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샷시 아르곤 가스
G 홈런왕 | 댓글 1
안녕하세요 샷시 시공시 아르곤 가스는 필수로 넣으라고 하셨는데 업체에서는 아르곤가스는 시간이 지나번 빠진다 하면서 아르곤 가스 없이 열관리 효율을 1등급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시험 성적서만 있다면 믿을 수 있는 것일까요?? 이중창의 경우도 투명+로이유리 / 투명 +로이유리로 한다는데 … 더보기
주택 대수선에 관한 문의
G 아봄 | 댓글 1
30년정도 된 2층 주택의 대수선 계획입니다 1. 연면적 60평 이상은 종합건설사와 진행해야하고 그러면 비용이 많이 높아진다는데 사실일까요? 2. 외장만 바꾸는 것도 대수선에 해당할까요? 6층이상의 건물만 해당되는 조항이 있다고 해서 문의드립니다 3. 구조변경(방 구획) 공사에 관한 것… 더보기
ALC 블록 사이딩 마감
1 집집돌이 | 댓글 3
https://www.hanuus.com/home/material/index.html?pmode=view&p_idx=339 ALC 블록에 이제픔을 사용해도 통기 성이 좋을까요? 일단 ALC 블록에 사이딩 마감을 해도 좋다고하지만 이제품은 단열재가 있덜고요 그래서 질문드립니다 또한… 더보기
세대 내 실외기실 루버의 단열성능 제품
1 일개직원 | 댓글 3
안녕하세요. 어떻게든 꾸역꾸역 아파트에 외단열을 적용하여 지어 나가고 있는 설계사무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놈의 실외기실이 항상 문제인데요. 대부분의 경우 타워형으로 묶어서 실외 코어부위에 노대를 두어 실외기실을 해결해왔는데, 이번엔 도저히 불가능하여 세대 내 실외기실로 계획중입니다.… 더보기
글라스울 외단열 시공이 가능할까요?
G Joseph.a | 댓글 4
항상 고생이 많으십니다. https://m.blog.naver.com/dlwood/221256669514 ▲ 원래 글라스울 하면 이렇게 흐물거리는 성질로 각목으로 와꾸를 짜고 그 안에 밀어넣는거만 봤었는데 https://www.kccworld.co.kr/products/insulator… 더보기
건식난방 위 마그네슘 보드
G 마그네슘보드 | 댓글 1
엑셀 들어가는 건식난방 PP패널 위에 마그네슘 보드를 깔고 마감재 시공하는 공법이 있던데요. 마그네슘 보드(12mm)가 마감재 밑에 위치하면 생활하는데 별 무리가 없는 강도가 나올까요? 보통 장판을 깔거 같은데...침대나 소파 무게를 감당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PVC 배관 규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배째등따 | 댓글 2
하수관 보온재를 사려고 하는데 VG2 65mm X 4M 라고 적혀있습니다. VG2 는 두께라고 하는걸 알았는데 65mm 부분이 내경인지 외경인지 모르겠습니다. (파이프 규격표를 보니 호칭지름 이라는게 이건가요?) 보온재 두께를 보면 50A , 60A 등등이 있던데 이중 어떤것을 사야 하… 더보기
전열교환기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양가이버1 | 댓글 5
신축중에 있구요.. 시스템창호 설치 할 예정에 있습니다. 전열교환기를 설치 예정인데.. 천정형으로 설치하려고 합니다. 잡자재에서 판매중이 컴포밴드제품이 욕심이 나지만 예산이 부족해서 국산으로 대체 할까 합니다. 피코네에서 경동제품을 추천하는거 같은데.. 천정형 경동 제품으로 하면 될까요… 더보기
스트럽 간격 이상 크기의 환기설비 배관 슬리브의 개구부 보강 필요 여부
4 지람 | 댓글 4
안녕하세요, "환기설비 배관 슬리브의 개구부 보강 필요 여부"를 질의하고자 합니다. 질의사항 제가 가지고 있는 "열회수 환기장치 유니트 장비 일람표"에 따르면 지상1층에 컴포벤트 300V를 "지상1층 관통배관 평면도"와 같이 설치하게 되며 도면과 같이 슬리브를 매립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 더보기
보일러 온수관련 질문드립니다.
G 하준아빠 | 댓글 3
안녕하세요. 저희집 보일러가 현재 사진상의 상태로 배관연결이 되어있습니다. 궁금한점은 온수의 경우 2개의 보일러를 병렬로 연결한경우 온수를 사용할때 2개의 보일러가 어떻게 가동되는지 궁금합니다. 1층이나 2층 어느곳에서 사용해도 온수는 다 나오는 구조로 보이는데 사용할시 보일러 2대가 … 더보기
동바리,시스템비계 루베 헤베
G ㅇㅇ | 댓글 2
계산법 알고싶어요
샷시는 중대하자 항목에 들어가나요?
G 감사합니다 | 댓글 1
집을 매수를 했는데 비확장 세대라 확장 공사를 할 계획으로 협의하고 매수를 했습니다. 확장 부위의 샷시를 점검하면서 살펴보니 집의 모든 샷시가 불량 시공이 되어 있어 어거지로 넣어야 닫히는 상태였습니다. 집주인은 본인은 우겨서 넣으면 닫히니까 아무 문제 없이 사용해서 따로 얘기를 안했다… 더보기
안녕하세요. 화장실 이중배수구 만드는데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G 안녕하세요 | 댓글 1
일반 아파트 화장실에 협회에서 말씀하신 이중 배수구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오수관(변기 배관)을 이중배수로 사용해도 이론상 문제가 없을까요? 사실 이런 생각을 하게된 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오수관의 가장 윗단이 콘크리트면에 바짝 붙여서 잘려져있는 상태입니다. 2. 그래서 … 더보기
rc건물 기초미장 문의드립니다.
