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주택 리모델링 문의

1 개기월식 5 3,985 2014.06.26 20:48
안녕하세요
우선 협회의 주옥같은 글들에 감사드립니다
작년에 3층 단독 주택을 구입해 3층은 아버지와 동생이 작년에 들어갔고 올해 저희 식구가 2층에 들어가려 합니다.

저희집은 패시브까지는 아니어도 쾌적한 집으로 수리하고 싶은데 우선순위와 대략적인 비용 절차 등이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10월 1차 공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고민을 오랬동안 해서 질문이 많네요;;;

1. 외단열
1.0. 저희 집이 남향인데 북쪽이 많이 추웠습니다. 서쪽은 창도 없는데 곰팡이가 피었었구요
1.1 이를 해결하려면 외단열 공사를 해야 하는 건가요?
1.2 북쪽과 서쪽만 하려고 하는데 가격이 절반이 되는게 맞지요?
1.3 건물 길이는 잘 모르지만 넓이가 125.73m2 이기 때문에 가로와 세로의 합을 대략 23미터 높이는 10미터 정도 되니까 북측과 남측만 한다면 면적이 대충 230m2 나올 것 같습니다. 이러면 외단열 비용이 어느정도 나올까요?
1.4 배관이 있는데 가격이 많이 올라갈까요?
1.5 2층이 1층보다 돌출된 부분이 있는데 바닥 부분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1.6 지붕은 단열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2. 환기장치
2.1 환기장치 하나로 2층과 3층 향후 1층까지 함께 사용할 수 있는지요?(제어는 각각할 필요 없음)
2.2 필터의 수명과 교체 비용은 어느정도인가요? (유지보수 비용이 궁금해서요)
2.3 다용도실에서 단순히 주방 / 거실쪽으로만 환기 시키는 수준에서 공사를 하면 어떨까 구상중인데(방문을 열어 환기 ;;) 설치비와 공사비는 어느정도 할까요?
2.4 예전에 독일산을 추천하셨는데, 국산은 아직 많이 부족한가요?

3. 창호
3.1 벽체가 엷은데 이중창 설치가 가능한가요?

3.2 외기 단창 발코니 단창 거실
이렇게 되어있는데 거실쪽에 뽁뽁이를 붙여 두었는데 이렇게 해도 열 손실이 많나요? 이중창은 필수인가요?

3.3 현재 2층은 한쪽 창이 열리지 않고 있더라고요. 창호를 새로 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이런 문제가 나올 수 있을까요?

4. 기타-크랙
4.1 사진만 보고 판단하실 수 있으신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런 크랙은 왜 생기는지 아시는지요? 이게 단열에 문제가 될까요? 또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5. 이자지원 사업도 협회를 통해 진행할 수 있는 거죠?

감사합니다.
사진은 비밀글로 따로 드렸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4.06.27 02:04
양이 많고, 제가 종일 지방 출장이라 주말에 정리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M 관리자 2014.06.28 18:59
가장 큰 요인은 알루미늄프레임+16mm 복층유리를 사용한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단열을 보강하면 나아지겠지만, 비용만큼 만족을 느끼실지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단 질문주신 것에 대한 답변을 드리고, 다시 질문을 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1. 외단열
1.0. 저희 집이 남향인데 북쪽이 많이 추웠습니다. 서쪽은 창도 없는데 곰팡이가 피었었구요
1.1 이를 해결하려면 외단열 공사를 해야 하는 건가요?
>>> 외벽의 상태가 무척 좋기 때문에 내단열로 갈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만, 비용은 비슷해 보입니다.

1.2 북쪽과 서쪽만 하려고 하는데 가격이 절반이 되는게 맞지요?
>>> 공통 경비가 있기 때문에 딱 절반이 되지는 않습니다. 60% 정도로 생각하시는 것이 무난할 듯 합니다.
그리고, 모서리에서 딱 끝나게 하면 남/동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좀 더 검토를 해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벽돌마감은 뒷 면에 공기의 흐름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집을 다 감싸지 않는다면, 단열을 한다고 해도, 단열을 하지 않은 쪽에서 들어간 외기가 단열을 한 벽체 뒷면으로 흐를 수 있어 단열 효과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잘라서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그럴 바엔 내단열을 제대로 하는 것이 더 나아 보입니다.

