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지하수위가 높은 부지 기초 하부의 단열

G 오나라 6 899 2023.12.03 18:31

안녕하세요 

기초 부분을 외단열로 적용하여 설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설계 진행중 의문이 들어 질문을 남깁니다.

 

계획 진행중인 부지가 바다였던 곳을 매립한 부지로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구조계산상 450mm이였던 매트 기초를 800mm두께까지 키웠습니다.

■Q. 기초를 800mm이상 키우는 것이 콘크리트 자체의 방수역할에도 효과가 있는지요?

 

 

겨울철 동결심도를 우려 기초하부 단열 뿐만 아니라 기초 측면 단열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경우 지하수위가 높은지역이라 기초 하부의 단열성능이 우려되어 내단열로 바꾸는 것이 어떻겠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Q.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 기초 외단열의 경우 단열재의 성능에 지장이 있는게 맞을까요? 

그렇다면 내단열이 차선일까요? 하부에 잡석다짐이 있기때문에 물이 빠지는 것에 대해서는 자유로운거 아닌가요?

■Q. 오히려 지하수위가 높기 때문에 기초의 단열이 외단열이 더 맞다고 보는데, 지표면 하부 -1000이상이므로 기초가 얼거나 하는 문제에서는 자유로울까요? 

 

(기초 상세도 첨부 합니다.)

기초 상세도 (1)_1.jpg

Comments

M 관리자 2023.11.28 16:09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1층 기초 상부의 높이 보다, 지반의 높이가 더 높은데요..
대지가 경사지인가요? 아니면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G 오나라 2023.11.28 17:14
각동이 아닌 집합형 건물로 중앙부에 기존 건물이 있습니다. 기존 건물은 문화재 건물로서 바닥을 들어올리지 못하며, 그러한 이유로 기존 건물 바닥 레벨을 기준으로 다른동 건물의 바닥레벨을 동일하게 잡다보니 지금과 같은 1층 기초 상부의 높이보다 지반의 높이가 높은 상태가 되었습니다.
M 관리자 2023.11.28 17:17
알겠습니다. 그림을 그려 드려야 해서.. 저녁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M 관리자 2023.11.28 20:14
기초의 두께와 방수 성능은 거의 관계가 없습니다. 이를 위한 목적으로만 800mm로 키우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그 보다는 균열이 가지 않도록 콘크리트의 강도를 30MPa 로 늘리고, 물도 타지 않기 위해서 슬럼프값을 15 로 주문을 한다음, 양생을 잘 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러므로 기초의 두께는 (구조기술사가 최소 두께를 정해야 하지만) 400mm 정도인 것이 좋습니다.

단열재는 압출법단열재의 경우 지하수위 높이와는 별개로 지중 단열재로 사용되기에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또한 쇄석층에서 충분히 건전성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가. 측면 절토의 각도가 너무 가파릅니다. 기초깊이가 깊어서 더 그렇습니다만, 최소한 그림처럼의 각도는 되어야 합니다.
나. 쇄석층 속의 배수판은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다 .벽돌하부의 높이를 기초판의 하단으로 더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라. 기초와 가까운 외벽에는 폼타이 시공시 "지수링"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G 오나라 2023.11.30 10:16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가지더 질문이 있습니다. 다 .벽돌하부의 높이를 기초판의 하단으로 더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이유가 무엇인지요?
상부드러나는 조적의 건전성을 위해서 인가요?
M 관리자 2023.12.01 23:33
첫번째는 열교때문에 그렇고,
두번째는 비록 지수판 시공이 있지만, 그보다는 바닥보다 내리는 것이 더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