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RC 구조의 지붕과 벽체 통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G 장봄 20 7,794 2018.03.26 16:20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에 늘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일전에도 외부통기 지붕 관련해 몇 차례 질문을 드렸었지요.

또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전에 문의드렸던 대로 경기 북부에 2층 주택을 건축예정입니다.

그간 여러 형태의 주택과 아파트에 살아봤지만 최상층은 더위와 추위에 너무 약하다는 점을 익히 알고 있어서 어떻게든 최대한 덜 덥고 덜 추운 2층을 만들어보려고 나름 여러모로 궁리중인데요.

 

외장재는 벽돌 조적, 지붕재는 아스팔트 슁글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붕은 처마가 거의 없다고 봐야 하고 외벽선 밖으로 통기층 정도(50MM)만 노출되고 빗물받이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궁금한 것은

 

1. 1,2층 RC구조에서 외부통기지붕은 어떻게 구성이 돼야 할까요?

 

협회의 기존 글을 참고하면

콘크리트 경사지붕일 경우

인데요..

 

해당 글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1954#c_2197

을 읽어보면 콘크리트 경사지붕에서 단열재 취부시 공정상 어려움과 비용상승이 많겠더군요.

 

그래서 기초와 벽구조는 RC로 하고, 지붕은 목구조 지붕을 하면 어떨까 싶은데요.

쉽게 생각해서 콘크리트와 나무라는 서로 다른 성질의 구조재가 만나다보니 문제는 없을까 걱정되기도 합니다.

 

1-1. RC 벽구조에서 목구조 외부통기 지붕을 만들 때 구성은 어떻게 될까요?

1-2. 비용과 성능면에서 콘크리트 경사지붕의 외부통기지붕과 목구조 외부통기지붕 중 어떤 쪽이 유리할까요?

1-3. 그리고 RC 벽구조에 목구조 외부통기지붕을 만들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2. 외벽마감이 벽돌 조적입니다.

조적층의 통기를 위해 세로줄눈에 넣는 부속물이나 심지어는 화스너나 연결철물조차 정석대로 하는 곳이 거의 없어 걱정이지만 최대한 반영하려고 생각중입니다.

 

아래는 이전에 올려주신 글인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3511#c_3512

중 일부인데요. 

 

안녕하세요.

노파심에 말씀드립니다만, 외부통기지붕(웜루프)는 기존의 지붕 안쪽에 설치하는 벤트는 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그러므로 레프터벤트, 소핏벤트 등의 용어도 다르게 사용되는 것이 맞습니다.
혹여 레프터벤트라고 하면 현장에서 기존 방식대로 시공될까 염려스럽습니다.

1. 외부통기지붕은 올려주신 순서 중에 "각상" 부분에서 통기가 되는 형식입니다. 즉, 처마에서 들어간 공기가 "각상" 사이로 빠져서 용마루 쪽으로 나가는 개념입니다.

2. 외부벽체의 공기층과 지붕의 "각상" 사이의 공기층은 이어지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오히혀 잇기가 더 까로우므로 그리 신경쓰지 않으셔도 되실 듯 합니다.              

   

 RC 외단열에 벽돌 조적이라면 위의 그림을 참고할 때

단열재와 조적층 사이 간격이 공기층?이 될 텐데요.

 

2-1. 붉은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지붕과 벽체의 공기층이 이어지지 않는 것이 맞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2-2. 만약 위의 그림처럼 벽체와 지붕의 공기층이 이어지지 않게 시공할 경우,

벽돌 조적층과 지붕면 사이에 저렇게 통기가 될만큼의 간격을 띄워야 하는 걸까요?

그 간격은 어느 정도일까요?

그 틈으로 빗물이나 벌레 등의 유입은 없을지..(지난번 지붕 통기층에서 설명해주신 것처럼 여기도 방충망 같은 것을 시공하게 되는지..)

 

 

2-3. 아스팔트 슁글의 외부통기지붕이라고 해도 용마루에 아래 표시 그림처럼 릿지벤트와 뚜껑?을 설치해야 하는 걸까요? 기본적으로 외부통기지붕은 소핏벤트가 필요없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용마루 쪽은 어떻게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5e93caca669a07fbd31a156c7d98bf06_1522048559_326.jpg 

 

집을 지으려고 하다보니 보다 쾌적하고 에너지 절감형의 주택에 대한 지식이나 시공방식에 대해

잘 아는 사람도, 그리고 알려는 사람도 참 드물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건축에는 평생 관심도 없었던 진정한 문외한이었다가 갑자기 건축주가 된 저는 말할 것도 없고요.

