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외단열미장마감 위에 타일마감하려 합니다. 단열재 탈락 우려는 없을까요?

G knockman 6 601 2023.12.04 19:22

안녕하세요. 저는 용인에 RC 로 신축 주택을 건축하려는 건축주입니다.

패시브 협회의 글들을 읽으며 큰 도움을 받아 왔고.. 

덕분에 설계 및 시공 계확에도 많은 부분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전체 외단열 계획하였으며 

골조 - 비드법 2종3호 단열재 접착 및 화스너 고정 - 미장 - 메쉬 - 미장 - 타일 접착

 

이렇게 하려고 합니다.

타일은 제곱미터당 20kg 정도이며 접착제 2kg 정도의 하중이 될것 같구요.

골조 표면을 깨끗이 하고 라본앤뎁 으로 접착하면 충분한 접착 강도가 나올거라 생각하는데요.

주변에 건축관련 지인들은 단열재가 떨어져 나가는걸 숱하게 봤다면서 강하게 말립니다.

정 하고 싶다면 일체타설을 해서 강하게 단열재를 붙들고, 열교는 단열재를 거푸집에 부착할때 틈을 모두 우레탄폼으로 막아주고 테이프를 바르면 된다고 하는데요... 핀도 부러뜨려서 단열재 속으로 묻고 위에 폼을 쏘면 된다고 합니다.

 

실제 단열재가 탈락 우려가 있다면 대형 사고겠지요... 그래서 더욱 걱정이 됩니다.

 

1. 그냥 정석대로 골조표면 깨끗하개 청소하고 접착제와 화스너로 단열재를 고정하는게 좋을까요?

2. 혹은 지인 말대로 일체타설을 하되 열교 보완을 해서 단열재를 강하게 붙드는게 나을까요?

 

사실 협회글은 검색을 해서 수 없이 읽기는 했습니다. 1번에 좀 더 가까운 것 같기는 하지만 타일이 보통 타일 보다 조금 더 무거워서 고민이 큽니다.. 

 

시공사는 두 방식 모두 수용 가능하고..  제가 원하는대로 하겠다고 합니다.

이 글도 누군가 저와 똑같은 고민을 하는 건축주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미리 댓글 감사합니다 ^^

 

Comments

M 관리자 2023.12.05 17:17
안녕하세요.
어떤 타일인지 알 수 있는 링크나 사진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어렵다면, 타일 두께와 뒷면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려 주시도 괜찮습니다.
G knockman 2023.12.05 22:22
관심 가져 주셔서 고맙습니다.
아키타일 호소와리보더 입니다.
G knockman 2023.12.05 22:28
아래 링크의 전용접착제로 몰탈면에 부착합니다.
http://www.architile.co.kr/product/list?type=product12
M 관리자 2023.12.06 10:16
규정대로 단열재를 후부착하고 접착몰탈과 화스너로 고정을 해도 괜찮습니다.
화스너는 단열재 장당 네 모서리와 가운데 두 개를 박아야 합니다. 3층이라면 가운데 세개가 필요하고요.
G knockman 2023.12.06 14:25
알려 주신대로 타설 후 창호를 선시공하고, 그 후에 단열재 부착하고 방수 공정 거쳐서 해서 잘 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
M 관리자 2023.12.07 14:55
감사합니다.
단열재를 붙히기 전에 창틀과 구조체 사이의 방수조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