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RC 구조 외단열 구조, 타일 벽돌 마감 질문
1 동쪽별 | 댓글 30
예비 건주축주입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RC 구조에 가등급 EPS (120mm), 약 2cm 두께의 타일 벽돌 마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건물은 단독주택으로, 벽체 최대 높이 9.3m. 벽과 단열재는 600x900mm규격에 PU Foam으로 접착하고,단열재 한면당 Fastener 5~6… 더보기
스타코 마감 시 창틀 실리콘 분리
1 이재욱 | 댓글 6
수고하십니다 스타코 마감으로..진짜 머리가 깨질것 같은 한 사람입니다... 스타코가 괜찮다고 하여 아무 공부도 않고 업자에게 맡겨서...--;; 다름이 아니고.. 스타고 마감입니다..거기에 창틀을 넣고.. 실리콘을 쐈는데... 비가오고마르면서...실리콘이 다 뜨고 일어납니다.. 다른분들… 더보기
스타고마감 바닥면 경계와 분리방법
1 이재욱 | 댓글 44
유용한 정보를 많이 얻고 있습니다. 다름아니고 스타코 마감시 외벽와 지면이 만나는 지점은 스타코 마감을 어찌하는지 궁금합니다. 저희집같은 경우는 그냥 스타코를 바닥까지 내려서 항상 비만 오면 거기가 젖여 있거든요 근데 이번장마에는방바닥까지 습이 올라오네요. 장판 가장자리가 곰팡이가 피고… 더보기
외벽 화강석 두께 문의
G 강문호 | 댓글 1
안녕하세요 ^^ 외벽에 산타세실리아 계열 화강석(브라질산)을 시공하려 합니다. 보통 외벽에는 30T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20T 제품으로 시공하여도 안전성, 견고함 및 열차단 등에 문제가 없을지 전문가님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표준주택의 벽체구성 중 궁금한 점
G 김호순 | 댓글 5
경량목구조의 패시브하우스의 벽체구성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우선 저희는 경량목구조에 그라스울을 사용하여 진행하는데, 현 상태에서 가장 일반적인 내장마감/석고보드2장/설비층/가변형투습지/구조재 및 단열재/ OSB합판/투습방수지(타이벡)/통기층/외장재 ->이렇게 진행하려고 하… 더보기
장마철 기초타설과 토목공사
G Dolsanae | 댓글 6
안녕하세요 패시브 건축협회의 팬입니다. 꾸준히 성실하게 노력하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습니다. 저는이제 일반 주택의 공사를 시작하려고 하는 풋내기 건축주입니다. 허가도 끝나고 시공사하고도 세부내용 마지막 조율단계인데요 요즘 장마철이라 걱정이 되서 두어가지 문의드립니다. 1. 특히 기초부분… 더보기
실외관 스텐레스 실내관 pb 로 구분해야 하는 이유
G 테니스맨 | 댓글 2
자꾸 질문 올려서 죄송합니다. 실외 상수도관은 스텐레스 실내 상수도관은 pb 로 하는 것이 좋은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단독주택 리모델링 건축주입니다. - 천정부분 단열에 대하여
1 카즈야 | 댓글 15
안녕하세요. 30년된 연와조 2층 주택을 리모델링할 계획으로 인허가가 모두 완료되었고, 곧 철거를앞두고 있습니다. 건축사와도 상의했지만, 아무래도 속시원한 답을 못얻어서 여기에 문의드립니다. 보시는 바와같이 1층 거실 부분을 확장할 예정이고(조적 또는 목구조), 1층은 모두 외단열 네오… 더보기
녹슬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상수도관의 재질에 관하여
G 테니스맨 | 댓글 3
귀촌하여 25평 정도의 집을 짓고 살려고 합니다. 금속성의 상수도관은 부식때문에 녹물도 나오고 하여 비금속성의 상수도관을 집 지을때 쓰려고 합니다. 지하수를 식수원으로 써야 한다고 합니다. 인체에 무해한 비금속성의 상수도관의 재질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줄기초 단열에 대한 간단한 질문
1 바이한 | 댓글 2
아래는 협회자료실에선 본 줄기초 단열개념도입니다. 현재 건축중인 저희집도 아래 그림처럼 경사지형 암반지반위에 줄기초 시공되고 있는데 한가지 궁금한 점은 매트기초처럼 바닥타설과 되메우기 사이에단열재가 왜 필요하지 않은 건지 하는 점입니다.
270mm압출보온판
1 곰탱이2 | 댓글 1
저는 외단열전문 시공자입니다. 현장은 가평에 있는 콘크리트상가건물입니다. 왜 270mm압출보온판으로 시공하는지는 도면에 그렇게 나와있어서 그렇다네요. 그리고 마감을 어떻게 할지는 저도 참 그게 궁금합니다. 270mm화스너 고정핀은 구했습니다.