 

협회의 많은 질문과 답변 글, 그리고 기술자료가 그래서 더 힘이 됩니다.

물론, 그대로 구현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이지만요.

 

늘 감사드리고,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8.03.26 17:40
1-1. RC 벽구조에서 목구조 외부통기 지붕을 만들 때 구성은 어떻게 될까요?
▶ 콘크리트 구조와 목조지붕은 상성이 좋습니다. 품질 내기도 용이하구요. 구성은 협회 표준주택을 참조하시면 되실 듯 합니다.

1-2. 비용과 성능면에서 콘크리트 경사지붕의 외부통기지붕과 목구조 외부통기지붕 중 어떤 쪽이 유리할까요?
▶ 비용적 측면에서도 목구조지붕이 유리한데.. 문제는 지붕공사만을 위해 현장에 들어오려 하는 목수가 드물다는 것입니다. 그 지역에서 외부통기지붕을 이해하는 목수가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1-3. 그리고 RC 벽구조에 목구조 외부통기지붕을 만들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 지붕과 콘크리트벽체가 이어지는 부분에 기밀테이프 작업을 잘 해야 합니다.
 
2-1. 붉은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지붕과 벽체의 공기층이 이어지지 않는 것이 맞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너무 긴 것이 하나, 그리고 중간에 꺽이게 되는 것이 모여져서 공기가 정체되는 현상이 생깁니다. 문제는 공기만 올라가고 수분만 남아 있는 경우가 있어서 하자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2. 만약 위의 그림처럼 벽체와 지붕의 공기층이 이어지지 않게 시공할 경우, 벽돌 조적층과 지붕면 사이에 저렇게 통기가 될만큼의 간격을 띄워야 하는 걸까요? 그 간격은 어느 정도일까요?
그 틈으로 빗물이나 벌레 등의 유입은 없을지..(지난번 지붕 통기층에서 설명해주신 것처럼 여기도 방충망 같은 것을 시공하게 되는지..)
▶ 틈은 25mm 이상으로 하고, 방충망을 사용하시면 되세요. 그리고 조적건물은 벽체 중간 중간 통기를 위한 부속품을 규정대로 넣으면 벽과 지붕의 통기층을 이어도 됩니다.
 
2-3. 아스팔트 슁글의 외부통기지붕이라고 해도 용마루에 아래 표시 그림처럼 릿지벤트와 뚜껑?을 설치해야 하는 걸까요? 기본적으로 외부통기지붕은 소핏벤트가 필요없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용마루 쪽은 어떻게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 네 용마루도 필요합니다.
G 원오연 2018.03.26 22:15
골조  철콘  지붕 목구조
지붕  목구조  부분만 따로  공사한건 제가  가장  많이 했을겁니다
철콘 작업때  필히 L앙카  시공하시고요
오픈 천장이냐  아니냐에  따라서  시공이  달라집니다
오픈 천장일때  웜루프  시공이  좋은데 이중  단열해주세요
웜루프의 기본은  기밀 테이프  작업입니다
용마루쪽도 용마루가 서까래 보다  위로  올라와야  됩니다
남쪽과  북쪽  온도차가  다르기  때문에  남쪽의  따뜻한 공기(빠르게  이동)가  북쪽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북쪽  공기는  용마루 밴트로 빠져  나가기  힘들겠죠
생각보다 웜루프를  제대로 이해하는 빌더들이  많지는 않습니다
G 장봄 2018.03.27 22:53
착공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여전히 모르는 것 투성이인 제게 관리자님의 답변과 협회의 많은 자료들은 늘 큰 힘이 됩니다. 정말 감사드리고요. 추가로 궁금한 것이 있으면 또 질문 올리겠습니다.
G 장봄 2018.03.27 22:55
원오연님의 답변도 정말 감사드립니다. 예전에 시공 관련해서 연락드린 적이 있었는데...요즘은 어느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계신지요. 이곳에서 다시 뵈니 반갑네요.
G 장봄 2018.03.28 00:41
표준주택의 지붕구성을 살펴봤습니다.
지붕구성 (외측부터)

금속지붕 거멀접기 + 방수시트 + 50mm 통기층 + 투습방수지 + 40 32K 글라스울 + (2x2 + 2x10) 스터드 (셀룰로우즈 또는 정상밀도글라스울) + 가변형방습지 + 설비공간 + 석고보드 2겹