G 마틴킴 | 댓글 3
라이브영상을 보고 골조품질의 중요성을 알아가고있습니다. 다음주에 기초타설을 하게 되는데 피니셔를 돌리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저는 돌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는데 시공하시는 분과 말을 나누었더니 오히려 면이 매끄러우면 나중에 기포가 잘 안붙는다도 하더라구요. 피니셔를 돌리는… 더보기
사모래층 위 방수시공?
G Joseph.a | 댓글 11
안녕하십니까 항상 고생이 많으십니다. 최근에 욕실 리모델링 때문에 여기 게시판들 둘러보면서 정보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 유튜브 영상을 보고 의문점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영상 자체를 올리면 저격이 될 것 같아서 비밀로 올리겠습니다.) 상황을 보면 레미탈을 풀어서 물주듯이 해서… 더보기
메지 깨졌는데요
2 풀신 | 댓글 5
메지가 비었을 때 실리콘이 더 낫지 않나요? 방수액에 백색시멘트 넣어야 한다는데 협회에서 하지 말라는 시멘트 액방이랑 다를게 없지 않나요? 감사합니다~
역전지붕 위 높은 태양광 설치 문의
G 피어 | 댓글 4
안녕하세요, 건전한 건축문화를 위한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다세대주택 콘크리트 골조가 완성된 상태에서 기존 설계는 벽면 외단열 + 평지붕 내단열로 되어 있었으나, 역전지붕으로 변경할 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 다만, 기존 설계에 태양광이 3m 높이로 지붕처럼 만들어 통행가능하도록 설계돼 있… 더보기
웝업 인술레이션 보드 - 바닥난방배관 단열
G 누리1호 | 댓글 6
웜업인슐레이션보드 라는게 있는데 신축이 아니어서 바닥에 단열재을 두껍게 깔지못할 때 정말 필요합니다. 잡작재에서 수입 좀 해주시면 안될까요? 감사합니다! 유튜브 링크입니다. https://youtu.be/kFgkhmK7_lg?si=oCg6Q1rcooTvHiOR
신축아파트와 전열교환기 교체에 대한 질문
G ㅇㅇ | 댓글 5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신축아파트에 입주하게 되었습니다. 신축아파트는 아시다시피 내단열입니다. 또한 단열, 기밀성 등을 제대로 시공하였는지.. 좀 의심이 가기도하고요... 패시브하우스만큼의 품질은 당연히 안나올것인데, 이 상태에서 전열교환기만 좋은 제품으로 교체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기… 더보기
상가주택 건축비 등
G Unknown | 댓글 1
일반적인 신도시 점포겸용택지에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상가주택을 건축한다고 하면 대략적인 건축비가 설계, 감리 포함하여 어느 정도 들까요? 철콘을 가정합니다. 1층에는 120제곱미터 정도의 상가 2층에는 59제곱미터(방 2개, 화장실 2개) 2호실 3, 4층에는 표준주택 53d-o 정도 … 더보기
신축 아파트 전열교환, 단열, 냉방 시스템 문의 드립니다.
1 지아 | 댓글 3
1. 안녕하세요. 신축 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냉방 시스템 문의 드립니다. 기본 전열교환기는 설치되어 있고 에어컨 배관도 설치되어 있다고 합니다. 아직 에어컨은 설치를 하지 않은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공조식으로 냉방 급기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을까요? 전열교환기에 연계해서 사용하는 시스… 더보기
신축아파트 안방 외벽쪽 붙박이 설치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G 전빈 | 댓글 11
안녕하세요! 붙박이 시공때문에 질문드려봅니다. 이번에 입주하는 신축아파트 25층이고, 안방쪽에 붙박이장을 설치하려고 계약까지 다 해놓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외벽이라는 것을 최근에 인지하게 되었고 업체측은 문의하니 요즘은 문제안생긴다고는 하는데 불안한 마음이 있어서요.. 사진과 같은 위치… 더보기
테라코타 실물모형시험성적서
1 공이리 | 댓글 3
안녕하세요 저는 건축설계 실무를 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요즘 법이 바뀌어 설계하면서 외장재를 쓸려면 실물모형시험성적서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게 되네요.. 혹시 테라코타 실물모형시험성적서를 구할 수 있을까 해서 질문드려봅니다ㅠㅠ 없으면 내단열로 적용할려고 합니다... 참고로 벽O 업체에 … 더보기
옥상방수 물고임 해결 방안 문의(현재 중도2차까지 도포)
G 최강건축 | 댓글 2
안녕하세요. 옥상방수공사를 하고있는데 마감품질이 너무 좋지 않습니다. 기존 무근을 깨고 몰탈(+섬유보강)을 다시쳤는데 휘니셔를 제때 돌리지않아 마감면이 너무 좋지 않았어요. 현재 중도(2차)까지 했으나 워낙에 바탕면이 고르지않았어서 심각합니다. 사진 첨부합니다. - 사진1. 크랙이간 것…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