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rc건물 기초미장 문의드립니다.
G 마틴킴 | 댓글 3
라이브영상을 보고 골조품질의 중요성을 알아가고있습니다. 다음주에 기초타설을 하게 되는데 피니셔를 돌리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저는 돌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는데 시공하시는 분과 말을 나누었더니 오히려 면이 매끄러우면 나중에 기포가 잘 안붙는다도 하더라구요. 피니셔를 돌리는… 더보기
사모래층 위 방수시공?
G Joseph.a | 댓글 11
안녕하십니까 항상 고생이 많으십니다. 최근에 욕실 리모델링 때문에 여기 게시판들 둘러보면서 정보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 유튜브 영상을 보고 의문점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영상 자체를 올리면 저격이 될 것 같아서 비밀로 올리겠습니다.) 상황을 보면 레미탈을 풀어서 물주듯이 해서… 더보기
메지 깨졌는데요
2 풀신 | 댓글 5
메지가 비었을 때 실리콘이 더 낫지 않나요? 방수액에 백색시멘트 넣어야 한다는데 협회에서 하지 말라는 시멘트 액방이랑 다를게 없지 않나요? 감사합니다~
역전지붕 위 높은 태양광 설치 문의
G 피어 | 댓글 4
안녕하세요, 건전한 건축문화를 위한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다세대주택 콘크리트 골조가 완성된 상태에서 기존 설계는 벽면 외단열 + 평지붕 내단열로 되어 있었으나, 역전지붕으로 변경할 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 다만, 기존 설계에 태양광이 3m 높이로 지붕처럼 만들어 통행가능하도록 설계돼 있… 더보기
웝업 인술레이션 보드 - 바닥난방배관 단열
G 누리1호 | 댓글 6
웜업인슐레이션보드 라는게 있는데 신축이 아니어서 바닥에 단열재을 두껍게 깔지못할 때 정말 필요합니다. 잡작재에서 수입 좀 해주시면 안될까요? 감사합니다! 유튜브 링크입니다. https://youtu.be/kFgkhmK7_lg?si=oCg6Q1rcooTvHiOR
신축아파트와 전열교환기 교체에 대한 질문
G ㅇㅇ | 댓글 5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신축아파트에 입주하게 되었습니다. 신축아파트는 아시다시피 내단열입니다. 또한 단열, 기밀성 등을 제대로 시공하였는지.. 좀 의심이 가기도하고요... 패시브하우스만큼의 품질은 당연히 안나올것인데, 이 상태에서 전열교환기만 좋은 제품으로 교체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기… 더보기
상가주택 건축비 등
G Unknown | 댓글 1
일반적인 신도시 점포겸용택지에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상가주택을 건축한다고 하면 대략적인 건축비가 설계, 감리 포함하여 어느 정도 들까요? 철콘을 가정합니다. 1층에는 120제곱미터 정도의 상가 2층에는 59제곱미터(방 2개, 화장실 2개) 2호실 3, 4층에는 표준주택 53d-o 정도 … 더보기
신축 아파트 전열교환, 단열, 냉방 시스템 문의 드립니다.
1 지아 | 댓글 3
1. 안녕하세요. 신축 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냉방 시스템 문의 드립니다. 기본 전열교환기는 설치되어 있고 에어컨 배관도 설치되어 있다고 합니다. 아직 에어컨은 설치를 하지 않은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공조식으로 냉방 급기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을까요? 전열교환기에 연계해서 사용하는 시스… 더보기
신축아파트 안방 외벽쪽 붙박이 설치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G 전빈 | 댓글 11
안녕하세요! 붙박이 시공때문에 질문드려봅니다. 이번에 입주하는 신축아파트 25층이고, 안방쪽에 붙박이장을 설치하려고 계약까지 다 해놓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외벽이라는 것을 최근에 인지하게 되었고 업체측은 문의하니 요즘은 문제안생긴다고는 하는데 불안한 마음이 있어서요.. 사진과 같은 위치… 더보기
테라코타 실물모형시험성적서
1 공이리 | 댓글 3
안녕하세요 저는 건축설계 실무를 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요즘 법이 바뀌어 설계하면서 외장재를 쓸려면 실물모형시험성적서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게 되네요.. 혹시 테라코타 실물모형시험성적서를 구할 수 있을까 해서 질문드려봅니다ㅠㅠ 없으면 내단열로 적용할려고 합니다... 참고로 벽O 업체에 … 더보기
옥상방수 물고임 해결 방안 문의(현재 중도2차까지 도포)
G 최강건축 | 댓글 2
안녕하세요. 옥상방수공사를 하고있는데 마감품질이 너무 좋지 않습니다. 기존 무근을 깨고 몰탈(+섬유보강)을 다시쳤는데 휘니셔를 제때 돌리지않아 마감면이 너무 좋지 않았어요. 현재 중도(2차)까지 했으나 워낙에 바탕면이 고르지않았어서 심각합니다. 사진 첨부합니다. - 사진1. 크랙이간 것… 더보기
아파트 창문 재 설치 문의
G 보노보노 | 댓글 1
안녕하세요? 평소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부모님댁 지울때 나름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이번에 이사를 하게 된 곳이 발코니 확장을 한 집인데 발코니 확장을 하면서 제대로 공사를 안해서 좀 추운 것 같습니다. 일단 창문이 걍 단창 미닫이이구요. 외벽에 추가 단열을 했는지 의심스럽습니… 더보기
임시사용중 수직증축 가능여부
1 santa8030 | 댓글 2
기존 허가 받은 규모는 지하2층 지상 10층입니다. 현재 지하2층 지상1층 공사가 완료되어 임시사용승인후 1년뒤에 나머지 지상 9개층을 공사하면서 사용 가능할까요? 혹시 건물 운영중에 공사 경험있으신분 의견 부탁드립니다.
