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창호에 이어 지붕구성과 설비층도 문의드립니다.
지역은 경기 북부이고,
1층 rc, 2층 경목의 하이브리드 주택입니다.
지난번 문의에 대해 답변 주신대로 외부통기지붕으로 구성하고,
1,2층에 열회수 환기장치 및 천장형 에어컨을 설치하기 위한 도면입니다.
* 도면 이미지는 사정상 삭제했습니다. 양해해주세요 ^^;
지붕은 빗물받이가 설치된 면만 벽돌 조적 밖으로 50mm (지난번 문의드렸던 글에서 답변 주신대로 통기층으로 통하는 최소한의 돌출부만 적용) 돌출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외부 조적면과 일치하는 형태입니다.
궁금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외부통기지붕의 조건에 맞게 지붕이 구성되었는가?
1-2. 외부통기지붕으로 할 경우, 서까래에 단열재를 넣고, 천장면의 장선에도 단열재를 충전해야 되는가? (저희는 다락이 없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다락 공간은 있지만 다락을 만들지 않을 생각입니다.)
1-3. 이 경우 천장 장선은 보통 어떤 규격을 사용하면 되는가? 2*6? 2*8? 2*10?
(서까래는 보시는 것처럼 2*10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2. 열회수 환기장치의 배관을 위한 설비층의 위치는 어디인가?
장비는 1층의 보일러가 있는 창고(벽면 단열은 되고 바닥난방은 되지 않는 외부 창고)에 설치할 예정이고 2층의 드레스룸 안으로 배관을 올려 천장에 배관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각종 배관들이 장선을 뚫고 지나가는 것은 시공이 복잡하고 어려울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좋지 않을 것 같아 별도의 설비층을 설계 초기부터 염두에 두고 있었습니다.
지금 도면에는 천장마감바로 위에 장선(?)이 있고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는 형태로, 그 위의 빈 공간(통상 다락으로 쓰이는)을 설비층으로 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에어컨, 전등, 열회수 환기장치의 배관 등이 단열재 위에 위치하고 디퓨저와 에어컨 실내기 등 천장마감면에 돌출되는 부분은 장선과 단열재를 통과하게 될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보통은 천장 장선에 단열재 충전하고 그 아래로 2*2로 설비층 장선을 다시 깔아서 150-300 정도의 설비층을 만들던데요. 다락이 없는 저희도 그렇게 하는 게 맞을까요?
지금 도면대로라면 그렇게 할 경우 내림천장을 해야 해서 실내 천장고가 낮아지는데..그건 싫거든요. (그래서 설계전에 천고를 낮추지 않는 설비층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논의했었는데 일단 도면은 이렇게 나왔습니다.)
내림천장을 하지 않으려면 현재 천장 장선 부분을 설비층 두께만큼 위로 더 끌어올려야하는 거겠죠?
설명이 복잡해서 죄송합니다..ㅠㅠ
3. 설비층을 두지 않는 경우와 설비층을 두는 경우, 외부통기지붕을 위한 실내측 가변형 투습지는 어디에 설치하는 것이 좋은가?
보통 많이 사용하는 2중창과 시스템창을 섞어서 쓰려다가 견적이 크게 차이 없어
전체 창호를 기밀이 더 뛰어난 유럽식 시스템창호로 바꾸다보니 열회수 환기장치를 고려하게 됐네요.
하는 쪽으로 거의 기울긴 했지만 여전히 공기청정기와 자연환기만으로는 부족한걸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이에 대한 협회의 견해는 어떠신지도 궁금합니다..
▶ 그렇지 않습니다.
슁글 - 방수시트 - 합판 - 통기층(지금 경사라면 최소 50mm) - 투습방수지 - 서까래
순입니다.
1-2. 외부통기지붕으로 할 경우, 서까래에 단열재를 넣고, 천장면의 장선에도 단열재를 충전해야 되는가? (저희는 다락이 없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다락 공간은 있지만 다락을 만들지 않을 생각입니다.)
▶ 외부통기지붕은 평천장에 단열재를 깔지 않습니다. 잘못된 구성입니다.
1-3. 이 경우 천장 장선은 보통 어떤 규격을 사용하면 되는가? 2*6? 2*8? 2*10?
(서까래는 보시는 것처럼 2*10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 평면의 크기를 알지 못하기도 하지만, 구조적인 부분은 담당하는 전문가가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 열회수 환기장치의 배관을 위한 설비층의 위치는 어디인가?
▶ 평천장 위가 됩니다.
3. 설비층을 두지 않는 경우와 설비층을 두는 경우, 외부통기지붕을 위한 실내측 가변형 투습지는 어디에 설치하는 것이 좋은가?
▶ 이 경우 지붕 서까래 하부에 들어가면 됩니다.
다른 분들이 읽기가 어려워 져서요..
삭제할 예정이시면 미리 말씀해 주세요.. 협의를 통해 답변드릴 것과 그렇지 않을 것을 선택하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올리신 지붕구성과 투습방수지 외에 멤브레인을 포함하여, 구체적인 치수도 많이 다릅니다. 또한 순서가 같다고 해서 같은 지붕인 것도 아닙니다. 구체적인 치수가 뒷받힘되어 주어야 합니다.
저도 이곳 질문/답변 게시판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서 정보의 공개와 공유라는 협회의 방침에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다음부터 불가피하게 원글을 수정할 경우에는 미리 말씀드릴게요.
도면상 치수가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일까요.
지붕구성에서 멤브레인판(?)이라는 것의 정체를 잘 모르겠는데,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슁글하부에 깔릴 수는 없는 구성입니다.
두번째는 25x25 각재가 50x50으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세번째는 서까래 상부의 투습방수지가 지붕용(방수등급 W1)이 명기되어야 합니다.
거듭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