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목조주택 단열관련 문의 드립니다.

G 이성균 13 6,275 2016.12.19 17:22
먼저 외벽은 외부부터 
ㅁ. 스타코+ eps 180mm (접착제로 osb와 접착)+ osb11mm + 구조재2*6(셀룰로우즈충진)+석고보    드+ 합지벽지 마감 

지붕은 외부부터 
이중싱글+   방수시트 + osb11mm + 통기층 +투습방수지+ 서까래 2*10(셀룰오루즈충진)+가변형투습지 +석보보드+ 합지벽지 마감 

으로 구상 하고 있습니다. 

1. 이 조합의 경우 발생이 예상되는 하자가 있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16.12.20 00:51
안녕하세요..

일단 전제조건은... 가변형방습지 또는 방습지는 어느 한쪽에만 들어가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들어가려면, 벽과 지붕 모두 들어가야 합니다. 이는 어느 한쪽에만 단열재를 두는 것과 유사합니다.

1. 계산을 해보니.. 구조재 쪽의 셀룰로우즈는 빠지는 것이 (단열성능은 감소하겠지만) 하자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다만, 실내측에 가변형방습지가 들어갈 경우, 빠지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단열성능이 중요하시면 가변형방습지를 두고 하시는 것이 좋으나, 오히려 외부의 180mm 단열재 두께를 늘리는 것이 더 경제적일 듯 합니다.

2. 벽체와 지붕은 그 구성방식이 통일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외벽은 콘크리트, 지붕은 목조인 경우에는 다릅니다만.. ) 같은 목구조 방식이라면.. 구성의 개념이 같은 것이 좋습니다.
즉, 외벽의 비드법단열재로 외단열한다면, 지붕도 같은 구성이 좋으며, 이 때 지붕의 투습방수지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콘크리트 지붕의 외단열과 같은 개념입니다.)
그리고, 외벽의 단열성능에 비해 지붕이 같거나 더 낮습니다. 그러므로 단열성능을 더 높혀 주셔야 합니다.

3. 외벽에 비드법단열재를 접착식으로 고정하신 다면.. 개구부 주변의 누수처리가 제대로 되어야 하는 것에 유의하십시요.

-------------------
내용이 조금 어려우실 수도 있겠으나... 추가적 질문으로 답변을 더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 이성균 2016.12.20 09:50
답변감사드립니다.^^

지붕의 내부의 가변형 방습지가 외벽의 osb쪽으로 연결되게 하여 기밀층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1.외단열을 생각한건 구조재에서 생기는 열교를 줄여보고자 생각 했었습니다.
 셀룰로우즈가 빠지는게 더 안전하군요. 셀룰로우즈 자체의 조습작용과 시공시 높은밀도로 시공되어지기에 오히려 더 구조재를 보호할줄 알았습니다.

2. 지붕도 같은 구성으로  지붕 단열성능 더 높여야 겠군요.
M 관리자 2016.12.20 11:17
네 그 방법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공정의 순서만 잘지켜지면 해볼만한 방법인 듯 합니다.

셀룰로우즈를 사용하려면 외부 단열재 두께가 230mm 이상은 되어야 합니다. 2x4 구조라면 좀 더 얇아도 되구요. 이는 결국 비드법단열재의 안쪽 온도가 얼마큼 안정적이냐로 판단됩니다. 그래서 내부 무기질단열재의 두께가 두꺼우면 마치 내단열재로써의 역할을 하는 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믈론 셀룰로우즈가 말씀하신 장점이 있는 것은 맞습니다.

지붕은 비드법 180mm의 성능보다 더 높아야 하기에.. 네 어떤 방식이든 더 보강되어야 할 듯 합니다.
2 권희범 2016.12.26 23:05
관리자님, 지붕과 벽체의 구성방식이 통일되어야 좋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2016.12.27 00:26
아무래도.. 선의 일치(?)가 좋으니까요.. 소재가 같은 순서로, 같은 선상에 놓이게 되므로..
심리적(?)으로도 안정되고 배관 등등 작업성 면에서도 용이할 듯 합니다.
2 권희범 2016.12.27 17:42
넵. 고맙습니다.
5 Louisko 2017.01.03 14:41
관리자님 안녕하세요 

위 벽체 구성에서 내부 단열재를 빼고 외부에만 Eps를 붙힐경우  Eps의 두께는 얼마가 적당할까요?
단열이 떨어지더라도  안전하다고 하신 말씀이 궁금합니다.
M 관리자 2017.01.03 19:55
비드법 2종 3호 기준으로 160mm 이상이면 중부지방 기준으로 안전권에 들어옵니다.
G 국포 2017.01.25 20:12
관리자님. 안녕하세요.
전문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올려 놓으셔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단열규정에 의하면 말씀하신 비드법 2종 3호와 같은 가등급 단열재의 경우 거실 외벽은 125mm, 천정은 220mm 로 되어 있던데 위에 말씀하신 160mm는 어떻게 해서 나온 값인가요?
M 관리자 2017.01.25 23:50
안녕하세요..
법의 규정은 최소의 두께를 정해 놓은 것입니다.
하자가 없고 쾌적하기 위해서는 이 보다 더 두꺼워야 하며, 이를 위한 적정두께를 제시해 드린 것입니다.'
G 이명래 2017.01.26 09:57
2016년도 하반기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 중부지방 외기에 직접 면하는 벽의 단열재 두께를 가등급을 기준했을 때 155mm로 상행조정되었습니다.
G 국포 2017.01.26 13:26
관리자님. 이명래님. 답변 고맙습니다.
이명래님 말씀대로 공동주택 기준 155mm에서 여유를 두어 160mm로 말씀하신 것으로 이해 하였습니다.
M 관리자 2017.01.26 13:49
어.. 아니여요..
법규기준 대비 여유를 둔 것이 아니라.. 160mm 는 목조주택에 외단열을 할 때, 구조체에 결로나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는 최소한의 두께로 말씀드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