로 돼있는데요.
아스팔트 슁글도 마감재만 바꾸면 동일하게 적용하면 될까요?
M 관리자 2018.03.28 17:52
슁글은 슁글 하부에 조금 다릅니다.
슁글 - 방수시트 - 내수합판 - 통기층의 순서입니다.
G 원오연 2018.03.28 20:56
안녕하세요 장봄님 요즘 화성 동탄 현장에서 마무리 작업하고 있습니다
요즘 철콘에 지붕 목구조 관심이 많아서 아시는 건축사분들께 시공 의뢰 부탁드리고 있습니다 ^^*
패시브 하우스를 구현하는건 목조보다 철콘이 쉬울겁니다
철콘이 생각보다 장점이 많습니다
G 장봄 2018.03.29 00:54
관리자님 답변 감사합니다. 본문 내용과 전혀 다른 내용이긴 하지만 문득 생각이 나서 여쭙니다. 열회수 환기장치를 고려하고 있는데, 협회 올라온 글 중 표준주택에서는 욕실에는 디퓨저 설치를 하지 않는다는 글을 본 기억이 납니다. 저희도 욕실은 습기 등으로 인한 덕트의 결로 등이 걱정되어 별도의 환기팬만 설치하고 환기장치는 설치하지 않으려고 하는데요. 어떨까요? 협회에서 욕실에 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으시는 이유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G 장봄 2018.03.29 00:56
원오연님 화성에서 작업중이시군요. 최근 건축 중인 주택들을 보니 단독이 아닌 다가구에서도 목구조 지붕을 쓰는 곳이 적지 않더군요. 어디서든 건승하시길 기원합니다. ^^
M 관리자 2018.03.29 08:40
비슷한 이유입니다.
유럽의 욕실과는 그 양상이 달라서요...
2 권희범 2018.03.29 11:45
rc골조에 목조 지붕 올리는 게 이제 좀 늘어나려나 봅니다.

원빌더님 말씀대로 벽체 상부에 L앙카를 심을 때는 지붕 시공자와 그 간격에 대해 미리 협의가 필요합니다.
벽체 상부와 토대목 사이에 방습소재의 재료분리재가 깔려야하구요.
벽체 상부 평활도는 자동수평몰탈이든 미장이든 최대한 확보해야 토대목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토대목이 깔리고 나면 목조주택과 다를 바 없이 진행됩니다.

어려운 부분은 콘크리트 박공벽 상부의 평활도가 대부분 매우 좋지 않다는 겁니다.
여기서 저와 원빌더님 의견이 갈리는데요,
저는 벽 전체를 같은 높이로 만들고 박공벽도 목조로 올리자는 입장입니다. osb와 콘크리트 골조의 면을 맞추고 eps로 같이 덮어버리는 거죠.
박공벽 내부에 방습층이 생기고 외단열 두께가 패시브 수준으로 확보된다면 문제 없을 거라 봅니다.
원빌더님은 목조벽체에 eps외단열은 좋지 않고, 목조벽체와 콘리리트 벽체가 만나는 부분에서 단열재와 마감재의 변형도 올 수 있다는 의견이시구요.
아니면 아예 모임지붕을 하는 방법도 있을 겁니다.

아무튼, 박공벽 여부를 떠나서 rc에 목조 지붕은 장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많이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치만 와서 그것만 하라고 부르면 저도 가기 싫다는 게 함정입니다.ㅎ
G 장봄 2018.04.04 13:39
답변 확인이 늦었네요. 관리자님, 권희범님 답변 감사합니다. 주신 조언 참고해서 좋은 집 만들어보겠습니다. ^^
1 튼실통실파 2018.11.30 10:50
예비건축주 입니다.
RC조에 목조지붕 구상중인데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G 율이아빠 2019.10.07 02:02
다락 외쪽경사로 로 할때 슁글마감이구요
슁글-그레이스자착시트방수(방수시트랑 같은거 맞죠??^^)-
내수합판-통기층-경질PIR단열재(상70,하50)-아연도 각파이프 50x100 , 50x50 (X.Y) -
스텐브라켓(@900x900) - 모체침투방수3회-골조 구배정리(26도) 하는데
벽은 점토벽돌이라 통기가 되고 외쪽지붕 용마루쪽은 어떻게 통기가 되나요? 합판위에 씨트방수가 덮어지면 당연히 합판이 연결될것인데 용마루에 통기벤트를 어떻게 설치가 되는가요?
그림으로 부탁드려도 될까요?

그리고 4층에서 옥상가는 계단이 반은실내 반은 옥외계단입니다 ( 반참돌아서 나가면 나머지 반은 외부로해서 옥상 올라갑니다)
옥상올라가는 계단하부가 계단실입니다 그래서 단열은 그냥 내부에 했는데 방수는 액방 말고 뭐하면 좋을지요 마감은 화강석 입니다
일단 우레탄도막/시멘트몰탈/화강석으로 했는데 이상없을런지
그냥 무난하게 액방갈지 고민이네요 근생건물입니다.

