼭 그 목적은 아니지만) VG1 이라는 것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파이프에 더해서 시공의 건전성이 더해지면 콘크리트 매립에 대한 거부감은 없으셔도 괜찮습니다.

---------------
배관은 노출되어도 괜찮습니다. 다만 배관 소음에 대한 조치 (고무발포단열재 등으로 배관을 감싸는 등)는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