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시공상 단열재, 경량벽체, 사춤 문제

G 박윤미 8 10,056 2016.11.15 14:46
KakaoTalk_20161115_143521314.jpg
이렇게 단열재 깨진 부위에 단열몰탈로 수정시공해도 무방한가요? 열관류율등 성능이 다를거 같은데 따로 문제 생기진 않을까요? 다른 최선의 방법이 잇나요?
KakaoTalk_20161115_143623343.jpg
이렇게 단열재를 시공할때, 밀실히 부착하지 않아 그 틈으로 들어간 콘크리트를 깨어내고 시공하는게 맞는거죠? 깨지 않고 시공했을 때의 문제가 있나요? '외기-콘크리트-단열재-콘크리트'로 되면 사이에 뭐가됬든, 열관류율이 좋던 나쁘던 자재가 하나 더 추가되는거니까 단열에 더 좋은거아닌가요?
KakaoTalk_20161115_143622016.jpg
창문이나 베란다 부분 샤시 시공할때 사춤을 무엇으로 하나요? 상부와 양옆은 그냥 우레탄 폼으로 쏴도 될거같은데 하부는 저렇게 벽돌이나 몰탈로 하는게 맞는거죠?
KakaoTalk_20161115_143632188.jpg

마지막 경량벽체 질문입니다. 런너깔고 스터드 세울때 저렇게 틈이 생겨도 상관은 없나요? 시공할때나 발주할때 길이 딱 맞게 자르고 시키면 될거같은데 딱 맞는애도 잇고 저렇게 남는애도 있네요


부탁드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6.11.15 17:43
안녕하세요..

단열몰탈은 그저 최소한의 조치입니다.
같은 두께의 단열재가 덧대어지는 것이 맞습니다.
또는 덧대지 않고, 보완을 하려면. 현재의 단열재 보다 성능이 좋은 폴리우레탄폼으로 충진되어야 합니다. 충진은 지금 상태에서 그냥 발포하면 탈락이 되며, 발포 전에 바탕면에 분무기로 물을 뭍혀야 완전한 접착을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단열재사이로 나온 콘크리트는 모두 깨어 내고, 그 틈은 다시 폴리우레탄폼으로 메워야 합니다.

창호의 하부는 사진으로 볼 때, 현재의 방법밖에는 없어 보입니다.
하부도 물론 단열조치가 되는 것이 맞으나, 그러려면 창호를 설치할 때 이를 고려한 고정철물이 미리 계획되어야 합니다. 지금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며.. 사실상 우리나라에서 저희 협회 회원사를 제외하고, 이 이상의 조치를 하는 곳도 거의 없습니다.

경량벽체는 하중을 받는 벽체가 아니기에. 런너와 스터드 사이에 틈이 있어도 무방합니다.
물론 딱 맞으면 좋겠지만.. 현장의 거칠음이 이를 보완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틈이 많을 경우 스터드가 흔들리지 않도록 조치는 되어야 합니다.
3 이명래 2016.11.15 17:51
현장에 계신 분인가요?
공동주택(아파트)현장 시공 중 사진으로 보여 집니다.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이렇게 단열재 깨진 부위에 단열몰탈로 수정시공해도 무방한가요? 열관류율등 성능이 다를거 같은데 따로 문제 생기진 않을까요? 다른 최선의 방법이 잇나요?

답: 가장 좋은 것은 열전도율이 현재 시공된 단열재와 같거나 상회하는 재질의 단열재를 사용하여 땜빵을 해야 하겠지만, 판상형 단열재를 오려서 붙인다는 것이 사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거푸집 해체 시 파손된 것으로 보여 지는데, 현장에서는 펄라이트계의 바르는 단열재 즉, 질문하신 내용과 같이 단열 모르타르 바름으로 손보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콘크리트가 파괴된어 단열재 바름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열관류율이 호전된다는 것입니다.

2. 이렇게 단열재를 시공할때, 밀실히 부착하지 않아 그 틈으로 들어간 콘크리트를 깨어내고 시공하는게 맞는거죠? 깨지 않고 시공했을 때의 문제가 있나요? '외기-콘크리트-단열재-콘크리트'로 되면 사이에 뭐가됬든, 열관류율이 좋던 나쁘던 자재가 하나 더 추가되는거니까 단열에 더 좋은거아닌가요?

