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스타코 작업시 레인스크린
G 왕초보 | 댓글 3
안녕하세요. 목구조 2평정도의 방을 확장하였고 스타코 마감을 하려고합니다. 현재 OSB 에 타이벡까지는 붙여놓았는데요. 1. 검색을 하다보니 OSB 를 잘라서 레인스크린을 쓰는 곳이 많던데 저도 이렇게 해도 될까요? OSB 가 썪는건 아닌지..... 혹은 1x4 방부목을 구입해서 시공하… 더보기
패시브하우스논문주제에관해서
G 김민서 | 댓글 2
안녕하세요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건축가지망생인 학생입니다. 제가 이번에 지속가능한 발전 논문 발표대회에 출전하여 주제와 목차를 패시브하우스와 관련하여(열고,단열,음영 등) 정해야하는데 아직 패시브하우스에 대해서 잘모르겠어서 뭘 주제로정하고 어떻게 진행해나가야할지 감이 잘 잡히자 않습… 더보기
Monopath 구조에 대해
1 solarmania | 댓글 7
안녕하세요? 조만간 집을 짓기 위해 준비 중인 일반인입니다. 작년 북미패시브하우스학회(NAPHC 2015)에서 Monopath라는 새로운 목구조가 소개되었습니다. 이상적인 벽구조를 실현하되 시공비를 평방피트당 100달러(평당 400만원)이하를 목표로 개발된 기술입니다. 패시브하우스를 구… 더보기
매트 기초 단열재 나열 질문
G 동쪽별 | 댓글 8
기초 하부 단열재의 두께는 100mm 입니다. 질문1, 100mm 하나로 나열 하는 것보다, 50mm를 두번에 걸쳐 서로 줄눈이 엇갈리도록 하는것이 더 좋을까요? 질문2, 평탄화가 잘 안되어 압출법 단열재가 깨질지 모르니, 단열재 층 맨 아래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20mm정도 밀도가 낮… 더보기
열차단 필름에 대해서
G 홍길동 | 댓글 3
안녕하세요. 저번 답변 고맙습니다. 오피스텔이 층의 제일구석에 있는데 ㄱ자로 창이 나있습니다. 양쪽다 암막커튼을 설치했지만 직사광선을 피하는 용도 밖에 안되네요. 협회 자료 찾아보니 내측에 설치했을땐 15%정도밖에 열차단이 안된다구요. 열차단 필름을 부착하면 좀 나을까요? 단독주택이면 … 더보기
웜루프 문의
1 푸르미 | 댓글 3
일반 목조주택입니다.위그림과 같은 모양의 2층 편박공지붕 웜루프 시공 순서 문의 일전에 아래와 같이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여기서 2X10 -> 2X8 로 변경했습니다. ================================================ 지붕 구조는 2x10 으로… 더보기
방수문의
1 분도 | 댓글 1
아래의 설계,시공 관련 질문에서 관리자님과 이성원선생님의 방수와 관련된 글을 보았으나 정확히 이해를 못하여 질문을 합니다. 철근/콘크리트 주택에서, 1. 욕실,화장실: 콘크리트스라브- 액체방수 1종- 20미리 보호몰탈-30미리 기포콘크리트- 41미리 보호몰탈,15엑셀파이프- 자기질타일 … 더보기
종압축 강도 성능의 중요성
G 김경열 | 댓글 3
종압축 강도 성능의 중요성에대해 알고싶어요간단하게 건축시에 기둥에서 받는힘이높아야하는거는 알고있는데 자세히 알고싶어요
화스너 질문드립니다.
G 홍길동 | 댓글 4
협회 자료로 공부하다 화스너라는걸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검색해보니 위와같은 이미지가 있는데 이거 맞는지요? 제가 보기엔 콘크리트 기리로 타공을 해서 쓰는 제품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관리자님이 다셨던 답글중에 [XPS + 비닐 + 각상 + 석고보드 + 합지 내단열시에각상을 구조체에 열… 더보기
렌지후드의 배관 길이
2 권희범 | 댓글 13
렌지후드의 배관 길이가 길어서 후드의 흡입력이 너무 떨어집니다. 처음엔 전동댐퍼, 실내 감압 등 다른 이유를 찾아봤지만 결국은 배관 길이 때문이더군요. 후드 - 100미리 보온 후렉시블 약 3미터 - 100미리 전동댐퍼 - 배출구 순입니다. 공조기 OA흡입구와의 거리 때문에 후드 배출구… 더보기
내벽 마감과 축열성능에 대해
1 totwo17 | 댓글 2
안녕하세요, 집 지을 생각을 가지고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협회를 알게되어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 단독주택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RC로 지으려고 하는데, 축열성능을 고려해서 내벽을 미장마감하고 페인트를 하려고 하는데, 창고느낌이 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됩니다. 보… 더보기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에서 창호 열관류율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피빙 | 댓글 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의 별표 4는 창 및 문의 단열성능이고 별표 1은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인데 창호나 문의 열관류율을 적용시 별표 1이 우선 적용되어야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도시형 저에너지하우스 가능할까요?
