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오래된 목구조주택의 지붕 단열 및 벤트 공사 문의와 웜루프 방식의 이해

1 경로당회장님 4 10,501 2014.06.27 13:59




며칠 전에 질문을 올렸었는데 이번에는 지붕에 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일단 제가 웜루프를 이해하고 있는 건지 조언 바랍니다.

스크린샷 2014-06-27 오전 10.26.49.png

용마루 부분에 의문이 들어 다른 게시물에 있는 그림으로 합성하였습니다.

투습이 되는 단열재를 사용해야 하며, 단열재를 용마루 부분까지 기밀 시공하는 것이 맞는거죠?

그리고 방수가 되는 지붕 외장재와 단열재 사이로 공기가 순화 되어 용마루로 빠져나가는 구조인 것이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리고 제가 구입한 60년이나 된 목조주택 지붕 사진입니다.(재래식 일본 중목구조인가요?)

욕실 환기구에 소형 캠코더를 넣어 촬영하였습니다. 영상 캡쳐라 화질이 좋지 않네요.



스크린샷 2014-06-26 오후 9.07.34.png

저런 구조의 지붕에 샌드위치 판넬 50t + 아스팔트 슁글이 얹혀있습니다.







스크린샷 2014-06-23 오후 11.53.05.png

외부에서 본 건물 모습입니다.






스크린샷 2014-06-27 오후 1.23.38.png

스크린샷 2014-06-27 오후 1.24.25.png

캠코더로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스케치업으로 대충 그려봤습니다.

지붕이 이런 식으로 되어있다고 봅니다.




제가 웜루프 방식의 지붕을 시공하고 싶습니다.

저의 계획은 현재 샌드위치판넬와 아스팔트 슁글에 방수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내부 지붕벽으로 쓰인 나무판을 받치고 있는 각상 밑으로 서까래를 추가 보강하여

서까래 사이에 투습이 가능한 단열재(그라스울, 암면 등)를 

기밀하게 벽체와 만나는 부분까지 채워 넣고

단열재 아래로는 석고보드를 시공하려 합니다.

쉽게 말해 내부 지붕 나무판을 받치고 있는 각상 만큼의 공간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고

지붕위에 올라가 용마루 부분을 조금 잘라내어 용마루 벤트를 만드려고 하는데

이렇게 시공하면 되는건가요? 어려운 작업인 줄 알지만 혼자서 해볼 생각입니다.

당연히 시공중 생기는 틈새는 우레탄폼들을 이용해서 기밀할 생각이고요.

더 좋은 방법이 있거나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거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Comments

G 홍도영 2014.06.27 17:48
글을 읽고 있자면 어떤 분들이 보시기에는 좋은 내용이고 이치에 맞는 사항도 있으리라 보지만 제가 보기에는 타협이 불가한 그런 내용도 있습니다. 이건 눈을 감고 넘어갈 사항이 아닌 그런 것 말입니다.
경제적으로 스스로 열심히 공부해서 시공을 하시려는 노력은 좋다고 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공업체는 아마도 질문하신 분보다 더 시공을 못할 가능성도 사실 높습니다.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 할지라도 제 입장에서는 협회에 조언을 받기를 권합니다.
물론 공사를 하신 후에 문제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를 절약하기 위해 전체 모든 건물을 건다는 것은 제입장에서는 더 비경제적인듯 합니다.
많은 돈은 들여 무엇을 구입할 경우 잘못되면 잃는 것은 금전이지만 싸게해서 무엇을 구입할 경우 잃는 것은 금전뿐 아니라 전체입니다.
협회에서도 이것이 딜레마일 겁니다. 저희는 모두 도와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눈으로 보고 확인을 해도 합당한 시스템을 조언하기가 어려운 것이 기존 건물인데 거기에 눈까지 감고 무슨 색이냐고 물으면 이건 따뜻하니 어둔운 색일 것이라고 밖에는 할 말이 없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책임도 있겠지요!
단열만 우리가 강조하면 집이 썩을 수가 있고 습기를 보자면 다른 것을 또 소홀히 할 수가 있습니다. 그에 합당한 중간을 찾는 것이 우리의 일입니다.
그러니 저는 도와드리기에 거리상 한계가 있지만 협회와 시간을 조율해서 방향을 한 번 정해 보시길 바랍니다.
1 경로당회장님 2014.06.27 19:22
사실 제가 아직 어려서 자금이 부족하기도 하지만, 괜히 비싼 금액 들여서 집을 고쳤는데 만족하지 못하고 후회할 일이 생길 것 같아서 많은 부분을 직접 공부하고 시공하려고 마음 먹었습니다.
 몇 몇 업체에 리모델링 견적을 내봤지만 어떤 종류(구조재)의 주택인지는 물어보지도 않고 열반사 단열재+비드법 단열재+석고보드를 3중 단열이라 부르며 견적을 내어주더라고요.
일단 저도 공부를 많이 하고 협회에서 자문만 구하든지, 시공까지 의뢰를 할 지 고민 해봐야 겠습니다.
저는 굳이 패시브급이 아니더라도 여름에 덜 덥고, 겨울에 덜 추운 쾌적한 집에서 살고 싶습니다.
그리고 혹시 패시브하우스 설계&시공 디테일 책 쓰신분 맞으시죠?
요즘 그 책을 읽고 있는데 이렇게 제 질문에 조언 해주시니 영광입니다.
아직 생소한 것이 많아서 책을 읽는 게 느리지만. 꼼꼼히 챙겨 보겠습니다.
좋은 책을 통해 지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14.06.28 12:55
확실히 목조가 수명이 기네요.. 60년이면...

제시하신 방법은 일단 제대로 하려면 너무 많은 공임과 시간이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이 정도의 건물을 직접 시공하고자 하신다면.. 일단 목공에 대한 경험이 있으신 분이라 생각이 되고..수많은 경우의 수를 글로 쓰기에는 어려워 보이므로 한번 시간내서 협회로 방문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협회로 전화주시고 시간을 맞추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 경로당회장님 2014.06.30 20:25
사진을 더 찍어보았는데 지붕에 사용된 목재는 상태가 꽤 괜찮아보였습니다.

저는 그냥 손재주가 조금 있고 직접 하는 것을 좋아하는 스타일이지만 목공기술같은건 없습니다. 일단 더 머리를 굴려보고 정 안되다 싶으면 연락후 방문드리겠습니다.

좋은 조언들 많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