답: 현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으로써, 거푸집에 선부착된 결로방지 단열재가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에서 이탈하여 그 사이로 콘크리트가 밀려 들어 간 것입니다. 해결방법은 밀려 들어간 콘크리트를 떼 내면 그 두께만큼 위의 수직이 넘어간 게 되기 때문에 해당부위에 단열 모르타르를 바르면 됩니다. 천정 결로방지 단열재와는 다르게 우레탄 폼이 시공된 것으로 보여 집니다.

3. 창문이나 베란다 부분 샤시 시공할때 사춤을 무엇으로 하나요? 상부와 양옆은 그냥 우레탄 폼으로 쏴도 될거같은데 하부는 저렇게 벽돌이나 몰탈로 하는게 맞는거죠?

 답: 발코니 출입문 하부에 시멘트 벽돌쌓기나 시멘트 모르타르 사춤을 하는 것은 두 가지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는 해당부위 외측이 발코니므로 이 부분까지 방수층을 치켜 올리기 위함인데, 발코니 바닥과 치켜 올림 방수가 시멘트 액체방수공법이 적용되므로 시멘트계로 사춤을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문턱을 밟고 통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우레탄 폼(foam)사춤 시 강도가 거의 없기 때문에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최선의 방법은 바닥 콘크리트 타설 시 문턱이 되는 방수턱을 바닥과 일체화 하는 것입니다만, 현장에서 시공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저렇게 처리하는 것입니다.

4. 마지막 경량벽체 질문입니다. 런너깔고 스터드 세울때 저렇게 틈이 생겨도 상관은 없나요? 시공할때나 발주할때 길이 딱 맞게 자르고 시키면 될거같은데 딱 맞는애도 잇고 저렇게 남는애도 있네요

답: 경량철골 벽체에서 런너는 기초이며 스터드는 석고보드를 붙이기 위한 바탕으로써 샛기둥입니다. 질문하신 내용과 같이 천정과 바닥에 꽉 끼게 시공하면 재료인 금속의 열팽창에 의해 변위(휘어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의 경량철골 벽체는 그리 길지 않고 도배마감을 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만, 위에서 어떤 분의 질문과 같이 출입문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기압에 의해 미세하지만 흔들릴 수는 있을 것입니다. 창호가 기밀해짐에 따라 오피스 빌딩의 복도와 같이 창이 없고 있더라도 열어두지 않은 경우나 크린 룸 같은 경우에는, 출입문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석고보드 접합부위가 파괴되면서 도장 면에 균열이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위에서 거론한 바와 같이 주택의 내부는 그 정도는 아닙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 관리자 2016.11.15 17:58
ㅎ.. 제가 적는 사이에 이명래 선생님도 적으셨네요..
역시 현장경험이 많으시다는 것을 바로 느낄 수 있습니다.

파인 곳은 말씀하신대로.. 그 두께로 인해 단열성능을 상쇄할 수 있겠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3 이명래 2016.11.15 18:01
오늘 현장에서 제가 찍었던 사진을 보는 것 같습니다.
질문자께서 관심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G 박윤미 2016.11.17 08:57
이제 막 현장에서 처음일하는 기사입니다. 모르는게 너무 많고 알고자하니 끝이 없네요
선배님들의 경험과 지식이 너무 부럽습니다~감사합니다 오늘도 많이 배우고 시작하네요
수고하세요!
M 관리자 2016.11.17 10:29
네~~ 수고하세요~~
G qwerty12 2018.12.07 15:10
안녕하세요.
제가 실수로 공방 마루바닥에 붙이는 단열재를 붙였는데 손으로 떼니 잘 안떼어져서요.. 혹시 단열재 떼는법을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M 관리자 2018.12.07 15:55
드라이기로 가열하면서 떼시는 방법이 유일합니다.다만 양이 많으면 드라이기보다 소형열풍기를 사시는 것이 좋구요.가격도 쌉니다.
조심 하실 것은 본드를 가열하면 다량의 휴발성 유기화합물이 나오므로 꼭 품질 좋은 마스크를 쓰고 하셔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