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기초 단열재 마감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melong | 댓글 8
매트기초에 외벽은 벽돌조적인 경량목구조 주택을 설계중인 건축주인데, 기초의 단열과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대지는 완전평탄하며 매트기초는 그라운드 레벨에서 250mm 정도 올라오게 구성되었습니다. 현재 기초의 구성은 위의 그림과 같이 되어있는데, 기초 측면에는 현재 단열재가 없는 상태입… 더보기
경질우레탄보드에 비드법단열재 부착
1 곰탱이2 | 댓글 3
외단열 시공자입니다 현장은 목감에 있는 RC조 건물 5층 상가주택입니다 현재 외벽에 경질우레탄보드 120mm가 일체타설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외벽마감이 외단열미장마감이라 현장에서 경질우레탄보드 위에 비드법단열재 50mm를 시공해 달라고하는데 화스너 170mm를 써서 시공하면 화스너 구멍때… 더보기
샌드위치판넬 지붕과 외벽에 자착식 방수시트
1 비바 | 댓글 7
안녕하세요. H형강 주택을 짓고 있습니다. 경사지붕의 단순한 사각형의 2층 건물인데, 2층 외벽과 지붕을 한덩어리로 묶어 다음구성으로 시공하려 합니다. (내측부터. 위에 첨부된 그림에는 C형강 층부터 있습니다.) 석고보드(회벽마감) > 경량벽체하지 > C형강 > T:15… 더보기
수성연질폼 사용문의
G corea1215 | 댓글 3
목조주택입니다 내벽>합지>석고보드>내장용OSB합판>2x6골조(수성연질폼단열)>OSB>탐린드레인랩>스타코플렉스(스티로폼100T) 1. 이렇게 시공해도 괜찮을까요? 2. 내벽에 가변형투습방습지를 꼭 넣어줘야 할까요? 항상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 감사 드… 더보기
GFRP를 이용한 파라펫입니다.
9 xilo | 댓글 5
GFRP를 외부벽체에 고정하고 방부목으로 보강한 후 CRC 보드를 붙여 방수턱을 만들었습니다. 외부는 경질폴리우레탄 밀도40k로 200mm를 시공하고 옥상바닥은 XPS105mm 3겹 시공하려합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는 아직 시공사례가 없어 생각하지 못한 여러 부작용들이 우려되어 여러 전… 더보기
배관밴트의 강제배기 문의드립니다
9 xilo | 댓글 3
봉수파괴 예방책으로 벤트에 음압을 걸려고 합니다 화장실이 4개인 관계로 사용을 안할 경우 봉수파괴가 우려되어 루프통기를 하려하였으나 비용상의 문제로 포기하고 배관 전체에 강제배기를 통한 음압을 걸려고 합니다 방수팬 중 저전력 저소음 저풍량 모델을 사용하여 시도하려 합니다 아직 시도해본적… 더보기
외장재를 여러개 쓰려는데, 방수문재. .
G 고현정 | 댓글 1
3층 상가주택을 짓고 있어요. 제가 살 집이라 정말 많이 신경쓰이네요 ㅜㅜ 1층이 상가 2,3층이 주택인데요. 1층 부분은 고벽돌로 마감. 2,3층의 1/3은 징크, 나머지는 드라이비트 시공 예정입니다. 단열을 위해서 건물 전체를 드라이비트로 돌리려는데, 문제가 발생했네요. 1층에 드라… 더보기
콘크리트 외단열용 단열재 비교...
1 정준영 | 댓글 2
건축 비전공인 건축주입니다. 건축 시작하기에 앞서여러분야로 공부를 해보고 나름대로 설계하는 중인데요. 궁금한게 있습니다. 단독주택을 RC조로 지으면서 패시브 기준에 적합하게 하려면 외단열로 어떤 단열재를 쓰면 좋을까 고민중입니다. 인터넷에서 여러방면으로 조사를 해본 결과 미트하임의 에어… 더보기
공기층을 형성한 단열재 질문
1 김민달 | 댓글 4
공기층의 열전도율이 가장 높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피구조체 내부에 중공층을 형성하여 구조체의 단열성능을 높인다. 이것은 공기의 비열이 다른 건축재료에 비해 현저히 낮은 점을 이용하여 구조체의 열저항을 높여주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때의 공기층의 열저항은 공기층 내부에서의 전도와 대류 … 더보기
패시브하우스 정량적 정의 질문
1 김민달 | 댓글 1
패시브하우스의 정량적 정의 난방에너지요구량 : 15kWh/㎡·a 이하 1차에너지 소요량 : 120kWh/㎡·a 이하 (냉방,난방,조명,급탕,환기,콘센트) 최대난방부하(중부/상부유럽) : 10W/㎡ 이하 최대냉방부하(남부유럽) : 10W/㎡ 이하 이때 ㎡·a 가 뜻하는게 뭔가요?
리모델링 설계 질문입니다.
G 모건축주 | 댓글 6
안녕하세요. 아래 리모델링 질문글(조적조 외단열)을 올렸던 건축주입니다. 간단히 다시 소개를 드리자면, 서울에서 대지24평,반지하, 지상2층 총40평의 주택을 매수한 건축주입니다. 1992년에 만들어진 주택이라 수리 및 개선을 하고 들어갈 예정입니다. 원래는 벽이나 창호 크기를 많이 변… 더보기
아파트 단열공사 와 창틀누수
G 윤동호 | 댓글 9
안녕하세요. 이사를 앞두고, 아파트 단열공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결로 곰팡이 문제가 조금 있고, 큰 산 주변의 지역난방(열병합) 아파트라서 겨울철 따뜻한 실내를 위해서단열시공을 염두해 두고 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가. 확장전 평면도 (전용면적 101 m2) 나. 확장후 평면도 … 더보기
외부 바닥 화강석판석포장 관련 질문 올립니다.
