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조적시공을 위한 패스너 및 기술 관련

1 knufi 20 5,575 2017.08.31 16:09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다시 질문드리게되었습니다.

 

단독주택(3층)이 착공에 들어가 곧 치장벽돌 시공을 하게 될듯합니다.

 

rc조에 eps로 외단열을 하였는데요.

 

기존 패스너들은 열교차단이 힘들듯 하여 여럿 알아보고 있지만 

 

마땅한 국내제품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협회에서 추천해주는 이비엠리더의 열교차단패스너는 이비엠리더측에선

 

조적에는 추천하지 않는다고 해서 제외하였고

 

티푸스코리아의 건식외단열공법에 조적시공을 해보려 하는데 시공법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이또한 상의중에 있습니다.

 

 

람다하우스를 참고하려 했으나 그곳에 들어간 패스너같은경우엔 국내에서 구하기가

 

쉽지 않더군요.

 

 

열교를 피할수 있는 국내 패스너라던가 다른 시공법, 혹은 

 

이를 상의해볼 수 있는 조적시공사가 있을까요?

 

 

두서없는 질문글 죄송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7.08.31 16:36
안녕하세요..

국내에서 수급이 가능하세요..
자재정보 - 열교에 있는 TB 블럭에 연락을 하시면 되실 겁니다. 개당 1,500원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1 knufi 2017.08.31 16:45
안녕하세요. 고강도단열재 때문에 연락드렸던 적이 있는데... 이렇게 가까이에...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2 TBBlock 2017.08.31 17:02
긴결철물 시공 사례 입니다.
2 TBBlock 2017.08.31 17:05
스텐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조적 긴결철물입니다.
600 mm x 600 mm 면적당 1개가 필요한 것으로 구조검토 되었습니다.

현재 흰색 켑 부분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단열재 두께는 150, 200 mm 까지 적용 가능합니다.
그 이상의 두께는 주문제작해야 합니다만.. 수량이 아주 많아야 합니다..
1 knufi 2017.08.31 17:13
흰색 캡 부분은 좀더 단단한 고정을 위해 부착하는건가요?

그렇다면 어떤 것으로 대체할수 있을까요?
1 knufi 2017.08.31 17:35
관리자님께 하나더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요.(협회에 나와있지 않은 특정 제품에 대해 질문드려도 되는건가 싶네요.)

대도벽돌이라는 업체에서 내진/열교차단용 시스템이라고 소개하는 타이브릭이라는 시스템제품이

있는데 열교에 대한 어떠한 시험성적이나 설명이 없어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질문드립니다.

열교차단에 효과가 있는 제품인가요...?
2 TBBlock 2017.08.31 18:26
흰색 켑 부분의 기능적 역할은 조적 뒷면으로 스며드는 물을 막아주는 역할이라고 들었습니다만.

디자인적인 요소가 더 큰 것 같습니다.
(정확한 의미는 찾지를 못했습니다.)

현재는 우레탄폼 등으로 충진하는 방법이 현실적인 것 같습니다.
2 TBBlock 2017.08.31 18:36
문의하신 제품을 찾아봤습니다.

1000 mm x 1000 mm 당 1 개의 철물만 사용해도 되고
스텐레스 재질로 이루어 져서 열교차단 성능은 있다고 봐도 됩니다.
다만 철물의 직경이 얼마인지가 중요하겠습니다.

이외의 다른 형태의 철물들은 용융도금철판이라 열교 발생이 상당합니다.
M 관리자 2017.08.31 19:35
아.. 아니어요..
아쉽게도 해당 제품의 못은 SST 가 아니어요..

캡의 역할은 빗물의 유입을 막는 것이 1차적 기능, 단열재를 잡아 주는 것이 2차적 기능입니다.
1 knufi 2017.09.01 09:38
아.. 그렇군요.

두분모두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17.09.01 09:42
그래도 심재에 플라스틱이 싸여져 있으니.. 열교는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닐 듯 합니다.
한번 가격을 알아 보시는 것도 좋으실 듯 해요..
저희에게도 알려 주시면 더 좋구요.. ^^
2 TBBlock 2017.09.01 09:54
관리자님께서 말씀하셔서 다시 천천히 확인해 보니
제일 중요한 나사못이 스텐레스가 아니였습니다.
(혼선을 드려 죄송합니다.)

나사못 부분만 스텐레스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계열로 변경된다면 좋을텐데 아쉽네요..

플라스틱으로 쌓여있긴 해도 결국에는 단열재를 철이 관통하는 상황이긴 하네요..
G 안시성 2017.09.03 14:16
화스너로 인한 열교가 실생활에 의미있을만큼
단열에 문제가 된다고 체감하신분 계신가요?
혹은 기존 화스너를 사용했더니 단열에 문제를 느꼈다 하시는분
계신지도 궁금하고요
M 관리자 2017.09.03 15:44
실생활에의 체감은 너무 주관적인듯 하구요..