마지막으로 경사지붕에 외단열(상기 도면) 슁글마감에  지붕창 설치한 사례가 있는지요 디테일 너무 어렵네요ㅠ.ㅠ 견적과 도면 요청하면 업체에서 받을수 있나요ㅠ.ㅠ

도면 pdf올립니다
G 율이아빠 2019.10.07 02:04
어라 도면 하나만 올라가네 .....~지붕관련 다시 올립니다
M 관리자 2019.10.07 14:20
두번째 올린 도면은 열리지 않긴 하나, 없어도 될 것 같습니다.
우선, 이런 고민을 건축주가 한다는 것이 믿기기 않을 정도이나, 각설하고 답변에 집중하겠습니다.

1. 슁글 지붕의 용마루 통기구는 아래 링크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jproofing.net/services/roof-ventilation

2. 외부 계단 하부에 실이 있는 경우의 방수는 방수 방식을 떠나서, 꽤 잘하는 (꽤 비싼 공사비의) 시공사 아니면 100% 누수입니다. 그러므로 누수를 전제로 말씀드리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2-1. 하부 실의 천장 마감을 가급적 하지 않거나, 석고보드 외의 철망메쉬와 같은 것으로 하시어서, 언제든 누수에 대비할 수 있게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그 속의 단열재가 유기질 단열재라서, 화재에 대비해 단열재 위에 최소한의 무기질뿜질이라도 해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2-2. 액체방수는 심리적 방수입니다. 물리적 효과는 없습니다.

2-3. 그렇게 보면.. 결국 시트방수를 해야 하는데, 계단 상부에 시트방수를 제대로 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습니다. 왜냐면, 모든 콘크리트의 모서리를 둔각으로 처리하고 시트를 붙여야 하며, 이렇게 잘 붙이다고 하더라도, 후공정인 몰탈과 석공사 때 이 방수층이 훼손될 가능성이 워낙 높기 때문입니다.

2-4. 그럼 이도 저도 어렵다는 이야기이므로, 결국 누수가 된다고 보고 접근을 하셔야 합니다.

2-5. 그럼 너무 황당하실 테니까.. 현재의 수준에서 올바른 방수 방법은.. 사선으로 (경사지붕하듯이)  계단의 슬라브를 타설하고, 방수, (단열은 옵션)을 한 후에, 그 위에 계단 콘크리트를 한번 더 타설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비용이 증가됨과 동시에, 계단의 레벨 계산부터 다시해야 하므로, 도면이 변경되어야 합니다.

2-6. 그러므로 이 모든 정황을 고려해 볼 때, 설계를 제대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올리신 도면을 보면, 이미 꽤 멀리 왔으므로 그 것 조차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2-7. 하여... 건축주가 디테일을 이야기하시는 이 현실이 저도 참 어렵습니다.
G 지율아빠 2019.10.07 16:18
확장자를 지워버렸네요
디테일은 제가 고민하는것 입니다 건축주가 아니고ㅠ.ㅠ 그리고 하부가 다행이도 계단실 입니다
일단 우레탄도막/화강석 문제는 없을까요? 아님 우레탄 하고 각파이프에 데크시공이 나을까요?

경사지붕 한번봐주세용~
M 관리자 2019.10.07 16:29
ㅎ.. 그럼 시공사 셔요?
G 지율아빠 2019.10.07 20:15
설계중입니다 근런데 일반적으론 액방에 몰탈치고 화강석 아님 침투방수/몰탈/화강석 아님 자가치유형구체방수/몰탈/화강석..했었죠 이싸이트를 알고부터 고민이 계속 생각이 계속 생겨요~~!!!!!
참 질문~~~!! 이 방수에 대한건 옶더라구요 '자가치유형구체방수재'(레미콘배합시 배합해야 하는건데 조금 비쌌는데) 를 한번사용한적이 있었는데 여기 그자료는 안보이는것 같아서요^^ ㅎㅎ ㅎㅎ
M 관리자 2019.10.08 09:21
ㅠ 죄송합니다. 제가 속단을....

자가치유형구체방수제는 사용해 본 경험이 없습니다.
아마도 자주 들어 오시는 이명래선생님이 언급을 해주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하부에 실이 있는 외부계단은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중구조체 형식이 가장 최선의 방법입니다.
사실 그 외는 상상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나마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사지붕 상부의 계단을 건식으로 만드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