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방습층 궁금증

G 집짓기 2 724 01.21 08:00

안녕하세요. 유튜브하고 사이트에서 읽다가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드려요.

 

첫번째는, 방습층은 내단열이든 외단열이든 단열재의 실내(측)방향에 위치한다고 댓글달아주신 걸 봤는데 내단열과 외단열이 혼용되는 경우는 어떤식으로 방습층이 어떻게 연속적으로 시공이 될 수 있나요? 이상적으론 외단열과 내단열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물리적으로) 방습층이 연결되어야 할 것 같은데 실제시공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을 것 같아서요. 아니면 각각 내/외단열 부위의 방습층이 벽면의 안쪽/바깥쪽에서 위치상 어느정도 겹치게 되면 방습층이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을까요.  별개로 목조건물이 아니라면 외단열의 경우엔 방습층이 필요하지 않다고도 봤던 것 같은데요.

 

두번째 질문은 특히 내단열에 방습층을 시공하는 경우에 기밀테스트 등을 하는 것을 보았는데, 실제로 생활하게 되면서는 건축주든 세입자에 의해서 방습층이 손상되는 경우가 현실적으로는 발생할 것 같은데요. 모든 사람들이 패씨브건축에 관심있는 건축주님들 같지는 않을 것이기에..예를 들어 무심코 벽에 액자를 건다던지....(..억지 예이지만)인터넷 기사님이 와서 라우터나 셋톱박스를 이상한 위치에 달아둔다던가. 하는 일이 발생하면 현실적으로 이 부서진 방습층 주변에 어떤 일이 발생할지 궁금합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고 관리자님께서 답해주실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게 어느정도 생활하면서 조심해서 살면 되는 문제인지, 필연적으로 사이즈와 상관없이 방습층에 난 데미지는 곰팡이로 연결되는 것일지요? 아니면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있을까요?

Comments

10 잡자재 01.22 11:30
내단열과 외단열이 혼용되는 경우에는 말씀하신대로 방습층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결되게 됩니다.
방습층을 시공하게 되면 방습층 안쪽에 단열층을 설비층으로 사용하기보다 방습층 안쪽으로 별도의 설비층을 만들어줍니다. 이 설비층이 방습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에 벽에 액자를 거는 등으로 방습층이 손상되지 않게 됩니다. 임대의 목적이라면 방습층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설비층을 별도로 두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M 관리자 01.24 09:51
잡자재님 감사합니다.

--------
방습층을 비교적 쉽게 이해하시려면..
단열재의 내부 또는 단열재의 외측에서 온도가 외기 온도에 가까워서, 실내의 습기가 들어갈 경우.. 그 속에서 결로나 곰팡이를 유발하는 구성인가?.. 를 자문해 보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만약 양단열이라면...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온도를 보시면 되는데.. 예를 들어.

외부단열재-콘크리트-내부단열재의 구성에서
외부 단열재와 내부 단열재의 성능 비례가 3:1을 넘는다면... 내부에 있는 "1"이라는 단열재의 외측 온도가 낮게 내려가지 않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으므로 방습층은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1:3의 구성이거나 1:1의 구성이라면, 문제가 생기므로, 실내측 단열재의 실내측에 방습층이 필요합니다.

100% 외단열이고, 콘크리트 구조라면... 콘크리트 벽체 자체가 방습층의 역할을 하기에, 별도의 방습층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것이고요.

만약 내단열이라면..
단열재+석고보드의 구성이 되고, 대개의 경우 석고피스를 사용해서 고정을 하므로 단열재 표면에 손상이 있게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단열재를 관통하는 작업 (통신선 등등)이 있을 경우라면 방습층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방습층에 대한 사회 전체에 걸친 규범이 아직 없는지라,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해외 영화등을 볼 때, 액자 등이 내벽에 걸려 있는 것이 대부분이라든가.. 주로 벽난로 상부나 가구 위에 올려 놓는 것을 보시면 이 의미를 이해하실 것 같습니다.
즉 어느 한 현장이 스스로의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설비층 등을 둘 수도 있지만, 이 모든 것이 다 돈이라서요..

그래서 항상 외단열이 우월한 가치를 가집니다. 실내는 콘크리트+석고보드만 있기에, 거의 모든 해위에 대해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 역시 사회적 약속이 아직 되어 있지 않기에.. 외벽에 달리는 그 수많은 이물질들 (에어컨 실외기, 전기/통신케이블, 간판 등등)에 의한 손상이 생길 수 있긴 합니다.

그러므로 정리하자면...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대비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없는 것보다는 조금의 훼손이 더 나은 건전성을 보여 주기에, 방습층은 있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