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습식주방 단올림 채움재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G 이름 8 268 2023.12.27 02:09

습식주방을 위해 단올림을 하고자하면 배관구경과 구베에 따라 100-200미리를 올려야 하는데 물론 몰탈이나 벽돌로 올린 다면 좋겠습니다만 경제성이랑 작업성 부분에서 적절한 채움재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제가 고민중인건 테두리를 벽돌로 쌓은뒤

 

1. 석분-레미탈-방수층-타일

2.토목용eps-사모래-레미탈-방수층-타일

정도로 생각중입니다 

 

2번의 경우 eps를 폼본드로 접착한다 하더라도 거동으로 방수층에 균열이 생길까 걱정입니다 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12.27 23:02
아래 내용이 궁금합니다.
1. 건축물의 종류
2. 공사 중인지, 아니면 리모델링인지
3. 주택의 주방인지, 근생의 주방인지
4. 올리고자 하는 면적은 얼마나 되는지
G 이름 2023.12.28 00:57
Rc조 입니다
리모델링이라 피복두께 때문에 바닥을 깔수 없는 상황입니다
근생의 영업용 주방입니다
약 15평 가량 됩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3.12.28 01:16
그럼 벽돌로 테두리를 잡고, 그 내부를 100mm EPS 로 덮고 나서, 그 위에 사모래없이 약 50mm 이상의 레미탈이라면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이때 사용하는 EPS는 가급적 600x1200 정도의 작은 크기로 잘라서 까는 것이 울렁거림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레미탈을 올리기 전에 #6-100x100 와이어메쉬를 깔고 레미탈 작업을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G 이우석 2023.12.28 09:13
넵 감사합니다 그럼 eps—메쉬-50mm이상 레미탈-도막방수-타일 레이어로 마감하면 될까요? 가격적으로 eps가 석분보다 쌀지 추천해주시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eps는 폼본드로 바닥과 서로 접착시키면 될지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23.12.28 11:30
네 순서는 그렇습니다.
가격 때문에 권해드린 것은 아니고, 전체적인 무게의 증가를 고려한 것입니다. 리모델링이라서요...
G 이름 2023.12.29 00:00
혹시 가격은 석분이 더 쌀지 궁금합니다
석분을 저만큼 쌓으면 구조적 문제가 생길까요?
G 이름 2023.12.29 00:30
먼저 많은 질문 죄송합니다 몇가지 질문만 더 드리겠습니다. 레미탈은 물과 교반하여 미장 해야 할까요 아니면 레미 탈을 부은 후 물조리개로 물을 주는 방식으로 경화 시켜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로 본 현장이 집 수정이 없는 지하층인데 따라서 200 미리를 단올림한 후 윌로 집수정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제 지식에서는 이게 최선인데 혹시 집수정을 지금의슬라브 레벨 아래로 낮출 방법이 있을지요 전 없을꺼 같아 단올림을 하려 합니다
M 관리자 2023.12.30 16:26
가격은 석분이 더 저렴합니다. 다만 석분을 권해 드리지 않은 것은 하중의 문제도 있지만, 그 두께의 석분은 다짐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침하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로 인해 방수에 문제가 생기거든요.

그리고 이를 떠나서, 구조적 문제의 여부는 제가 판단을 할 수는 없습니다. 그 건물의 노후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저 내구연한과 거의 무관할 수 있는 방식을 권해 드린 것 뿐입니다.
다만, 글을 읽어 보니 지하층이고 맨 하부층 바닥으로 보입니다. 이럴 경우는 몰탈 100%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구조에 문제가 되지 않거든요.

일단 물과 교반하여 미장을 하고, 표면은 별도로 시멘트풀을 부어서 강화를 시켜야 도막방수가 가능해 집니다.
지하층에서 레벨을 낮출 방법은 딱히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