긴결철물이 SST 여야 하는 것은 열교적 측면보다는 (물론 열교에도 의미가 있기는 하지만) 조적벽의 장기 내구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조적벽의 균열은 대부분 긴결철물의 부식과 관련이 깊습니다.
M 관리자 2017.09.03 15:45
이런 벽을 조사해 보면, 아래와 같이 긴결철물이 부식되어 횡력을 잃어 버린 것이 원인입니다.
<출처:http://www.btpreservation.co.uk/technical_article/wall-tie-corrosion-in-post-war-housing-and-commercial-buildings/>
M 관리자 2017.09.03 16:02
열교를 계산해 보면..
기존 사용하는 철물은 구조계산을 해보면, 5개/제곱미터가 필요합니다.

기존 열전도율 0.034 W/mK의 단열재 100mm 를 사용한 건물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단열재만의 열관류율은 0.34 W/㎡K 입니다.
철사의 지름이 1.5mm의 긴결철물을 사용한다면...

철사 1개당 열관류율은
1/ (0.1/53) = 530 W/㎡K (표면열전달저항 무시)

철사 1개당의 단위면적당 점형열교는..
= 개당 열관류율 x 개당 점유율 x ㎡당 갯수
= 530 x (0.000002/1) x 5 = 0.0053 W/㎡K
이 됩니다.

그럼 단열재의 실질 열관류율은 0.34 + 0.0053 = 0.3453 W/㎡K 이 되고,
이를 단열재 두께로 환산하면, 98.5 mm 가 됩니다.

즉, 긴결철물로 인해 단열재 두께가 1.5mm 줄어든 것과 같은 효과입니다.
긴결철물의 가격을 생각하면 충분히 의미가 있는 숫자입니다.

그러나, 이 보다 더 우선되는 것은 말씀드린 바와 같이 "부식방지"가 더 큽니다.
6 티푸스 2017.09.04 18:10
현장에서 실제 사용하는 칼브럭(아연도금 철선) 지름은 4~6mm입니다.
4mm라고 가정하고 이를 위 관리자님 산식에 그대로 적용하면,
아마 이렇게 될것 같습니다.
==================================
=530 x (0.00001256/1) x 5 = 0.033 W/㎡K 이 됩니다.

실질 열관류율은 0.34 + 0.033 = 0.373  W/㎡K 이 되고,
이를 단열재 두께로 환산하면, 91.9mm가 됩니다.

설계된 단열두께의 약 10%는 감쇠된다고 할 수 있을겁니다.

그럼 스텐레스를 같은 규격으로 쓴다면?
스텐레스 철사 4mm의 열관류율은 1/ (0.1/15) = 150  W/㎡K

= 150 x (0.00001256/1) x 5 = 0.00942  W/㎡K
실질 열관류율은 0.34 + 0.00942 = 0.349  W/㎡K

0.340 < 0.349 < 0.373
================================
이러한 숫자들이 얼마나 체감이 될런지는 모르겠네요.
그러나 저에게는 상당히 큰 숫자로 다가오네요.
G 안시성 2017.09.05 11:25
정확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정확한 수치로 집을 짓는것도 사실이지만 숫자놀음으로 집을 지어서도 안될일이죠
단열재 두께 1mm 10mm 손해라면 그정도 두꺼운것 쓰면 그만일것 같고요

부식으로 인한 횡력상실 방지에 주요 목적이 있다고 보는것이 합리적이겠네요.
6 티푸스 2017.09.05 12:48
네, 사실 조적벽의 긴결철물은 연직하중을 부담하는것이 아니라 관리자님 서술데로 횡력과 전도방지가 주요 목적이 된다고 봅니다.
아무리 아연도금된 철선이라도 조적벽 내부가 건전하지 못하면 그 수명은 예상보다 짧을 것이고, 결국 장기적으로는 건축물 수명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 충분히 예측 될것입니다.
열교도 중요하지만 장기적 구조 안전성도 중요하겠지요.
그래서 가급적이면 부식에 강한 스텐레스 철물 사용이 권장되고요, 그게 어렵다면 pvc로 피복된 아연도금 철물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할것 입니다.

일반적인 생각에서 치장벽돌 마감은 경제적이고 쉬워보이지만,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제대로 하기에는 그 어느 마감재 보다 가장 까다롭고 어려운 공종이라고 생각됩니다.
M 관리자 2017.09.05 15:36
안시성님//
네.. 맞습니다. 하지만 그 숫자놀음이 있어야 감각이 근거를 가질 수가 있습니다. 사용자는 감각에 의존하겠지만, 엔지니어는 그 사용자를 위해서 끊임없이 숫자놀음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