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외단열 농막 구조

G 매뱅이 6 556 2023.12.16 07:12

제가 생각한 외단열 농막 구조 개념에 대해 현실성이 있는지 조언부탁드립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초짜의 망상이 아니길 바라면서요.

 

아래는 농막하부 코너부위 개념도입니다. 망상적인 개념이 있으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슬라이드1.JPG

1,2 : 강관 구조물   3 : 바닥 장선 강관   4,5 : 내수합판 (외부면 도막방수)   

6,7 : 하부  XPS 고정용 빙부목 각재   8,9 : 단열재   10 : 실내 바닥 

 

외벽은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하부 바닥 부위는 단열재를 부착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나름대로 생각한 방법이 아래와 같은 방법입니다.

슬라이드2.JPG

바닥 하부에  XPS를 부착하는 더 현실적이고 용이한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Comments

6 티푸스 2023.12.16 16:31
이래 저래 생각할 것이 많아 보입니다.....
구조를 외단열에서 내단열로 바꾸는 것이 수월해 보입니다.
공정이 너무 복잡할 것 같아요...
M 관리자 2023.12.16 22:17
두가지로 나누어 말씀을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외부 내수합판 층을 따라서 기밀층을 형성해야 합니다. 즉 내수합판의 조인트 표면에 기밀테이프로 붙혀서 기밀층을 형성해야 합니다.

구조형식은..
구조체 뼈대를 세우고, 그 아래에서 위로 작업을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바닥에서 높이도 꽤 있어야 하고요.  그래서 해외의 경우 대부분 농막규모(cabin)는 목구조로 하여, 바닥의 장선 사이에 단열재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하는 것인데요.
작업의 순서는 한번 깊이 고민을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G joonnoh 2023.12.17 09:52
기초 기둥과는 어떻게 연결이 되죠?
M 관리자 2023.12.18 02:46
그림의 "강관골조"가 내려와서 기초와 연결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G 너른배미 2023.12.18 08:20
감사합니다.

농막은 창고니까 단열에 신경쓸 필요는 없는데 이왕 하는 김에 단열도 해보자는 생각이었습니다. 여러가지 드는 노력에 비해 얻는 것이 작을 것 같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주거용으로 사용 목적을 넓히는 것이 잘못된 생각이었네요.
M 관리자 2023.12.18 14:05
창고라면, 말씀하신 것 처럼 이렇게 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