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지붕 이렇게 해도 될지요(경량목구조 경사 기와 지붕)
1 하상균 (1.♡.33.106)
4
3,298
2018.11.20 18:57
안녕하세요
전문가님들의 조언을 구하고싶어서 문의드립니다.
밖으로 향할수록 투습저항이 낮은 설계를 해야 한다고 몇몇책에서 언급하였는데....
경량목구조 지붕에 (osb를 덮을려고하니) osb는 불투습재인 것같았지만 안 쓸수가 없는 필수 재료일 것같습니다.
그림처럼 순서대로 시공해도될지요 궁금합니다.
다만 지붕의 투습방수지는 지붕용으로 사용을 하셔요.
이렇게 진행하기로 했는데... 오늘 건축박람회 들러서 시공전문가라는 분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시공전문가님 말씀이
(1) 가변형기밀방습지(sd 0.05~30) -> 서까래 + 글울 + 레프트벤터 -> osb(용마루 부분에 25밀리 오픈) -> 투습방수지(sd=0.02, 용마루 부분에 25밀리 오픈) -> 기와각상 => 저는 오픈 이라는 말에 이해가 안갔습니다. 오픈해놔도 내부 열기가 안빠져나가고 외부 열기가 안들어 온답니다. 큰 건물의 덕트 시설을 보면 참고가될꺼랍니다.
(2) 제의견이 기와마감이라면 가변형기밀방습지(sd 0.05~30) -> 서까래 + 글울 -> 투습방수지(sd=0.02, 용마루 끝까지 빈틈없이) -> 기와각상 할까하여 문의하였더니 합판 없으면 기와업자가 안할꺼랍니다.
(3) 기밀방습지 -> 서까래 + 글울 -> osb(용마루 부분 오픈 없음) -> 투습방수지(용마루 부분 오픈없음) -> 기와각상 => 만일 3번 방법으로 한다면 중간에 osb가 sd값이 30m다보니 떡하니 막아서서 글라스울에서 투습방수지로의 투습을 방해하는 모양새가되어보여서 저는 2번으로 말했던거거든요.기와 업자가 꺼려한다면 (3)번으로 해도 괜챃겠지요? 용마루에서
막힌 레프트 벤터는 불필요하다고 생각되어서 뺐습니다.
3번으로 하시되, OSB의 틈새를 조금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캐나다산) OSB의 SD값은 그렇게 높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