G 히힛힛 | 댓글 4
안녕하세요.결로 문제로 어쩌다 이곳에 들어오게 되면서 패시브하우스의 다양한 개념에 눈이 휘둥그레졌습니다.집의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일자무식이었던 제가 건축과 주거의 기본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고나 할까요.거기다 이곳의 논리와 정직성에 감탄하게 되었습니다. 서울살이를 한지 언 13년을 … 더보기
지면에서 1층 바닦 높이 관련 현장 방문
G 동쪽별 | 댓글 8
지면에서 1층 바닦 높이 질문 에 이어서 덧글에는 여러 사진이 올라가지 않아 새글로 올립니다. 누수 부분을 염두해 두고, 에델바이스 스위스 테마파트를 잠깐 다녀 왔습니다. 첫 사진은 deck이 없이 지면과 약 20cm 미만 높이차를 둔 창으로, 빗물에 흙이 많이 묻어 있어 역시 관리자님… 더보기
지면에서 1층 바닦 높이 질문
G 동쪽별 | 댓글 8
현관문의 턱은 GL 부터 300mm, Patio 창들은 GL 부터 380m, GL과 1층의 높이차는 360mm 입니다. 대지가 북에서 남으로 경사가 겨우 느껴질 정도로 평탄한 편에 속한 대지 입니다. 제 생각에는 위의 높이들이 최소 2개의 계단 형태가 필요한데, 가능하다면 GL과 1층 … 더보기
아이소핑크를 이걸로 콘크리트벽체에 접착시켜도 괜찮을까요?
G 설리5 | 댓글 2
https://www.youtube.com/watch?v=OmH0MfvXq4Q(시공 동영상입니다) 이번에 경향 하우징 페어에서봤던일부룩이란 회사의 제품입니다. 접착 동영상을 보니 놀랄만큼 빠르고 견고하게 붙어서 이번에 이사갈집의 콘크리트 벽면에 아이소핑크를 붙일때 쓰면 눌러주는 시간이 … 더보기
그라스울 48k -> 24k 로 변경시공 시 문제점
G 박윤미 | 댓글 6
도면에는 48k로 시공하는 걸로 되있는데 시공상 문제로 24k로 변경시공한다고 합니다. 위치는 거실과 방 사이의 칸막이벽 스터스 벽체입니다. 단열보다는 흡음성능이 중요한 구간 아닌가요? 그라스울을 24k로 바꾸고 차음석고보드로 시공한다고 하는데 제생각에 흡음과 차음은 다르기 때문에 안될… 더보기
R-value per inch, R-2가 무엇인가요??
G 김건우 | 댓글 3
안녕하세요 반사형 단열재 ASTM C1224의 단열성능 평가 시 R-2 이하의 열저항을 가진 목재를 사용한다라고 써있는데 R-2가 무엇인가요?? R-value per inch는 미국에서 사용하는 기준인가요?? R-2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무기단열재 열간수축온도란?
G 이영우 | 댓글 3
안녕하세요 저희 아버지께서 건물을 짓고 계십니다. 단열을 하기 위해서 화재 성능에 좋다는 무기단열재를 사용하신다고 하는데 무기단열재의 품질중에 열간수축온도 라는 시험 항목이 있습니다. 1. 열간수축온도가 무엇이며? 2. 왜 열간수축온도 시험이 품질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요?? 답변… 더보기
아르곤 가스 복층유리 준공 서류
G 조영일 | 댓글 3
안녕하세요 현재 아르곤 가스 충전 복층유리는 KS에 해당되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신 협회에서 협회인증을 진행하여 단체표준 제품인증을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군 건설사 납품이 아닌 관급 혹은 공장에 창호 납품시 단체표준 제품인증서가 꼭 있어야하는지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 더보기
1층 지붕과 2층 벽체가 만나는 1층 지붕의 지붕벤트는 ?
1 자연나무 | 댓글 3
1층 지붕과 2층 벽체가 만나는 1층 지붕의 지붕 공간의 벤트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1층 지붕 밑 장선에 내단열로 막은후, 장선과 1층 지붕공간은 막힌형태입니다. 박공벤트를 하기도 뭐한 것 같아서 ^^ 이중지붕으로해서 지붕 외부 공간의 벤트로 처리하면 될런지 ... ...
10mm 결로방지단열재 대신 단열몰탈 사용가능한지.
G 정병진 | 댓글 4
법적 기준으로는 500세대 미만 아파트에선 결로방지단열재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도면상에 10mm결로 방지단열재라고 표시만 되어있지 단열성능이 얼마이며 무슨 단열재를 쓰라고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설계사무실 문의결과 법적기준이 없기때문에 단열성능에 대해서는 검토를 하지 … 더보기
자료실 글을 보다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G 홍길동 | 댓글 5
안녕하세요? 우연히 한국패시브협회를 알게되어서 늦깎이에 기쁜마음에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자료실에 노출콘크리트글을 보다보니 내단열 XPS에 PE비닐로 방습층을 둔다는 내용을 보고 XPS에 우레탄폼과 테이핑을 제대로 시공하면 방습층의 역할을 할것 같은데 또 PE비닐로… 더보기
외단열, 내단열의 시공 확인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야채곰 | 댓글 3
안녕하세요. 항상 패시브건축협회를 통해 많은것을 배워가고 있는 친환경업체 종사자입니다. 이전에도 비슷한 글을 올린적이 있습니다만, 좀 더 구체적으로 질문드리고자 이렇게 다시 글 올립니다. 최근 이사시기가 되어 신축빌라 매매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투자성이라던가 하는 부분은 제쳐두고 당장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