바닥 단열계획할 때 이중으로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G 미미누 | 댓글 5
바닥 단열재 계획 할 때 예를 들어 중간 층에 비난방 공간(실내)이 있다고 가정하면 저런식으로 위층 아래층 바닥단열을 이중으로 해야되나요..? 참고로 저기는 1층까지 그려져있지만 위에 4층까지 더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토목용 eps 구입은 어디에서 해야하나요?
G 직접집짓기 | 댓글 10
안녕하세요. 이번에 직영공사를 준비중인데 궁금증이 있어서 글 올려봅니다. 패시브협회의 얕은기초 방법으로 매트기초를 치려고 하는데 300t토목용 eps는 어디에서 구입을 해야하나요? 그리고 설계도면상에는 thk125 단열재를 버림위에 설치하라고 되어있는데 thk125대신 토목용eps만 설… 더보기
잡자재 싸이트에서 판매하는 배수판 을 꼭 써야 합니까?
G 세발아찌 | 댓글 12
배송료도 공지 않되어 있고 제품소개내용보면 옥상에외단열방수시 꼭 써야하는것 처럼되어있습니다 배송비가 ㅎㅎ 깜놀 미리 싸이트에 구매전 배송비를 중량별로 표를 만들어 놓던지 해야지... 안그렇습니까? 일반 조경용 배수판사용시 문제가 많이 발생합니까? 단가가 타일보다 비싸니 안그래도 건축주는… 더보기
락울외단열만으로 중부1지역 단열기준 충족 시공디테일은?
1 이준노 | 댓글 6
안녕하세요..스틸하우스에 외단열만으로 중부1지역~패시브하우스 기준의 단열성을 갖추려고 하고 있습니다.고밀도 글라스울이나 락울로 200mm이상두께로 외단열이 되어야 할텐데, 국내에서 자재수급과 시공가능한 무기계외단열 시공 디테일이 있을까요?그리고 중부1지역 단열기준을 외단열만으로 충족시킬… 더보기
리모델링학교의 외벽 건식벽체 관련
G 어맹란 | 댓글 4
안녕하세요 학교리모델링 설계를 진행 중입니다. 건물이 오래되어 하중을 태우는 것이 무리라서 개구부 주변 외벽을 건식으로 짜려고 합니다. 찾아보니, 내화기준외에는 딱히 지키라는 기준이 없는거 같은데.. Q1. 법적으로 내화기준 외에, 외벽에 건식벽체 사용 시 지켜야 하는것이 있는지.. Q… 더보기
여기다 올려도 될지 난방 분배기
G 용산 | 댓글 1
이렇게 생긴 난방 분배기는 어디가 환수관이고 어디가 공급관인가요? 맨 앞에 밸브 있는 열량계랑 정유량 밸브가 있는 곳이 공급관인가요? 이 곳에서 정유량 밸브는 환수관에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는 글을 봤는데 정유량 밸브가 공급관에 설치 되어 있으면 잘못된건가요?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단열재 두께에 관해서
G 시나공 | 댓글 10
안녕하세요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보면 [별표1] (열관류율 기준) / [별표3] (단열재의 두께) 가 있습니다. 결국 단열재의 두께도 열관류율로 환산하여 볼 수 있는데요. 환산하여 계산할 경우 0.01~0.02 차이가 납니다. 이는 구조체나 기타 마감재를 고려하여 단열재의 열관류율보다 더… 더보기
자파현상으로 보이시나요?
G K | 댓글 2
안녕하세요. 최근 '자파현상'에 대한 정보를 구글에서 검색하다가 제 상황과 유사한 경우를 겪으신 분의 경험담을 읽고, 여기에서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저의 문제는 창문에 갑자기 금이 생긴 것에서 시작됐습니다. 현재 집주인은 이 문제를 제 과실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 금은 창문 손잡이를… 더보기
방문 경첩관련 질문입니다.
G 정구지 | 댓글 2
안녕하세요.외국 유튜부 를 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진건데..방문경첩을 우리는 위에두개 아래하나 다는데..외국은 아마도 미국 같습니다만..3등 분을 해서 다는 이유가 있을까요? 내구성 차이인지 아니면 그냥시공방식 차이인지..3d경첩을 다는 히든도어 세트를 보면 그것도 3등분 으로되있던데..그… 더보기
외단열미장마감 위에 타일마감하려 합니다. 단열재 탈락 우려는 없을까요?
G knockman | 댓글 6
안녕하세요. 저는 용인에 RC 로 신축 주택을 건축하려는 건축주입니다. 패시브 협회의 글들을 읽으며 큰 도움을 받아 왔고.. 덕분에 설계 및 시공 계확에도 많은 부분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전체 외단열 계획하였으며 골조 - 비드법 2종3호 단열재 접착 및 화스너 고정 - 미장 - 메쉬 -… 더보기
노후 주택 셀프 보수 문의
1 니쥬 | 댓글 1
안녕하세요. 50년 정도 된 노후 주택입니다. 단층 짜리 주택인데, 외벽은 보수를 여러번 해왔던것 같습니다, 여기저기 울퉁 불퉁하고, 일부 벽면은 크랙이 심하게 있습니다. 2개월전에 급하게 들어 오게 되어서 내부 인테리어만하고 거주중인데, 겨울이 되면서 외벽 갈라짐이 더 심해졌어요. 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