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난방필름에 대해서 여쭙니다
G 윤설이 | 댓글 5
안녕하세요? 최근에 팬제렉스라는 단열차열필름을 알게되었습니다 업체말로는 로이유리 효과까지 낸다고 하는데 혹시 들어보셨나요? 비확장아파트에 시공해서 단열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저희집 샤시가 알루미늄틀인데 하이샤시로 바꾸고 싶어서 견적을 받았더니 거의 900만원이 넘어가서 부담도 되고 해… 더보기
철근콘크리트구조 지붕 문의 및 기타 궁금한 내용
1 방개사랑 | 댓글 4
현재 건축중인 도면입니다. 줄기초 철근콘크리트구조 외단열 건물입니다. 현재까지 진행상황은 버림+줄기초+되메우기 + pe필름+ 비드법 2종1호 100mm 두장 엇깔기+철근+기초타설 완료후 1층 벽체 거푸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외단열은 비드법 보온판 2종1호 200mm로 100mm는 콘크… 더보기
열전도율 손실비용(?) 문의
G 대양 | 댓글 1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예를 들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제 막 형틀공정에 단열재 부착작업을 실시한 원룸신축현장에 입고된 단열재의 열전도율을 시험한 결과 설계 기준인 0.032보다 높은 0.033이 나왔습니다. 위와 같이 단열재의 열전도율이 0.001이 높을 경우 손실되는 비용(열손… 더보기
단열보강 할려고 합니다
1 다사랑62 | 댓글 7
경남 고성군 거류면 농촌변두리에2012년 시공된 콘크리트 2층 근린주택을 구입 하였는데, 1층은 미완공 상태로 있습니다. 1층의 단열을 보강하고 싶습니다. 설계도 에는 외벽단열이 열반사단열재 THK10 으로 설계 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하고 남은 자재을 보면외벽의 두께는 200mm 콘크리… 더보기
하절기에 목조주택 창호에 열차단 필름 효과가 있을까요?
1 애담스 | 댓글 6
안녕하세요~ 항상 협회의 사례를 통해 여러가지 정보들을 공유할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올해 1월에 나름 준패시브 목조주택을 완공하고 입주한후 이제 여름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그동안 셀파** 덕분에 미세먼지, 황사등으로 부터 나름 안전지대에서 생활했다고 생각합니다 5월까지는 거실측 실내온도… 더보기
창호가 문제인가?
G 김영희 | 댓글 6
수고가 정말 많으십니다.. 3년차아파트입니다. 거실안방모두 확장형입니다. 문을 여닫을때 창호가 심하게 흔들리며 이음새 벽지도 들뜨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시공된 방법은 창틀 설치시 내측으로 100mm 들어오게 설치하고 창틀과 벽체사이를 잉카철물로 고정을 하고 단열 60mm 석고보드2겹 벽지… 더보기
폼 단열 문의
G 미리내 | 댓글 3
안녕하세요. 이번에 30년된 벽돌 2층집 리모델링 하려고 하는데, 단열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1. 폼 단열하는 방법이 있던데, 우레탄폼, 폴리우레탄폼,수성연질폼 의 차이가 뭔가요? 어떤게 몸에 가장 좋고 (아이가 아토피가 있어서요.ㅠㅠ) 단열효과가 좋은가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면 … 더보기
기존 평지붕에 역전지붕 시공이 가능할까요??
1 scaver | 댓글 4
주변에 평지붕에 방수문제로 고생하시는 분이 꽤 많으시네요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433&contents_id=92815&leafId=1433 예전에 이 자료를 보고 참 괜찮은 방법이다고 생각을 한적이… 더보기
단열재 부착
1 가을단풍 | 댓글 1
안녕하세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주택신축을 하고있습니다 벽체에 단열재부착시(외단열이고 치장벽돌로 마감합니다) 우레탄폼을 G2본드 대신해서 사용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걱정되 문의 드립니다
G 이은성 | 댓글 2
왕겨를 단열재로 써서 친환경으로 지은 집이라 계약을 했습니다 자세히 알고 보니 벽체가 외벽은 시멘트 사이딩 내벽은 OSB합판으로 했다합니다 그 사이를 왕겨로 채웠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보강이 필요한 듯한데 고견 부탁드립니다
외단열자재중 록셀 복합판넬
1 청일 | 댓글 3
자재들이 하도 많아 햇갈립니다만, 외단열 자재중 록셀 복합판넬(록셀보드)이 있던데, 부착강도가높아 별도의 보강철물 없이 석재등 중량외장재를 부착할수 있고, 콘크리트타설시 일체식으로 시공할수있다는데 어떠신가요????
콘크리트기초의 외단열시 단열재와 흙 또는 외기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
G 조동구 | 댓글 4
경기도 여주에, 직영으로 전원주택을 건축하려 하는 왕초보입니다. phiko의 사이트를 접하게 되어 엄청난 용기와 천군만마를 얻은 기분입니다. 특히, 관리자님의 넓고 깊은 기술력과 정보력으로 신속 정확히 지도 해주심에 감탄과 감사의 말씀을 올리며, 앞으로도 많은 지도와 편달을 바랍니다. … 더보기
단독주택 콘크리트 경사지붕 외단열 상세
G 조영진 | 댓글 4
안녕하세요. 새로 시공할 주택의 지붕 외단열 문의 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지역은 서울이고... 높이의 제한이 있는 지역이라 지붕 단열재 두께를 최소화 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열/방수도 놓치고 싶지 않아 다음과 같은 상세를 문의드리고자 합니다. [지붕 외단열 단면 계획]… 더보기
목조주택 벽체 구성
14 이성원 | 댓글 5
현재 준비하고 있는 주택의 벽체 내용입니다. 표준주택의 외벽 구성과 비슷한지요?
