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옥상방수 물고임 해결 방안 문의(현재 중도2차까지 도포)
G 최강건축 | 댓글 2
안녕하세요. 옥상방수공사를 하고있는데 마감품질이 너무 좋지 않습니다. 기존 무근을 깨고 몰탈(+섬유보강)을 다시쳤는데 휘니셔를 제때 돌리지않아 마감면이 너무 좋지 않았어요. 현재 중도(2차)까지 했으나 워낙에 바탕면이 고르지않았어서 심각합니다. 사진 첨부합니다. - 사진1. 크랙이간 것… 더보기
아파트 창문 재 설치 문의
G 보노보노 | 댓글 1
안녕하세요? 평소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부모님댁 지울때 나름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이번에 이사를 하게 된 곳이 발코니 확장을 한 집인데 발코니 확장을 하면서 제대로 공사를 안해서 좀 추운 것 같습니다. 일단 창문이 걍 단창 미닫이이구요. 외벽에 추가 단열을 했는지 의심스럽습니… 더보기
임시사용중 수직증축 가능여부
1 santa8030 | 댓글 2
기존 허가 받은 규모는 지하2층 지상 10층입니다. 현재 지하2층 지상1층 공사가 완료되어 임시사용승인후 1년뒤에 나머지 지상 9개층을 공사하면서 사용 가능할까요? 혹시 건물 운영중에 공사 경험있으신분 의견 부탁드립니다.
바닥 단열계획할 때 이중으로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G 미미누 | 댓글 5
바닥 단열재 계획 할 때 예를 들어 중간 층에 비난방 공간(실내)이 있다고 가정하면 저런식으로 위층 아래층 바닥단열을 이중으로 해야되나요..? 참고로 저기는 1층까지 그려져있지만 위에 4층까지 더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토목용 eps 구입은 어디에서 해야하나요?
G 직접집짓기 | 댓글 10
안녕하세요. 이번에 직영공사를 준비중인데 궁금증이 있어서 글 올려봅니다. 패시브협회의 얕은기초 방법으로 매트기초를 치려고 하는데 300t토목용 eps는 어디에서 구입을 해야하나요? 그리고 설계도면상에는 thk125 단열재를 버림위에 설치하라고 되어있는데 thk125대신 토목용eps만 설… 더보기
잡자재 싸이트에서 판매하는 배수판 을 꼭 써야 합니까?
G 세발아찌 | 댓글 12
배송료도 공지 않되어 있고 제품소개내용보면 옥상에외단열방수시 꼭 써야하는것 처럼되어있습니다 배송비가 ㅎㅎ 깜놀 미리 싸이트에 구매전 배송비를 중량별로 표를 만들어 놓던지 해야지... 안그렇습니까? 일반 조경용 배수판사용시 문제가 많이 발생합니까? 단가가 타일보다 비싸니 안그래도 건축주는… 더보기
락울외단열만으로 중부1지역 단열기준 충족 시공디테일은?
