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교차지붕의 래프트밴트

G swbhouse 3 5,316 2014.06.07 08:23
T자로 교차하여 만나는 지붕의 경우 래프트 밴트의 설치와 연결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지붕도에서 보시다 시피 서로 교차되는 지붕은 이중으로 구성되어(다락으로 오픈천정구조)
양쪽공히 소핏밴트와 연결이 불가능 합니다.
이런 경우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지 못하게 되는데 
그래도 래프트 밴트를 설치해야 하는지요?

PS:
지붕단열은 수성연질폼 220MM이며 래프트사이에 수입래프트밴트를 설치하고
실내에 열교환기설치 예정입니다.
교차지붕밴트.jpg


Comments

M 관리자 2014.06.07 11:13
안녕하세요..
이런 경우를 위한 전용제품이 있기는 합니다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보지는 못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제품입니다.
.
M 관리자 2014.06.07 11:14
여러가지 유사한 제품이 있으며, 설치한 후의 모습입니다.
.
M 관리자 2014.06.07 11:22
우리나라에는 아직 없기 때문에 알루미늄을 접어서 만들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경우 각 최소크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다만, 이와는 별개로 두가지를 말씀드리고 싶은데요.

한가지는 내부통기지붕입니다.
저희 협회는 공식적으로 내부통기지붕을 권장하지 않고 있는데요.. 여러가지 문제점은 이미 아시리라 생각이 되며, 아무리 잘 해도 아래 도면의 "점선원형"의 부분에 결로를 피할 수가 없는 문제가 상존합니다.

두번째는 수성연질폼입니다.
이 제품은 물론 많은 장점이 있고, 투습이 되기 때문에 목구조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만 이 제품을 목조에 사용하는 것에는 도면과 같이 12.5T 석고보드를 두겹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수성연질폼이 "불연"가 아니라 "난연2급"이기 때문입니다. "난연2급"은 불이 안붙는다는 뜻이 아니라, 불이 붙되 9분 정도 버틸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 "난연2급"을 과연 목조에 사용하는 것이 옳은가? 라는 많은 고민과 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투습성은 있다고 하더라도 모세관현상이 없기 때문에 들어간 습기가 상부의 OSB와 만나면서 결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내부측에 가변형방습지가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