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내단열 질문입니다.

G 평화 8 4,598 2016.12.22 19:22

안녕하세요?

저는 지은지 17년된 상가주택 소유자입니다.

지층과 일층은 상가이고 2층과 3층은 주택인 집인데

2층을 내단열을 하려합니다.

이곳 질문사례를  눈이 아프게 들여다 보다가

질문을 드리는데 참고로 저는 늙은주부(?)입니다.---아는 게 별로 없습니다.

내단열을 하려는 이유는

이번에 인테리어를 하는데 저는 창문을 바꾸면 (lg 24mm최고스펙 적용)

다 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닌가 봅니다.

현재는 창이 옛날 창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곰팡이라든지 그런 문제는 없습니다.

허나

인테리어실장님으로 부터

창을 바꾸면 오히려 결로가 생겨 벽면에 곰팡이가 생길 것을 대비한 내단열을

권유받고 있습니다.

질문입니다.

1. 인테리어 실장님의 내단열 권유는 과연 합당한 제의 일까요?

실장님을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저는 불필요한 내단열이 오히려 하자를 만들까 두렵습니다. 


2, 내단열을 할 경우  다루끼(각목을 이야기 하는 것 같습니다)를 치고  다루끼 사이에  아이소핑크를

넣을 생각인데  최소 몇미리 정도를 넣어야 할까요?


3, 다루끼와 아이소핑크와의 사이에 생기는 틈은  연질폼으로 메꾸고

지난 다른 분의 질문에서 답을 주신대로 천정에 1m 정도를 꺽어 시공하는 외에

다른 주의점은 무엇일까요?

사진은  현재  문제가 없는 현장이므로  따로 첨부하지 않았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G 이명래 2016.12.22 23:39
1. 인테리어 실장님의 내단열 권유는 과연 합당한 제의 일까요?
실장님을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저는 불필요한 내단열이 오히려 하자를 만들까 두렵습니다.

답:
맞습니다.

이전에는 창이나 문 틈새로 외풍이 드나들었으나 창호를 새로운 것(lg 24mm최고스펙 적용)
으로 바꾸면 실내가 기밀해짐으로써, 내부의 수증기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습도가 높아지면서 결로발생 가능성 또한 높아질 것입니다.

2, 내단열을 할 경우  다루끼(각목을 이야기 하는 것 같습니다)를 치고  다루끼 사이에  아이소핑크를 넣을 생각인데  최소 몇미리 정도를 넣어야 할까요?

답:
지역이 어디신지 모르겠습니다만, 중부지방을 기준하면 100mm정도면 무난할 것으로 보여 집니다.

아니면, 새로 설치하는 창이 안으로 들어 오는 것을 기준하여 도배를 했을 때 창틀 끝단이 5mm정도 남을 수 있는 단열재의 두께가 어느 정도인지 계산해 보시는 것도 한 방법인데, 단열재의 두께가 최소 60mm정도는 되어야 단열성능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3, 다루끼와 아이소핑크와의 사이에 생기는 틈은  연질폼으로 메꾸고 지난 다른 분의 질문에서 답을 주신대로 천정에 1m 정도를 꺽어 시공하는 외에 다른 주의점은 무엇일까요?

답:
각목을 대는 것은 도배나 페인트 바탕이 되는 석고보드 또는 합판을 설치하기 위함인데, 단열재 위에 석고보드를 붙이는 전용 접착재료가 있으므로 구태여 각목을 댈 필요가 없습니다. 거기다가 각목을 대면 각목의 열전도율이 단열재보다 높기 때문에 불리할 것입니다.

그리고 외벽에서 천정 안으로 1m를 밀어서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은 거기뿐 아니라 , 외벽에서 시작되는 칸막이벽(T형 부재)도 천정과 같이 꺽어서 1m정도까지 연장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른 주의점은 단열재 접합부위를 틈없이 밀실하게 사공하시라는 말씀과 함께, 이어 붙이는 부위의 단열재를 직각이 되어 틈이 없도록 맞추지 못할 바에는 10mm정도 띄우고 그 틈을 우레탄 폼(foam)으로 전 단면을 채우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관리자님께서는 늘 바쁘셔서 외람되게 제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 관리자 2016.12.22 23:58
감사합니다.~
G 평화 2016.12.23 15:17
이명래님  감사합니다.
사실 아침부터 답글을 읽었으나  제가 글을  이해가 될 만큼의 소양이 없어 하는 수 없이 주위에 해석을 해 주실 분을 찾아 다시 설명을 받느라  조금 늦게 감사하다는 인사드립니다.^^

외단열이 좋다는 것은 알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외단열을 하지 못하는 오래된 집의 내단열은  이렇게 시공 하라는 표준시공지침서가  있었으면 좋으련마는  한번 인테리어에 맞긴  내단열이 문제를 일으켜 혼줄이 난 경험이 있는  저같은 문외한은 예전의  나쁜기억 때문에 지금은  다른 집이여도  인테리어하시는 분을  온전히 믿기도  어렵고  나이들어  이 곳까지 오기도 천신만고  돌아 돌아  왔습니다.ㅜ

따뜻한 답글을  참고 삼아  이 번만은  실패를 하지 않기를  희망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

p.s : 혹여라도 다른  조언이 생각 나시면 꼭 덧글도 부탁합니다 .
G 경복77 2016.12.30 14:59
저는 글쓰신 평화님이 말씀하시는 창호 교체 시공을 하고 지금 큰 하자를 겪고 있어 저같은 하자를 겪지 않으셨으면 하여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저같은 경우는 1995년 준공된 다가구 주택에 PNS 256B (22mm 복층유리) 제품을 시공했습니다.
그리고 기존에 생활하면서 외풍이 있다고 느껴지는 방에 아이소핑크와 석고보드를 이용하여 내단열 보강 시공을 하였습니다.
시공 전 추웠던 방은 그전보다 따뜻해진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실내 벽체에 결로가 발생하고 있고 창호 제일 안쪽 유리에서도 습기가 차고 물이 흐르는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실내습도를 확인해보면 보통 70프로 전후 높게는 85프로까지 습도가 높게 유지되는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혹시 모르니 한 번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시고 저같은 하자를 겪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G 평화 2017.01.02 11:56
경복77님  먼저 알려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 한다면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  아는 것이 없는 저로서는
난감할 뿐입니다.  아울러    제가 알고 싶은 점은
1. 새로 설치하신 창이 로이유리 2중창이신지 궁금합니다. 
 2,창호를 바꾸시기 전에는 결로가 없으셨던 것인지도 알고 싶고요
3. 아이소핑크는 몇mm를  내단열로 보강하셨는지
4. 아이소핑크는 기밀시공을 하셨던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경복77님과 제집이 조건이 꼭 같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이글을 보시면 답글을 부탁드려봅니다 경복님 글을 보니 또 걱정이 됩니다.
G 평화 2017.01.02 12:03
경복77님 .
저의 궁금사항을 윗글에 상담내용으로  올려 놓으셨으니  그글을 통해 제궁금증는 대부분 다 해결했습니다.
그래도 저의 질문글은  삭제하지 않겠습니다.  어서 빨리 결로문제가 해결 되시길 희망합니다.
G 경복77 2017.01.03 01:08
혹시 제가 지금 겪은 하자 평화님께서 겪었던 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okkwangho@naver.com으로 이메일 연락주시면 제가 가진 하자 검진 자료 보내드릴께요.
G 평화 2017.01.03 19:06
경복77님  메일 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