1 이준노 | 댓글 6
안녕하세요..스틸하우스에 외단열만으로 중부1지역~패시브하우스 기준의 단열성을 갖추려고 하고 있습니다.고밀도 글라스울이나 락울로 200mm이상두께로 외단열이 되어야 할텐데, 국내에서 자재수급과 시공가능한 무기계외단열 시공 디테일이 있을까요?그리고 중부1지역 단열기준을 외단열만으로 충족시킬… 더보기
리모델링학교의 외벽 건식벽체 관련
G 어맹란 | 댓글 4
안녕하세요 학교리모델링 설계를 진행 중입니다. 건물이 오래되어 하중을 태우는 것이 무리라서 개구부 주변 외벽을 건식으로 짜려고 합니다. 찾아보니, 내화기준외에는 딱히 지키라는 기준이 없는거 같은데.. Q1. 법적으로 내화기준 외에, 외벽에 건식벽체 사용 시 지켜야 하는것이 있는지.. Q… 더보기
여기다 올려도 될지 난방 분배기
G 용산 | 댓글 1
이렇게 생긴 난방 분배기는 어디가 환수관이고 어디가 공급관인가요? 맨 앞에 밸브 있는 열량계랑 정유량 밸브가 있는 곳이 공급관인가요? 이 곳에서 정유량 밸브는 환수관에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는 글을 봤는데 정유량 밸브가 공급관에 설치 되어 있으면 잘못된건가요?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단열재 두께에 관해서
G 시나공 | 댓글 10
안녕하세요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보면 [별표1] (열관류율 기준) / [별표3] (단열재의 두께) 가 있습니다. 결국 단열재의 두께도 열관류율로 환산하여 볼 수 있는데요. 환산하여 계산할 경우 0.01~0.02 차이가 납니다. 이는 구조체나 기타 마감재를 고려하여 단열재의 열관류율보다 더… 더보기
자파현상으로 보이시나요?
G K | 댓글 2
안녕하세요. 최근 '자파현상'에 대한 정보를 구글에서 검색하다가 제 상황과 유사한 경우를 겪으신 분의 경험담을 읽고, 여기에서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저의 문제는 창문에 갑자기 금이 생긴 것에서 시작됐습니다. 현재 집주인은 이 문제를 제 과실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 금은 창문 손잡이를… 더보기
방문 경첩관련 질문입니다.
G 정구지 | 댓글 2
안녕하세요.외국 유튜부 를 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진건데..방문경첩을 우리는 위에두개 아래하나 다는데..외국은 아마도 미국 같습니다만..3등 분을 해서 다는 이유가 있을까요? 내구성 차이인지 아니면 그냥시공방식 차이인지..3d경첩을 다는 히든도어 세트를 보면 그것도 3등분 으로되있던데..그… 더보기
외단열미장마감 위에 타일마감하려 합니다. 단열재 탈락 우려는 없을까요?
G knockman | 댓글 6
안녕하세요. 저는 용인에 RC 로 신축 주택을 건축하려는 건축주입니다. 패시브 협회의 글들을 읽으며 큰 도움을 받아 왔고.. 덕분에 설계 및 시공 계확에도 많은 부분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전체 외단열 계획하였으며 골조 - 비드법 2종3호 단열재 접착 및 화스너 고정 - 미장 - 메쉬 -… 더보기
노후 주택 셀프 보수 문의
1 니쥬 | 댓글 1
안녕하세요. 50년 정도 된 노후 주택입니다. 단층 짜리 주택인데, 외벽은 보수를 여러번 해왔던것 같습니다, 여기저기 울퉁 불퉁하고, 일부 벽면은 크랙이 심하게 있습니다. 2개월전에 급하게 들어 오게 되어서 내부 인테리어만하고 거주중인데, 겨울이 되면서 외벽 갈라짐이 더 심해졌어요. 더… 더보기
내부 공사 관련 문의드립니다.
G 나무항아 | 댓글 3
안녕하세요. 내부공사를 시작하려는데, 몇 가지 궁금한 게 있어 여쭤봅니다. 1. 콘센트 마감 외기와 닿는 부분의 콘센트를 전기공사하는 분이 사진의 위 부분처럼 시공했습니다. 이 경우 결로 위험이 있다고 해서 단열공사할 때 바꾸려고 합니다. 단열재 50t + 30t + 2P 석고 마감입니… 더보기
단열 설계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G 미누 | 댓글 4
단열 설계하는 중인데 단열 설계는 바닥과 천장 이중으로 하는 건가요...? 그림을 못그렸지만 참고바랍니다...