1.3 건물 길이는 잘 모르지만 넓이가 125.73m2 이기 때문에 가로와 세로의 합을 대략 23미터 높이는 10미터 정도 되니까 북측과 남측만 한다면 면적이 대충 230m2 나올 것 같습니다. 이러면 외단열 비용이 어느정도 나올까요?
>>> 배관 등의 정리 비용까지 12만원/m2 정도일 듯 합니다.

1.4 배관이 있는데 가격이 많이 올라갈까요?
>>> 일시적으로 가스 배관을 잘라내고 이어야 하기 때문에, 그 기간동안은 가스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외부를 바꾸면 이런 불편함이 있고, 내단열을 하면 실내생활이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1.5 2층이 1층보다 돌출된 부분이 있는데 바닥 부분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 바닥도 단열재로 감싸게 됩니다. 이 비용을 포함한 것이 위의 가격입니다.

1.6 지붕은 단열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 당연히 하면 좋겠지만, 전체 비용을 고려해 보셔야 할 듯 합니다.
지붕에 단열을 추가하면 약 1,300만원 정도 들어갈 듯 합니다.

2. 환기장치
2.1 환기장치 하나로 2층과 3층 향후 1층까지 함께 사용할 수 있는지요?(제어는 각각할 필요 없음)
>>> 두 개층은 몰라도 세 개층까지는 무리립니다.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2.2 필터의 수명과 교체 비용은 어느정도인가요? (유지보수 비용이 궁금해서요)
>>> 필터는 일년이 두 번 교체를 해야 하며, 한번에 2~3만원 정도 입니다.


2.3 다용도실에서 단순히 주방 / 거실쪽으로만 환기 시키는 수준에서 공사를 하면 어떨까 구상중인데(방문을 열어 환기 ;;) 설치비와 공사비는 어느정도 할까요?
>>> 괜찮습니다. 비용은 700만원 정도일 듯 합니다. 다만, 천장에서 배관이 일부 노출되어야 합니다. (천장 속으로 넣으려면 천장마감을 건드려야 하기에...)

2.4 예전에 독일산을 추천하셨는데, 국산은 아직 많이 부족한가요?
>>> 지금은 국산을 사용합니다. 독일산은 위의 가격으로 한참 부족합니다.


3. 창호
3.1 벽체가 얇은데 이중창 설치가 가능한가요?
>>> 사진으로 보아서는 가능해 보입니다.


3.2 외기 단창 발코니 단창 거실
이렇게 되어있는데 거실쪽에 뽁뽁이를 붙여 두었는데 이렇게 해도 열 손실이 많나요? 이중창은 필수인가요?
>>> 유리도 그렇지만, 알루미늄프레임으로 인한 손실이 클 듯 합니다. 외부창만이라도 이중창을 하면 좋을 듯 합니다.


3.3 현재 2층은 한쪽 창이 열리지 않고 있더라고요. 창호를 새로 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이런 문제가 나올 수 있을까요?
>>> 창호를 이중창으로 바꾸면 결국 미서기 방식이기 때문에 양쪽 창이 다 열리는 구조가 될 듯 합니다. 단열+환기장치 가동으로 문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4. 기타-크랙
4.1 사진만 보고 판단하실 수 있으신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런 크랙은 왜 생기는지 아시는지요? 이게 단열에 문제가 될까요? 또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 개구부 주위에 철근 보강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이 첫번째 원인이고 일부 구조체에 유동이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균열의 폭이 늘어나지 않고 정지해 있다면 초기 균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조의 수명에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닌 것으로 여겨집니다.


5. 이자지원 사업도 협회를 통해 진행할 수 있는 거죠?
>>> 저희 협회가 직접은 하지 않고, 협회 회원사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 글 올려주십시요.
G 박달재 2014.06.28 23:03
대단하십니다.
관리자님의 열정 말씀입니다.
M 관리자 2014.06.29 13:47
부끄럽습니다. ㅠㅠ
1 개기월식 2014.06.29 21:34
정성껏 올려주신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감동입니다)
추가적으로 질문이 있어 질문을 하나 더 올려 드렸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3786&page=0&sca=&sfl=&stx=&sst=&sod=&spt=0&page=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