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여기다 질문드려도 될지 모르겠지만....

안녕하세요^^

이런곳이 있다는것이 신기하고 정말 고맙습니다.

몇년안으로 오래된 시골양옥집을 부수고 농사짓는부모님 집을 친환경 주택으로 지어드릴려고 합니다..

27년전 부모님이 저나이때지은 양옥집이 겉은 멀쩡하지만 단열도 제대로 안되고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고 관절등 여기저기 편찮으신 부모님이 생활하기 조금이라도 편하게 집을 지어드리고싶습니다.

하지만 여기저기 둘러봐도 진짜 도무지 어떤집을 어떻게 지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여기 표준주택이 저한테 딱좋은것 같습니다만... 이사이트를 알기전 접한내용에 궁금점이 생겨

몇번고민하다 글을 적습니다..

 

독일등 유럽의 세라믹 황토 벽돌을 재료로 한 지겔하우스를 소개하는 사이트를

http://cafe.daum.net/hlbest 보고 패시브주택까진 아니더라도 친환경적이고 건강에도 좋은주택 같아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아직까진 목조주택 이나 조립식처럼 많이 알려지진 않은것 같고 황토벽돌 집이랑 비슷한것같습니다..

 

질문은

-여기 표준주택사양을 지겔주택에 접목해도 될까요? 표준주택이 목구조에 맞춰져서 설계가된것인지요?

 

지겔주택 사이트의 재료 소개및 건축사양을 첨부했습니다.

-실례가 될지모르겠지만 두번째파일의 사양목록중 건강식 사양으로 단열에 신경써서 집을 지어도 여기 표준주택처럼 괜찮은 집이 될수있을지 궁금합니다.

 

표준주택에 대해서도 한가지만 여쭙겠습니다..

-30평 이상의 큰주택은 필요치않고 25평에서 28평주택도 표준주택처럼 지을수있을지 궁급합니다.

 

-시공은 협회에 의뢰를 하면 되는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제대로된 지식없이 초면에 불쑥 질문드린점 불쾌하셨다면 한번더 양해부탁드립니다.. 게시판의 내용에 부합하지않는 내용이 있더라도 너그럽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Comments

G orroro 2017.09.28 20:55
표준주택 17호가 관리자님께서 24평이라 하시네요. 17호 보시면 좋으실 거 같아용! 저도 작은 평형에 관심 있거든요.
M 관리자 2017.09.28 23:14
안녕하세요..

-여기 표준주택사양을 지겔주택에 접목해도 될까요? 표준주택이 목구조에 맞춰져서 설계가된것인지요?
▶ 네. 목구조에 맞추어서 설계가 된 것이며, 조만간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표준주택이 착공하게 될 예정입니다.
말씀하신 지겔주택에 접목하는 것은.. 안될 이유는 없습니다만, 표준주택으로써의 지위를 얻기는 어렵습니다. 이 소재를 위한 디테일과 창호크기 (특히 이부분..) 등을 모두 변경해야 하므로, 표준주택과 같은 모양, 같은 평면이라고 할지라도 개별 설계건으로 진행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시다 시피 표준주택은 이미 모든 도면이 완전히 정해진 상태에서 마감자재만 변경하는 것이라서요.
 
지겔주택 사이트의 재료 소개및 건축사양을 첨부했습니다.
-실례가 될지모르겠지만 두번째파일의 사양목록중 건강식 사양으로 단열에 신경써서 집을 지어도 여기 표준주택처럼 괜찮은 집이 될수있을지 궁금합니다.
▶그렇지는 않아 보입니다. 나름 열심히 하고 계신 회사의 제품에 토를 다는 것이 마땅치는 않으나, 정확한 숫자로 파악될 수 있는 외벽의 열적성능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말씀해 주신 "건강형"이라는 모델의 외벽성능은 계산해 보면, 현재 건축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중부지방 외벽의 열적성능에 거의 맞아 떨어집니다. 즉, 적법한 주택의 수준입니다.
표준주택은 이보다 성능이 많이 높습니다.
한가지 신기한 것은..  고급형과 최고급형 외벽의 열관류율이 그리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건강형은 300mm 블럭 + 100mm 외단열
고급형은 300mm 블럭 + 왕겨숯 (150mm)
최고급형은 300mm 블럭 + 왕겨숯(200mm) 또는 패시브블럭 300mm
인데요..
성능에 대한 구체적 숫자가 없어 그렇긴 하나..  얼추 계산해 보면 열적성능은 대동소이 합니다.
아마도 마감재 사양이 고급형, 최고급형이라는 의미에 더 가까워 보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형이라는 모델에 외단열을 제대로 하고, 지붕의 구성을 변경하고, 열교없는 디테일 구현, 유리성능 향상, 외부차양 추가 등이 되면 표준주택과 같은 성능을 낼 수 있습니다. 즉 그리 큰 문제는 아니라는 뜻입니다.
오히려 문제는 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설계변경의 요소가 많음에 따라 표준주택과 같은 가격에 소유는 불가능해 보인다는 점입니다.
 
-30평 이상의 큰주택은 필요치않고 25평에서 28평주택도 표준주택처럼 지을수있을지 궁급합니다.
▶ 위에 orroro 님의 답변으로 갈음될 것 같습니다.
 
-시공은 협회에 의뢰를 하면 되는것인지도 궁금합니다..
▶ 네. 그렇습니다.
1 파랑 2017.09.28 23:58
정확하고 빠른 답변 정말 고맙습니다.. 충분히 참고해 결정하도록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