욕실 바닥타일 철거 하지않고 압착으로 덧방입니다
G 김민주 | 댓글 1
욕실 버닥타일을 철거 하지않고 압착공법으로 타일을 붙이는데 지금은 평평한 바닥인데 샤워부스쪽과 변기쪽을 단을 주고 싶어하는데 압착으로 샤워부스쪽은 한번덧방 변기쪽은 3번덧방을 원하는데.이게 하자가 나지.않을까요? 욕실문틀 높이는와 슬리퍼는 상관 없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하자가 날듯 해서요
CRC보드 및 파라펫 두겁 시공 관련 문의
G 성산군 | 댓글 4
안녕하세요. 항상 많은 도움을 받고 셀프로 역전지붕 시공하고 있습니다. 질문은 두가지 입니다. 1. 외부용 CRC보드의 규격이.어떻게 되나요? 역전지붕 시공 시 파라펫 내벽에 단열재 + CRC보드 마감을 해야하는데 제주도 몇몇 자재상에 연락해보니 외부용 CRC보드는 없다고 합니다. 단순… 더보기
매트기초 위에 지은 목조주택 배관 문제를 해결할 방법 없을까요?
G 김춘배 | 댓글 2
대부분의 건축주 분들이 비용문제 때문에 매트기초를 선택하는 상황에서 여타 문제야 열심히 해결한다 쳐도 상하수도 배관 문제가 너무 어렵습니다. 제일 큰 문제가 건축주가 시공한 기초가 잘못 형성되어, 실내 배관 위치와는 전혀 다른 곳에 기초 배관이 형성되어 있는 상황인데요. 시공이야 어떻게… 더보기
스타코 작은 하자 보수와 외부 창 틀 마감 조언 부탁
1 별이해님아빠 | 댓글 3
안녕하세요. 서울에서 작은 집을 신축해서 올 4월에 입주했습니다. 뭐 이런 저런 문제가 있내요. 아무튼 오늘 우연히 집 뒤면을 보다 스타코가 조금 깨진 것을 발견했습니다. 측정은 안 했는데 긴 쪽이 2cm는 되어 보이네요. 이 구멍으로 물이 들어가 커질 것 같아 걱정이네요. 당연히 시공… 더보기
벽체 철근 배근 관련 질의
4 지람 | 댓글 3
안녕하세요, 벽체 철근 배근 관련하여 질문이 있어 아래 글을 남깁니다. 먼저 일반적인 주택 건축주는 대체로 구조 디테일에 대해 관심이 없겠지만, 제가 건축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하고 모르는 것에 대해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 성격으로 인해 주제넘게 디테일한 질문을 남기는 점 너른 양해 부탁… 더보기
경질 우레탄 보드 단열재 마감에 대하여 질문드려요
G 써마 | 댓글 1
30년된 구축 건물입니다. 외벽이 외단열 드라이비트이나 의미가 없는 성능이라 우레탄보드 2종 2호 제품으로 셀프시공하려 합니다 실내 내부벽은(콘크리트) 폼본드로 우레탄 보드 2종 2호 80t 부착후 폼본드로 석고보드 부착순서로 하면 될꺼 같은데 옥상으로 올라가는 계단탑 상부(콘크리트에 … 더보기
지하수위가 높은 부지 기초 하부의 단열
G 오나라 | 댓글 6
안녕하세요 기초 부분을 외단열로 적용하여 설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설계 진행중 의문이 들어 질문을 남깁니다. 계획 진행중인 부지가 바다였던 곳을 매립한 부지로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구조계산상 450mm이였던 매트 기초를 800mm두께까지 키웠습니다. ■Q. 기초를… 더보기
아파트 리모델링 창고 및 단열 문의
G 행복부자 | 댓글 2
안녕하세요 피코네 유투브를 통해 협회까지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좋은 컨텐츠와 협회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현재 발코니 확장을 하려하고 있습니다. 바닥 철거 및 샷시 철거 후 바닥 단열, 난방 연결, 이중샷시를 진행하려합니다. 현재 상황은 외부창호와 바닥의 공간이 적어서 ㄱ철제 브라켓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