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상업용 업무용 패시브건물의 공조 사례

4 HVAC 3 3,382 2016.12.27 20:02
일전 교육때 질문을 드리려했으나 못했는데
시점이 된듯합니다.

전에 듣기론 우체국건물의 사례를 말씀들었는데
혹 도면을 특히 공조 설비도면을 볼수있을까요?

가스가 들어오는 택지.삼사층 규모의 건물이라
주거를 일부 겸한다?
머릿속은 여러개 안은 스치는데 예전 사례가 있으면
도움이 많이 될듯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6.12.27 23:26
"시점이 된듯합니다. " 라는 의미심장한 문구는 무엇이죠?
겁날라 합니다.
4 HVAC 2016.12.28 07:36
아 그건 별의미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젠 환기위주의
소형 패시브 주택의 설비를
좀더 큰 상업건물에선 어떻게 적용했는지 또
옵티멀. 즉 효율 겅제적인 면들을 고려할땐 어떨까 고민할때란 뜻이온데 새해들어 바로 학교와 연구과제 미팅이 있습니다.
그걸 고민해보려고 합니다.

또 어제 이에코 정대표님이 강남 근생건물을
숙제로 던지셨거든요.
도시가스 지역이라 무조건 히트펌프를 말씀드릴순 없어서 기존 케이스도 궁금했구요.
도면은 아직 못봤지만 지하 1층 지상 4층.
근생 에 주택. 면적을 봐야겠지만 좀 애매한
사이즈라 고민중입니다.

먼저 그 우체국 조달 건물이면 ehp였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Ehp와 환기라? 덕트가 환기만 쓰긴 활용도가
떨어지고 공사비도 아숩고.

생각은 연천 타라주택 컨셉인데 상업존이있어
Ach 0.5는 부족하고. 또 주거존도 있고.

고민중이네요.

도면보고 질문드릴께요.
M 관리자 2016.12.28 15:54
네..
우체국 건물은 EHP+환기의 조합이므로.. 별로 건질 것이 없으실 것이구요..
제 생각에는.. 지역난방 지역이 아니라면.. 도시가스 공급 지역이라고 할지라도.. 상업시설은 히트펌프로 하고, 주거시설은 가스보일러 난방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