270mm단열재(압출) 외단열 시공시
1 곰탱이2 | 댓글 1
270mm압출보온판을 외단열시공시 어떻게 고정시키는게 좋은가요? 화스너로 할려니 270mm화스너가 않나오는것 같고 단열재본드로 할려니 본드가 굳기전까지 어떻게 붙어있게 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 조언부탁 드립니다
아이소핑크 를 바닥난방 단열재로 사용해도 되는지요
G 나용식 | 댓글 1
난방할 바닥과 문틀간의 높이가 80미리 정도밖에 되지않아서 바닥 단열재로 아이소핑크 20미리 제품을 사용할려고 합니다 아이소핑크가 열에 약하다고 하는데 문제 없을까요 다른방법으로 단열할수 있는방법이 있으면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수성우레탄폼 단열시공 후에 방습층을 어떻게 시공하죠?
1 긁적긁적 | 댓글 3
02년에 준공된 8세대 5층빌라의 꼭대기층으로 이사를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건물자체는 드라이비트로 외단열된 건물입니다. 집은 전용면적 76m2 정도 나옵니다. 옥상단열이 어떻게 되어있는지를 몰라, 여름/겨울에 고생할것 같아 천정과 외벽단열시공을 할까 합니다. 원래 살던사람은 걍 그럭저럭… 더보기
지내력에 관한 질문입니다.
2 권희범 | 댓글 2
건축면적 25평 정도의 다락 있는 단층 경량목구조인데요, 지내력 검사를 생략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가 해서요. 10년 이상 별 탈 없이 비포장 도로로 쓰이던 길인데요, 길이 새로 나면서 5년 전부터 밭이 됐습니다. 지반의 다짐은 그 간 충분히 됐으리라 보이지만, 걱정은 그 지역 대부분… 더보기
단열몰탈 시공이 됐는지 확인 할수 있을까요?
G 이은진 | 댓글 6
아파트 최상층 세대이고, 외기랑 연결되는 내벽면쪽에 결로가 발생하여 이보드(13mm)로 추가 보강하고 있는 중입니다. 실내 공간 감소 최소화를 위해 이보드 두께 또한 얇은 것으로 보강 시공 중입니다. 준공도면에는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W450,THK10 단열재 벽체 매입 또는 단열… 더보기
독일산 로터리형 전열교환기가 있나요?
2 화성사람 | 댓글 8
안녕하세요 패시브하우스에 관심이 많아 각종 도서와 협회의 좋은자료들 눈팅만 하다 처음으로 질문글 올립니다. 추운곳에 집을 지을 예정인데 판형전열교환기는 프리히터가 필요하다고 해서요 로터리형 전열교환기를 사용해야 할것같은데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사용할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국산과 미국산을… 더보기
아파트 단열 리모델링 최선의 방법이 없을까요?
1 전영석 | 댓글 7
이전서충원 사장님께 의뢰하여저에너지 주택을 건축하였던 건축주입니다. 아파트의베란다를 확장하여 사용하는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열교차단이 필수적인 사항이나, 제가 건축쪽으로는 일자무식이지만저에너지 주택을 지으며 들은 풍얼로 유추해보면 외단열이 되지 못하는 아파트에서는 단열… 더보기
비소성 흙벽돌과 발수제
G 주택 | 댓글 8
안녕하세요. 개인 주택(콘크리트)을 짓고 있습니다. 건축사님은 외관 마감을 비소성 흙벽돌 (조적용)로 하자고 합니다. 요즘 색상을 위해 저온에서 구운 벽돌들이 많이 사용되는데 고온에서 구운 벽돌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글을 읽었습니다. 저희가 쓰는 것은 비소성이라 그 내구성이 더 우… 더보기
창호기밀테이프는 어느제품이 선택해야 합니까?
G yesrakt | 댓글 1
인터넷 검색해보니 기밀테이프가 3M 제품도 있고 프로클리마 윈도우랩이 있는데 프로크리마에 문의해보니 3M제품은 콘크리트용이 아니고 목재에만 사용가능하다고 하는데..... 3M제품을 사용하면 안되는지요? 프로크리마 윈도우랩 콘크리트용을 사용해야 합니까?
열교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1 달바라기 | 댓글 2
패시브 하우스의 다섯가지 기본 요건 중 열교 없는 디테일 있는데요. 목구조건축에서 지붕 과 벽체에 단열이 연속적이지 않고 스터드나 서까래로 분리시공 되는데요, 이 부분은 열교로 봐야 하는지요?
도움요청합니다ㅠㅠ
G 공영주 | 댓글 1
거주할 주택을 패시브하우스로 짓고싶은데 건축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게 없어서... 답변을 잘 해주시길래 문의남겨봅니다. 필요한 자재들과 추천해주시는 제품들이 어떤게 있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시공사도 추천부탁드려요..!(경기남부나 충청지역이면 좋겠습니다.)
벽체, 지붕 마감재에 따른 2중구조 문의 드립니다.
G 해 바라기 | 댓글 2
목구조 주택에서 벽체와 지붕에 단열을 인슐레이션 "가'등급 시공시 공기가 통하는 2중구조로 해야 되는지요? 수성 연질폼 "가"등급 시공시에 지붕( 징크 또는 스페니시 기와)에도 공기가 통하는 2중구조로 해야 되는지요? 고견 부탁 드립니다.
목조주택 지붕 통기관련
G 김태규 | 댓글 2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자료로 많은 공부가 되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현재 건축중인 주택이 1층은 RC조에 2층은 목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붕이 약간 쉐이드 형태(약 7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요, 뒷쪽 낮은지붕쪽에 전체 건물 길이(약 19미터)만큼 약 2센치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