G 머리아프...ㅠ | 댓글 3
안녕하세요. 외부 화강석 버너마감 몰탈포장에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2달여 전 아파트 테라스 바닥에 화강석을 포장하였습니다. 판석과 판석 사이 매지부분에서 습기가 마르지 않고 얼룩이 머물러있어 최근 걷어내고 재시공을 해드린지 약 1주일가량이 경과 되었습니다. 지난 주 비가 한차례 오고… 더보기
비드법2종 관련 밀도 열전도율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관계 문의
1 하늘과별 | 댓글 1
안녕하세요 항상 패시브건축협회를 통해 여러모로 도움을 받고 있는사람입니다. 항상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공동주택 설계시 설계사무소에 문의 결과 단열재 채택 시 열전도율만 고려하여 설계반영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공동주택에 비드법 2종 2호로 내장단열 시공을 하였습니다. … 더보기
단열방화문 질문입니다
G 겨울이춥다 | 댓글 1
안녕하세요. 새 아파트인데 실외기실 겸 대피실 입구 문이 방과 연결되어 있어 겨울엔 결로가 발생하고 방 온도도 많이 내려갑니다. 게다가 여름엔 실외기실의 진동 및 소음이 방안으로 들어와 시끄럽기도 하구요. 아예 문을 때어버리고 단열방화문을 설치할까하는데 어떤 제품이 믿을 수 있는 건지 … 더보기
지하실없는 외단열 바닥마감
G 신정동 | 댓글 7
안녕하세요 단독주택 시공이 처음이라 궁금한 점이 많은 이 입니다. 지하 층 없는 1층바닥 안방입니다. 매트기초에 xps로 외단열을 하고 내부 마감에도 단열보완, 마감두께 여유분을 목적으로 비드법30t 를 주었습니다. 이때, 비드법30t가 과연 단열보완으로 효과가 있는 두께인지 궁금합니다… 더보기
상가주택 2층의 주택 바닥을 장판대신 집성판재를 깔려고 하는데...
G 탐구생활 | 댓글 8
장판걷어내고 뭘로 바닥재를 할까 고민하다. 아래 사진과 같은 집성판재를 깔아볼까 하는데요. (두께 18mm) 바닥에 결로가 안생기게 하려면 어떻게 시공해야 하는지 알고 싶어서요. 참고로 방문높이가 있어서 바닥에서 높게 띄울순 없어요. 방바닥미장부분에서 방문턱밑까지 잘해야 3센티미터 정도… 더보기
충진형, 반사형, 용량형단열좀 알려주세요
1 김민달 | 댓글 1
충진형, 반사형, 용량형단열이 궁금합니다
단열의주된 목적 그리고 공기층 단열효과가 궁금합니다
1 김민달 | 댓글 2
청소년 논문 자료를 조사하는중에 단열의 주된 목적이 무엇인가하는 의문이 생겼고( 단열의 종류 단열재와 공법 단열공사 시공방법 문제점 열 손실 방지 쾌적한 환경조건 허용온도 유지 동력비 절약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건강, 위생적인 환경 유체의 동결방지=단답형이라 이해하기 힘듬"") 그외에도… 더보기
단열재 관련 질문입니다.
G 신혼부부 | 댓글 1
안녕하십니까 전문가만이 사용하는 곳에서 아닌자가 글을 올리게되는데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시골의 30년 이상된 주택을 신혼집으로 얻게되어 무엇보다 단열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신혼인지라 적은비용으로 실내에서 할수있는 단열방법이 궁금하며 자재와 시공법을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무국장님 이메일 확인 부탁드립니다
G 원현식 | 댓글 1
사무국장님께 환기장치에 대한 개인적인 인터뷰건으로 메일 드렸습니다. 메일을 확인하신 후 회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녹이 슨 철근 문제 없나요?
1 열공 | 댓글 7
공사 현장은 세종이고 저는 부천에 거주하는 지라 현장에 없었는데, 시공사에서 자재 관리를 전혀 안했더군요. 철근을 사진처럼 방치했습니다. 제가 뒤늦게 비닐을 덮어 두긴 했지만 이미 다 녹이 든 상태구요~ 이 철근을 벽체 골조하는데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이게 나중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요… 더보기
설계/시공관련 질문드립니다.
1 희망이 | 댓글 15
안녕하세요? 5층 다가구주택(2~5층 각각 약20평.계단포함)을 신축하고 있는 건축주이며, 거의마무리단계에 와 있습니다. 건축에 대해 시공사측에 맡기면 되는 줄 알았는데 건축주로써 너무 무지했음을 뒤늦게 알게 되니 문제발생시 해결해 나가기가 엄청 힘이 듭니다....ㅜㅜ 중간중간에 심각하… 더보기
가변형투습방습지 : 단열재 vs 사람
1 환이아빠 | 댓글 9
이곳에서 많은 공부를 하고 도움을 받아 쾌적한 집을 짓고 잘 살고 있는 건축주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어떤분이 질문한 내용에 답이 어려워 문의 드려봅니다. 가변형투습방습지의 역할이구조목과 단열재의 높은 습도 노출을 피하기 위하여 여름에는 외부의 높은 습도를 실내로 투습 해주고 겨울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