ALC블록 수지미장 내벽마감을 안 할 경우
G Alex | 댓글 87
안녕하세요? 현재 충주 지역에 ALC블록으로 부모님댁이 진행 중에 잇습니다. 그런데 어머님께서 내벽에 초배지에 벽지만 시공 했다고 하시더군요.(이미 다 진행 된 후상황) 자세히 여쭤보니 다른집은 수지미장으로 면처리를 다하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 사정으로 다른집 보다 입주를 빨리 해야… 더보기
옥상방수
G 우승철 | 댓글 5
상가 옥상에 방수작업을 할 계획인데....200평정도입니다. 3층건물이고요. 7년전인가 초록색 약품을 바닥에 칠했거든요...이름을 몰라서...^^; 계속 보수를 했었어야되는데 아무도 몰라서 그대로 방치했더니 그 틈새로 물이 들어가서 안한것만 못하게 옥상 시멘트부분이 뜨고 있네요. 버석버… 더보기
내부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
1 사토 | 댓글 7
박공지붕을 갖는 경량 목구조입니다. 첨부한 그림과 같이, 중간벽체를 이용해 왼쪽 공간에 천창장선을 걸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중간벽체를 마룻대까지 올려 마룻대를 받치려고 합니다. 이 경우, 중간 벽체를 비내력벽으로 간주해도 될까요? 제 생각에는, 1. 서까래 길이가 대칭이므로 마룻대의… 더보기
딱따구리 퇴치법
1 미카엘 | 댓글 1
안녕하세요? 두어달전쯤 딱따구리때문에 글을 올렸었죠? 여기저기 수소문하다가 관리자님 말씀마따나 새집을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새집정면과 측면에 거울도 달구요. 또 태양광충전 초음파 조류퇴치기도 달았습니다. 그리고 구멍난자리는 비초산 실리콘으로 야무지게 때웠습니다. 딱따구리가 회귀본능이 있… 더보기
천정 단열시공 질문드립니다.
G 감사합니다. | 댓글 15
안녕하세요 ! 이번에 작은 방 단열시공을 하려고하는데 몇 가지 구조에 대해 여쭤볼게 있어서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결로로 인한 곰팡이 문제로 단열시공을 하려고 합니다. 정보를 찾아보던 중 여러 자재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 중 이보드가 편의성 제품 중 기능이 가장 좋다고하여 이보… 더보기
아파트 베란다 창틀 누수관련
1 바르광 | 댓글 1
이런 질문 글을 이제야 올린다는 것이 제 개인적으로 안타깝지만 문득 생각나서 질문글 올립니다. 2000년대 중반에 지어진 아파트이고요. 2007년부터 베란다 쪽에 비만 오면 물이 샙니다. 그래서 2년에 한번 꼴로 베란다 쪽에 실리콘 누수 공사를 하는데요. 이 누수를 원천적으로 막을만한 … 더보기
양단열 문의드립니다.
G 야호 | 댓글 6
안녕하세요, 단독 주택 신축을 앞두고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더라도 질문을 받아주신다고 써있길래 문의를 드려봅니다. 콘크리트 집을 지으려고 하는데요, 최근 이거푸집(양단열 세라믹 거푸집)과 보석블럭에대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1. 게시판 글에서 양단열은 시멘트 내… 더보기
화강석 시공문의
1 지구의날 | 댓글 1
RC벽체에 비트법 2종3호 180T 시공되어 있는데 치장벽돌 시공에서 화강석으로 변경해보려고 하는데 화강석으로 시공시 단열재 두께로 인해 화강석 처짐이라든지 구조적으로 안전한지알고 싶어서 여쭈어봅니다.앵커는단열재 미파쇄 원형 패시브턴캡으로 사용하구요.
내부용 창호 기밀테이프 SD값
G 박세련 | 댓글 3
안녕하세요~ 창호기밀테이프 SD값으로 문의드립니다. 내부용일경우 SD값이 클수록 좋은건가요? 아니면 역결로때문에 너무 커도 안좋은건지요? 만약에 너무 커도 안좋다면 적정한 SD값은 최소~ 최대 어느정도 값인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팽창테이프 시공을 하는데 하부에 고임목을 넣고 시공하는 … 더보기
세탁기 하수 배관 관련 질문입니다.
2 권희범 | 댓글 2
세탁기 하수 위치에 유가를 설치했는데요, 세탁기 두대가 동시에돌아가면물이 넘칩니다. 그래서 유가의 봉수가 고이는 틀을 제거하고 시중에 파는 트랩(물이 내려갈 면 비닐 재질의 막이 열리고 물이 없으면 닫히는)을 달아봐도 세탁기 두대의 물이 동시에 나오면 넘칩니다. 한대만 돌아가면 넘치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